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第 八 언어품(言語品) 第 八 언어품(言語品) 언어품이라 입을 경계하는 방법이니, 말을 시작함에나 담론함에 있어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다. 言語品者는 所以戒口니 發說談論에 當用道理니라. 악한 말로 꾸짓고, 교만하고 업신여겨 사람을 멸시하여, 이와 같은 행동을 일으키면, 미워함과 원망이 점점 생긴.. 법구경 2017.12.17
[스크랩] 第七 자인품(慈仁品) 第七 자인품(慈仁品) 자인품이란 이 위대한 사람과 성인 밝는 바의 덕은 넓어서 한량이 없음을 말한다. 慈仁品者는 是謂大人과 聖人所履德은 普無量이니라. 인함을 행하여 죽이지 않고, 항상 능히 몸을 다스리면 이것이 불사에 처하여, 가는 곳마다 근심이 없다. 爲仁不殺하고 常能攝身.. 법구경 2017.12.17
[스크랩] 第六 유념품(惟念品) 제6 유념품(惟念品) 유념품이란 적은 것을 지키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안으로 생각을 살펴 편안하면 마음의 근본을 깨닫는다. 惟念品者는 守微之始에 內思安般하면 必解道紀니라. 숨을 내쉬고 숨을 들이마시는 생각을, 갖추어 가득 채워 밝게 생각하라. 처음부터 끝까지 날카로움에 통.. 법구경 2017.12.17
[스크랩] 第五 계신품(誡愼品) 第五 계신품(誡愼品) 계신품이라 선한 도를 주고받아, 사악하고 그름을 금학 억제하여, 뒤에 후회하는 바가 없게 하려는 것이다. 誡愼品者는 授與善道하고 禁制邪非하여 後無所悔야니라. 사람으로서 항상 맑고, 계율을 받들어 끝까지 이르러, 선행을 깨끗하게 닦으면, 이와 같이 하여 계.. 법구경 2017.12.17
[스크랩] 第 四 독신품(篤信品) 제4장 독신품(篤信品) 독신품이란 것은 도를 세우는 뿌리와 열매이다. 인함에 있어서 올바로 본다면, 행실을 돌아보지 않는다. 篤信品者는 入道之根果니라. 於因正見이면 行不回顧니라. 믿음과 부끄러움과 계율과 마음의 재산은, 이것은 법아사(法雅士)의 칭찬이다. 이 도를 밝히는 것을 .. 법구경 2017.12.17
[스크랩] 第三 다문품(多聞品) 제3 다문품(多聞品) 다문품(多聞品)이란 또한 듣고 배움을 권하고 들음을 쌓아 거룩함을 이루어, 스스로 올바른 깨달음 이루는 것이다. 多聞品者는 亦勸聞學하고 積聞成聖하여 自致正覺이니라. 많이 들어서 능히 굳게 지니고, 법을 받들어 담장을 삼으라. 정진하면 넘어서 부수기 어려우.. 법구경 2017.12.17
[스크랩] 第二 교학품(敎學品) 第二 교학품(敎學品) 교학품이란 행하는 바로써 인도하여 나의 어리석고 어두움을 풀고, 불도의 밝음 보는 것을 얻게 하디 위한 것이다. 敎學品者는 導以所行하여 釋己愚闇하고 得見道明이니라. 놀랍다, 무엇 때문에 잠자는고? 벌과 소라와 조개와 좀까지도 깨끗지 못함으로써 숨어 엎드.. 법구경 2017.12.17
[스크랩] 第一 무상품(無常品) 第一 무상품(無常品) 무상품이란 깨어나면 욕심 혼란하여, 영화와 목숨은 보전하기 어렵고, 오직 도만이 참된 것이다. 無常品者는 悟欲昏亂하여 榮命難保하고 唯道是眞이니라. 잠에서 깨어나면 마땅히 기뻐하며 생각하라. 내가 설명하는 바를 듣고 부처님의 말씀을 갖추어 기억하라. 睡.. 법구경 2017.12.17
[스크랩] 법구경 서문 법구경 서문 〈법구경〉은 〈논어〉나〈채근담〉과 마찬가지로,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처세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말씀이다. 〈법구경〉은 법구존자(法句尊者)가 엮은 것으로, 오나라의 유기난(維祇難)등이 번역한 것이다. 법구존자는 파사사대논사(婆娑四大論師)의 한 .. 법구경 2017.12.17
금강경 金 剛 般 若 波 羅 蜜 經 개 경 게 (開 經 偈)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遇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我今聞見得受持 願解如來眞實義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開法藏眞言 唵 阿羅南 阿羅多 唵 阿羅南 阿.. 금강경 2017.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