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 설함도 설한 바도 없다 금강경 원문/해설 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 설함도 설한 바도 없다 須菩提 汝 勿謂 如來作是念 我當 有所說法 莫作是念. 수보리 여 물위 여래작시념 아당 유소설법 막작시념. 수보리여. 너는 여래가 "나는 마땅히 설한 법이 있다" 는 생각을 한다라고 말하지 말라. 이런 생각도 하지 말..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 色도 떠나고 相도 떠나라. 금강경 원문/해설 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 色도 떠나고 相도 떠나라. 須菩提 於意云何. 佛 可以具足色身見 不. 수보리 어의운하. 불 가이구족색신견 부.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부처님을 구족한 색신으로써 볼 수 있는가? 不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色身見 何以故 如來說 具足..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법계는 통하여 화한다. 금강경 원문/해설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법계는 통하여 화한다. 須菩提 於意云何 若有人 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 以是因緣 得福多 不. 수보리 어의운하 약유인 만삼천대천세계칠보 이용보시 시인 이시인연 득복다 부.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만약 어떤 사람이 있..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 일체가 같음을 관하라. 금강경 원문/해설 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 일체가 같음을 관하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肉眼 不. 如是 世尊. 如來有肉眼.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육안 부. 여시 세존. 여래유육안.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육안이 있는가?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이..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궁극적인 나란 없다. 금강경 원문/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궁극적인 나란 없다. 爾時 須菩提白佛言 世尊 善男子 善女人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 云何應住 云何降伏其心. 이시 수보리백불언 세존 선남자 선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운하응주 운하항복기심. 이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능히 업장을 정화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능히 업장을 정화하다 復次 須菩提 善男子 善女人 受持讀誦此經 若爲人輕賤 是人 先世罪業 應墮惡道 부차 수보리 선남자 선여인 수지독송차경 약위인경천 시인 선세죄업 응타악도 또한 수보리여,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을 수지독송하는데,..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 경을 지닌 공덕 금강경 원문/해설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 경을 지닌 공덕 須菩提 若有 善男子 善女人 初日分 以恒河沙等身布施 中日分 復以恒河沙等身布施 수보리 약유 선남자 선여인 초일분 이항하사등신보시 중일분 부이항하사등신보시 수보리여,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있어 오전에 항하강의 ..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상을 떠나야 고요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상을 떠나야 고요하다 爾時 須菩提 聞說是經 深解義趣 涕淚悲泣 而白佛言. 이시 수보리 문설시경 심해의취 체루비읍 이백불언. 이때 수보리가 이 경의 설하심을 듣고 뜻을 깊이 이해하여 눈물을 흘리고 슬피 울면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希有 ..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 법답게 수지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 법답게 수지하다. 爾時 須菩提白佛言 世尊 當何名此經 我等云何奉持. 이시 수보리백불언 세존 당하명차경 아등운하봉지. 이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이 경전의 이름을 뭐라 이름해야 마땅합니까? 저희들이 어떻게 받..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 바른 가르침을 존중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 바른 가르침을 존중하다. 復次 須菩提 隨說是經 乃至 四句偈等 當知此處 一切世間 天 人 阿修羅 皆應供養 如佛塔廟. 부차 수보리 수설시경 내지 사구게등 당지차처 일체세간 천 인 아수라 개응공양 여불탑묘. 또한 수보리여. 이 경전에서 사.. 금강경 201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