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215

수행도의 다양성과 깨달음의 일미 / 곽만연

5) 장기이식의 근거를 위한 불교사상 (1) 자비사상 가. 자(慈)와 비(悲) 불교가 사회윤리로서 전개할 경우, 평등사상과 아울러 자비사상을 들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불교의 실천을 관철하는 정신이며, 불교의 윤리를 특징짓는 기본적인 사상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오늘날 ‘사랑’이라는 낱말을 너무나도 많이 듣고 있다는 사실에 비한다면, 자비라는 낱말은 무엇인지 어색한 느낌을 지니는 낱말같이 듣고 있는 사람들이 결코 적지 않을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상용어로서 우리는 ‘무자비(無慈悲)하다’는 말은 많이 듣고 있는데, 그것은 원래 불교의 자비의 부정형이라는 사실조차 잊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지금 다시 불교의 ‘자비(慈悲)’라는 낱말을 되새겨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런..

불교관련 2023.08.13

보살(菩薩, Bodhisattva)

보살(菩薩, Bodhisattva)의 일반적인 정의(定義)는 ‘보리(菩提:범어의 음역으로 보리(菩提)라 하고, 도(道), 지(智), 각(覺)이라 번역한다.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부처님의 깨친 지혜인 불과(佛果) 또는 불타정각(佛陀正覺)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를 가리킨다.)를 구하고 있는 유정(有情:마음을 가진 살아 있는 중생)으로서 보리를 증득(證得:바른 지혜로써 깨달음을 얻음.)할 것이 확정된 유정’, ‘구도자(求道者)’ 또는 ‘지혜를 가진 사람’, ‘지혜를 본질로 하는 사람’ 등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홍서원을 세우고 육바라밀을 수행하면서 상구보리 하화중생을 실천하는 사람을 말한다. 대승불교의 이상적 인간상으로 수행에 힘쓰는 사람들의 총칭이다. 오늘날 보살(菩薩, Bodhisattva..

불교 2023.08.06

나는 왜 이렇게 괴로운 세상을 펼쳐두고 있는가_이중표교수 | 붓다의 철학 2 (4강-6강)

불교에서 世界(세계)는 조물주가 창조 한 것도 아니고 원자와 같은 불변의 실체가 모여 만들어진 것도 아니다, 불교에서는 세계를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부처님께서 깨닫은 세계의 실상은 무엇인가? 부처님께서는 무엇을 깨닫으셨나? 불교는 깨닫음의 종교다, 부처님은 깨닫으신 분이다, 그러면 깨닫으신 내용이 무엇인가? 나와 세계의 실상을 깨닫으셨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도대체 근본이 무엇이고 그 속에 살고 있는 나의 존재는 도대체 무엇이냐? 이것을 있는 그대로 깨닫으신 분이다. 존재론적인 나의 존재와 세계의 존재에 대해 묻고 정당한 답을 주시는 부처님이시다. 세상에 모든 종교, 철학, 과학까지 포함을 해서 존재의 문제를 다루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기독교는 태초에 하나님이 창조해서 이 세상이 나타났다, 과학에..

불교관련 2023.07.30

불교(佛敎)

불교(佛敎) 불교(佛敎)는 석가모니(釋迦牟尼)를 교조(敎祖)로 부처의 가르침을 신봉하는 종교. 부처의 가르침을 법(法)이라고 하므로 불교를 불법(佛法)이라고도 하고, 부처가 되는 길이라는 뜻에서 불도(佛道)라고 부르기도 한다. 불교의 내용은 교조인 석가모니가 35세에 보리수 아래에서 달마(達磨, dharma:진리)를 깨침으로써 불타(佛陀, Buddha:깨친 사람)가 된 뒤, 80세에 입적할 때까지 거의 반세기 동안 여러 지방을 다니면서 여러 계층의 사람들을 교화할 목적으로 말한 교설이다. 그러나 부처가 탄생한 때인 기원전 5세기부터 현재까지 2,500년 동안 불교는 원시불교·부파불교(部派佛敎)·소승(小乘) 및 대승불교 등으로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하게 발전하여 왔고, 경전도 여러 가지가 새롭게 편찬되..

불교 2023.07.16

반야사상

반야사상 般若思想 유형분야 개념용어 분야 종교·철학/불교 요약 불교에서 연기설을 공의 입장에서 해명하여 지혜롭게 사는 법을 제시한 불교교리. 목차 접기 인도 중국 우리나라 ┗ [1. 고구려] ┗ [2. 신라] ┗ [3. 고려] ┗ [4. 조선] ┗ [5. 현황] 인도 반야사상은 공의 사상을 철학적으로 확립시키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반야사상을 천명한 중관학파(中觀學派)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일체개공설(一切皆空說)은 이미 대승불교 초기에 성립되어 있었다. 공(空)이란 존재물 그 자체에 실체인 아(我)가 없음을 뜻한다. 이것은 이미 석가모니 당시의 원시불교에서, “모든 현상은 인(因)과 연(緣)이 가적(假的)으로 화합하여 생겨났기 때문에(因緣所生), 거기에는 아(我)라는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諸法無我).”고 ..

