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135

부처님과 예수님/宇寶

부처님과 예수님 아무도 찾아오는 이가 없어서 모처럼 한가로움을 즐기고 있었는데, 스승님을 잘 아는 거사님으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친구 중에 교회를 다니는 친구가 하나 있는데 함께 가도 되는지 물어왔습니다. 잠시 후에 중년 남자 셋이서 찾아왔습니다. 두 사람은 스승님께 삼배를 하고 한 사람은 두 사람이 스승님께 절을 하는 것이 이상했는지 멍하니 서서 기분 나쁘다는 듯이 바라보고만 있었습니다. “스님, 이 친구는 20년째 교회를 다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친구는 우리를 만나기만 하면, 불교는 우상 숭배를 한다면서 교회를 다니라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 스님께 이 친구를 데리고 왔습니다.” “하하하......그렇습니까? 잘 오셨습니다. 그래, 거사님은 불교에서 무엇을 보았기에 우상 숭배라고 생각을 하게 되었..

기타 2021.01.03

경전산책 중국불교 13경-③

유교 13경 이야기(1) 불교 13경은 유교 13경에 대비해서 정선된 경전이다. 중국에서 13경에 대한 비중이 높고, 경전에 대한 가치와 성가를 높이 평가하다보니 불교에서도 이에 질세라 13경을 정해서 내 세운 것이다. 그렇다면 유교에서 말하는 13경은 어떤 경전을 말하는가. 13경은 《논어》(論語)《맹자》(孟子)《시경》(詩經)《서경》(書經)《역경》(易經)《주례》(周禮)《의례》(儀禮)《예기》(禮記)(《중용》(中庸), 《대학》(大學) 포함)《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이아》(爾雅)《효경》(孝經)을 말한다.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사서의 하나이다. 저자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공자의 제자들과 그 문인들이 공동 편찬한 ..

기타 2021.01.03

경전산책 중국불교 13경-②

격의 불교와 노장사상 전회에서 불교 13경을 개략적으로 소개했다. 중국불교에서 확정한 불교13경을 차례로 소개하기에 앞서서 먼저 알아 두어야할 지식은 중국의 도교와 격의 불교 그리고 유교이다. 불교가 인도에서 발생했지만, 불교가 인도에서 중앙아시아에 수용되면서 페르시아적인 사유와 문화가 가미되었고, 이른바 서역불교는 중국에 수용되면서 중국사상인 도교와 부딪치게 된다. 불교는 도교라는 관문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기독교가 중국에 수용되면서 유일신은 제석천왕이나 옥황상제로 대치되고, 한국에서는 ‘하나님’으로 치환되었듯이 지역에 따른 당대의 최고신으로 명칭이 바뀌지 않으면 안 되었다. 불교가 중국 땅에 발을 디디려고 하니 걸림돌이 너무 많았고, 텃세가 만만치 않았다. 불교사상과 사촌 쯤 되는 도교의 술..

기타 2021.01.03

동양윤리사상 정리

동양윤리사상의 전통 1. 유가(유가) 사상 (1) 공자의 인(인)사상 ㉠ 주(주) 말기의 정치적 상황은 매우 혼란하였음. ㉡ 당시의 혼란이 도덕적 타락에서 유래한다고 판단하였음. ㉢ 따라서 회복해야 할 도덕성을 인(인)이라 이름하여, 인의 함양을 역설하기에 이름. 1) 인의 본질 ① “인(인)이란 인간다움이다[인자인야].” ② 인간다움의 바탕 : 효성심[효], 공경심[제] ③ “인(인이란 남을 사랑하는 것이다[인 애인].” ④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음 「기소불욕 물시어인] ⑤ 내 마음을 미루어서 남을 헤아리는 마음가짐 「추기급인」 ⑥ 이기심을 버리고 예를 따르는 것[극기복례] ⑦ 남 마음을 미루어 남을 헤아림, 성실하고 너그러움 (충서) ⑧ 선악과 정사를 분별해서 실현해야 하는 사랑 ..

기타 2020.12.20

야단법석

한국인에게 불교는 종교인 동시에 전통이다. 서기 372년 고구려를 통해 전래된 이후 불교는 1600여 년 동안 민족과 고락을 같이 하며 DNA로 박혔다. 특히 집단무의식은 언어문화에서 두드러진다. 우리가 사용하는 어휘의 상당수는 불교적 배경과 향기를 갖고 있다. 개중엔 역사의 그림자를 보여주는 단어도 있다. 심지어 장로(長老)나 전도(傳道)와 같이 불교와 견원지간인 개신교가 부지불식간에 가져다 쓰는 말도 있다. 불교에서 비롯된 보통명사는 부지기수에 가깝다. 먼저 화두(話頭)가 대표적인 사례다. ‘화두로 떠오르다’ ‘국제사회의 화두’ 등에서 보듯 이야기의 주제 혹은 첫머리를 뜻하는 화두는, 간화선의 화두에서 유래했다. 조계종의 정통수행법인 간화선(看話禪)은 화두를 타파해 깨달음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타 2020.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