271

아비담마의 기원은 부처님, 담마상가니(法集論)에서

아비담마의 기원은 부처님, 담마상가니(法集論)에서 해피법당에서는 아비담마 칠론에 ‘담마상가니’가 있습니다. 한역으로 ‘법집론(法集論)’이라 합니다. 최근 초기불전연구원에서 우리말로 번역된 담마상가니에 대하여 해피법당 해피스님은 자신의 카페에서 “생뚱맞게 ‘담마상가니’의 주석서에 토를 단다”고 하면서 서문을 읽은 소감을 적어 놓았습니다. “애매합니다. 앗탓살리니는 초지일관 그렇게 말할지 몰라도 니까야는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저는 아비담마에 의지하지 않고도 초기불교를 부처님에게로 되돌리는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그 일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근본경전연구회-해피법당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이지요.” (해피스님, 2016-06-18) 한국 테라와다교단 소속 빅쿠인 해피스님은 담마상..

2020.09.06

아비달마계신족론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아비달마계신족론 [ 阿毘達磨界身足論 ] 「아비달마계신족론」은 3권 2품으로 되어 있으며, 세우(世友) 존자가 지은 것을 현장이 한역한 논서다. 세우 존자는 1~2세기경 북인도 건타라국 출신으로 학식이 매우 높아 법구, 묘음, 각천과 함께 바사(婆沙) 4대논사로 불리고 있다. 그는 나중에 가습미라국에서 가니색가왕이 삼장을 결집했을 때 5백 불교학자의 상좌로 추대되었다. 그의 또다른 저서로는 「이부종륜론」이 있다. 먼저 '본사품(本事品)'에서는 인간의 정신작용을 모두 14부류로 구분해서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그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① 십대지법(十大地法), ② 십대번뇌지법(十大煩惱地去), ③ 십소번뇌지법(十小煩惱地去), ④ 오번뇌(五煩惱), ⑤ 오견(五見), ⑥ 오촉(五觸),..

2020.08.02

“열반이 그의 눈앞에”퇴전과 불퇴전을 거듭하다 보면

“열반이 그의 눈앞에”퇴전과 불퇴전을 거듭하다 보면 돈벌기 선수가 되어야 사람들은 누구나 돈벌기 선수가 되어야 한다.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 생존하기 위해서는 잘난 자나 못난 자나 돈벌기 선수가 되어야 할 운명을 타고 태어 났다. 그래서 수 만가지 직업이 생겨 났고 늙어 죽을 때 까지 하는 일에 매달리는지 모른다. 매일 다니는 거리를 지나다 보면 ‘족발집’이 있다. 늘 보는 광경이지만 젊은 청년과 중년 아주머니가 열심히 족발을 썰고 있다. 이렇게 사시사철 매년 이렇게 일하는 모습을 지나다니며 본다. 과연 ‘족발썰며 사는 것이 인생의 목적일까 아니면 수단일까?’ 라고 의문해 본다. 퇴전과 불퇴전을 거듭하다 보면 삶의 목적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매우 드믈 것이라 본다. 대부분 그날 그날 먹고..

2020.07.05

아비달마발지론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아비달마발지론 [ 阿毘達磨發智論 ] 「아비달마발지론」은 모두 20권으로 되어 있으며, 인도의 논사 가다연니자(迦多衍尼子)가 짓고, 7세기 중엽에 당나라의 삼장법사 현장이 한역했다. 가다연니자는 서력 기원 전후의 인도 귀족 출신으로 서북인도의 불교를 융성하게 한 대논사로 유부종(有部宗)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설일체유부에서는 이 「발지론」이 유부의 교학을 확립했다고 해서 가장 중요시했다고 한다. 그래서 「발지론」을 몸에 비유하여 '발지신론'이라 하고, 「아비달마품류족론」, 「아비달마법온족론」, 「아비달마식신족론」, 「아비달마계신족론」, 「아비달마집이문족론」과 「시설론」을 발에 비유하여 흔히 '육족발지(六足發智)'라고 한다. 이 '육족발지'는 대승불교의 유식학파에 지대한 영향을 미..

2020.06.21

『아비달마구사론』에 나타난 사선정(四禪定)의 의미와 의의

『아비달마구사론』에 나타난 사선정(四禪定)의 의미와 의의 The Meaning of Catur-Jhāna is Described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김준호(부산대)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철학논총 제80집 2015.04 161 - 177 (17 pages) KCI등재 초록 이 글은 『아비달마구사론』?에서 ‘계경(설)(契經)(說)’이라는 형태로 곳곳에서 인용되고 있는 경설들이 현존하는 남북 양전에서 온전한 형태로 그대로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하나의 주제나 주장을 논증하기 위해서는 해석학적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다. 이러한 전제에 따라 초기불전에서 비롯하여 아비달마 문헌들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사선정에 대한 『구사론』의 해석을 주제로 삼..

202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