불교 2023.07.09

사찰 주련(柱聯)이야기

주련(柱聯)이란? 기둥이나 벽에 세로로 써 붙이는 글씨로 기둥(柱)마다 시구를 연달아 걸었다는(聯)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원래는 좋은 글귀나 남에게 자랑할 내용을 붓글씨로 써서 그냥 기둥에 붙이거나 혹은 얇은 판자에 새겨 걸었던 것이 후대에 발전하여 지금은 일정한 양식을 갖춘 주련으로 발전했다. 법당에 걸려있는 주련은 판 위아래에 연 잎이나 연꽃, 혹은 당초 무늬를 새겨 다듬고 그 가운데에 글귀를 적는데 검은 바탕에 하얀 글씨로 써넣어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한 특징이 있다. 내용은 부처님 말씀이나 선사들의 법어나 선시가 주 내용이다. 사찰의 기둥이나 벽에 성구를 세로로 써 붙이는 글씨. 기둥 마다 부처님 성구나 시구를 연하여 걸었다는 뜻에서 주련이라 부른다. 좋은 글귀나 남에게 자랑할 내용을 붓..

불교 2023.06.18

아소카왕(Ashoka, 阿育王, 재위 B.C. 273~232)과 불교

고대 인도에서 여러 도시국가와 전제왕권국가가 서로 경합을 벌이면서 싸워나가다가 드디어 B.C. 4세기 마가다(Magadha)제국의 마우리야왕조(Maurya dynasty)에 의해서 통일국가를 이루게 된다. 이를 중국의 역사와 견주어볼 때, 군소국가가 쟁탈전을 벌이던 춘추전국시대를 진(秦)나라가 통일한 진시황(秦始皇)과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역사적 의미가 있다. 찬드라굽타(Candra Gupta, B.C. 340~298)에 의해 인도 최초의 통일국가인 마가다(Magadha)제국 제3왕조인 마우리아 왕조(B.C. 322~185 존속)가 성립됐다. 마우리야왕조는 불교를 특별히 우대했는데, 그 대표적인 왕이 아소카왕(Ashoka)이었다. 아소카왕(Ashoka, 阿育王, B.C. 273~232경 재위)은 마우리아..

인도 철학 2023.06.11

힌두교와 불교의 차이점

힌두교(Hinduism)에서 ‘힌두(Hindū)’라는 말은 인더스강의 산스크리트어 명칭 ‘신두(Sindhu:大河)’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도’란 말과 동일한 어원을 갖는다. 때문에 힌두교를 인도교라고도 한다. 고대 브라만교(婆羅門敎, Brahmanism)가 힌두교의 전신이다. B.C. 1,500년 무렵 인도 아리안족이 아프가니스탄 지역에서 힌두쿠시산맥을 넘어 인더스강 유역 펀자브지방에 진입하고, 더욱 동쪽으로 진출하면서, 4성제도(Caste)를 세우고, 브라만교를 발전시키며, 브라만문화를 확립했다. 그때부터 B.C. 500년 무렵에 이르는 동안 를 비롯한 방대한 근본성전 를 편찬했다. 그 내용은 복잡하고 다양해 자연신숭배, 종교의례, 주술은 물론, 높은 철학적 사변까지 담고 있다. 이 종교의 본질은 다..

인도 철학 2023.06.11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 - 권오민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 권오민 교수(경상대 철학과) ​ 오늘날 불교에 관한 일부 식자층의 이해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개의 불교신자는 ‘어렵다’는 인식조차 갖지 않는다. 재일(齋日) 등 특정한 날 절에 가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기도(기원)하는 것으로써 마음의 위안을 얻는 것을 불교의 모든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교의례는 물론 교조에 대한 당연한 예배이고, 그의 가피력에 의해 구원(구제)받고자 하는 것 역시 지극히 당연한 종교적 염원이라 할 수 있겠지만, 그렇다면 기독교인이 일요일 교회에 가 하나님께 예배하고 기도하며 그의 구원을 기대하는 것과 무엇이 다를 것인가? ​ 혹자는 모든 종교는 궁극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정서적인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절에 가면 왠지 마음이 ..

불교관련 2023.06.11

[불교사상사] 제7장 불교의 중국전래

인도불교가 인도 동북 쪽 항하(Ganga)유역의 지방 종교에서 탈피하여 인도전역은 물론 세계종교로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아쇼카왕(B.C.273~232)의 불교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아쇼카왕은 지지하였던 목건련자티사(目建連子帝須)를 시켜 주변 각 나라에 8개조의 승려들을 파견하였다고 전해진다. 이때에 중국까지 전교된 것 같지는 않으나, 대월지(大月氏) 등을 경유해 한(漢) 애제 때(B.C.2세기) 전교되었다는 기록이「삼국지」위지동이전에 보인다. 기록상으로는 한 애제 때 처음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것으로 되어있으나, 사실상 한 무제시대(BC.140 ~ 87)에 서역변방의 개척으로 말미암아 동서 교통로인 실크로드가 뚫리게 되었고, 불교 역시 실크로드를 오가는 서역상인을 따라 자연스럽게 들어왔을 ..

불교관련 2023.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