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862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 무위의 복이 수승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 무위의 복이 수승하다. 須菩提 如恒河中所有沙數 如是沙等恒河 於意云何. 是諸恒河沙 寧爲多 不. 수보리 여항하중소유사수 여시사등항아 어의운하. 시제항아사 영위다 부. 수보리여. 항하강에 있는 모래의 숫자와 같이 항하강이 많다면, 어..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정토로 장엄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정토로 장엄하다 佛告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昔在燃燈佛所 於法有所得 不. 불고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석재연등불소 어법유소득 부.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가 옛적에 연등부처님의 처소에 있을 때, 법..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일상[一相]이란 무상[無相]이다.

금강경 원문/해설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일상[一相]이란 무상[無相]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須陀洹 能作是念 我得須陀洹果 不. 수보리 어의운하. 수다원 능작시념 아득수다원과 부.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다원이 능히 "나는 수다원과를 얻았다"라는 생각을 품겠는가? 須菩..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 법에 의지해서 출생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 법에 의지해서 출생하다. 須菩提 於意云何. 若人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所得福德 寧爲多 不. 수보리 어의운하 약인만삼천대천세계칠보 이용보시 즉시소득복덕 영위다 부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사람이 삼천대천세계..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7.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얻음도 설함도 없다.

금강경 원문/해설 7.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얻음도 설함도 없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耶. 如來 有所說法耶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야. 여래 유소설법야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가 무상정등각을 얻었다고 생각하는가? 여래가 설..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 바른 믿음은 희유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 바른 믿음은 희유하다. 須菩提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得聞如是言說章句 生實信 不. 수보리 백불언. 세존 파유중생 득문여시언설장구 생실신 부.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자못 이 말씀과 문구를 듣고 신실한 믿음을 낼 중..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 이치를 여실히 본다.

금강경 원문/해설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 이치를 여실히 본다.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身相 見如來不. 수보리 어의운하. 가이신상 견여래부.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몸의 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는가? 不也 世尊. 不可以身相 得見如來 불야 세존. 불가이신상 득견여래 아니옵..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4.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 묘한 행은 머무름이 없다.

금강경 원문/해설 4.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 묘한 행은 머무름이 없다. 復次 須菩提 菩薩 於法應無所住 行於布施 부차 수보리 보살 어법응무소주 행어보시 또한 수보리여. 보살은 마땅히 모든 현상(法)에 머무는 바 없이 보시를 행해야 하나니 所謂不住色布施 不主聲香味觸法布施 소위..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 대승의 바른 종지

금강경 원문/해설 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 대승의 바른 종지 佛告. 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불고. 수보리 제보살마하살 응여시항복기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 마하살은 응당히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받아야 하느니라. 所有一切衆生之類 若..

금강경 2017.10.29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 선현이 청을 하다.

금강경 원문/해설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 선현이 청을 하다. 時 長老 須菩提 在大衆中 卽從座起 偏袒右肩 右膝着地 合掌恭敬 而白佛言. 시 장로 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 우슬착지 합장공경 이백불언. 그 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 있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났다. 오른..

금강경 201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