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8강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사리자 시제법공상 앞에서 반야경의 핵심 사상인 공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를 하였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공(空)이란, 존재 본질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현상계에 나타나는 모든 존재의 본질을 공상(空相)이라고 하는 것이며, 그렇..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7강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舍利子) 사리자는 반야심경에서 관자재보살의 설법을 듣는 사람으로, 소승불교를 대표하는 상징적 인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즉, 사리자는 오온이 모두 공하여 실체가 없다는 참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인..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6강 도일체고액 도일체고액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이란 일체의 고액[고통과 액난, 괴로움]을 건너, 해탈, 열반에 이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이란 오온이 모두 공함을 비추어 봄으로써 깨달음에 이른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일체의 고액이 과연 무엇인가를 살펴..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5강 개공 개공 처음 이러한 오온설이 대두된 것은 무아(無我)의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다시 말해, 오온 이론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존재란 5개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각 요소들은 모두 비실체적인 것이므로 이와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진 인간 존재 역시 비실체적인 존재, 즉 ..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4강 오온 오온 오온(五蘊)이라고 하면 일체 현실의 세계를 다섯 가지로 나눈 것입니다. 또한, 인간을 다섯 가지 요소로 나눈 것이기도 합니다. 이 오온을 특별히 인간에 적용시켜 말할 경우 오취온(五趣蘊)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오온으로 이루어져 있는 인간에 대하여 고정적인 자아[나]가 있다..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3강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 관자재보살 행심바라밀다시 조견 관자재(觀自在) 불교를 잘 모르는 이들도 ‘관세음보살’이라는 명칭은 익히 들어 알고 있을 것입니다. 예로부터 불교를 믿지 않는 이들도, 어렵고 힘들 때면 의례히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하고 명호(名號)를 부르는 염불이 우리 민족의 보편적인 ..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2강 바라밀다 심경 바라밀다 심경 바라밀다(波羅蜜多) 바라밀다는 범어로 ‘파라미타(Paramita)’라고 합니다. 그 뜻은 ‘도피안(到彼岸)’, ‘도무극(到無極)’, ‘사구경(事究竟)'' 등으로 번역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바라’가 ‘저 언덕[피안]’, ‘밀다’가 ‘건넌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그러므로, ..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1강 마하 반야 마하 반야 경전(經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바로 경의 제목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왜냐 하면, 경의 제목에는 그 경이 설하고자 하는 중심 사상이 함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이라는 경의 제목에 ..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반야심경의 제목 - 마하 마하(摩訶) ‘마하’는 범어로 ‘Maha’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보는 것처럼, 마하는 범어의 ‘Maha’를 발음만 그대로 따온 것일 뿐, 한자로는 특별한 뜻이 없습니다. ‘마하’의 뜻은, ‘크다, 많다, 뛰어나다’는 의미로서, 우리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의미의 크고 많다는 개념을 훨씬 초..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
[스크랩] 반야심경 강의 개관 Ⅰ. 반야심경의 개관 1장. 반야심경의 불교 사상사적 위치 2장. 반야 공 사상의 교리사적 위치 3장. 반야심경의 종류 ~~~~~~~~~~~~~~~~~~~~~~~~~~~~~~~~~~~~~~~~ 4장. 반야심경 강의 개관 본 강의에서는 『반야심경』을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풀어가고자 합니다. 입의분(立義分), 파사분(破邪分), 공.. 반야심경 실천강의 2017.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