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범스님 37

종범스님 - 무아와 아상

종범스님 - 무아와 아상 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법문은 무아와 아상, 이런 주제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으신 것은 무아에 대한 깨달음입니다. 무아. ‘나’라는 것이 없다. 이런 깨달음입니다. 이 무아를 다른 말로 하면 연기라고도 하고, 중도라고도 하고, 해탈이라고도 하는데, **** 무아입니다. ‘나’라는 것이 없다. 이것을 깨들은 거죠. 그러면 ‘나’라는 것이 없는 게 뭐냐? 세계적으로 불교에 지도력을 발휘하고 있는 프랑스에 계시는 월남스님, 틱낫한스님은 무아를 아주 쉽게 가르치고 계십니다. 뭐냐 하면 나에는 나 아닌 존재로 다 채워졌다. 그렇기 때문에 나라는 것은 없다. 이렇게 말씀하고 계세요. 나는 나 아닌 존재로 모두 채워졌다는 거예요. 이 나에는 첫째 뼈가 있는데, 이 ..

종범스님 2020.02.09

공적영지空寂靈知- 종범 스님

신심과 천도 ────────────────────────── Tibetan Morning Chant 천도薦度라고 하면 돌아가신 분의 영혼을 극락세계로 추천해서 인도引導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누가 천도를 하느냐, 우리 살아있는 사람들이 하는 거예요. 그게 자손도 되고 일가친척도 되고 살아있는 모든 분들이 돌아가신 분, 또 살아있는 사람들의 온갖 마음을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것이 천도입니다. 그럼 천도는 뭘로 하느냐? 오직 신심信心, 믿는 마음으로 천도를 합니다. 그 믿음이라고 하는 것은 결정심決定心 딱!.. 결정을 해서 흔들리지 않는 마음 딱! 정定해져서 움직이지 않는 마음이 그게 신심信心입니다. 그래서 신심이라는 것은 결정決定 부동심不動心이라. 결정 못하는 건 신심이 아닙니다. 움직이는 건 신심아니예요 ..

종범스님 2019.09.08

자성불(自性佛)과 원성불(願成佛)

자성불(自性佛)과 원성불(願成佛) 불(佛)이라고 하면 부처님인데, 부처님이면 참 좋다. 부처님이면 왜 좋은가? 부처님은 자기가 자기를 아는 지혜를 이루신 것이다.  그러니까. 지혜가 아니면 자기가 자기를 알 수 없다. 내가 누구인지, 내가 무엇인지, 내가 나를 아는 지혜, 그 지혜를 이루셨기 때문에 좋고, 또, 모든 중생을 행복하게 해주는 자비를 실천하고 있다. 자비가 있으시니까. 좋고, 또, 부처님은 좌절이라든지, 절망이 없다.  항상 원력(願力)을 가지고 계십니다. 서원(誓願), 중생계가 다하고 허공계가 다하고, 중생의 잘못된 업이 다 없어질 때까지 정진을 멈추는 일이 없다.  또, 이런 원력(願力)이 없으면 부처님이 아니다. 그래서 좋다. 내가 나를 알고, 중생을 복되게 하고, 끝임없는 정진을 계속..

종범스님 2019.02.17

금강경 강의 - 종범스님 (2010년 1월부터 현재 강의중)

저를 찾아주시는 법우님,귀한 큰스님의 법문 우리 함께 마음에 새겨보자고 청하고 싶습니다. 나무반야바라밀, 나무반야바라밀, 나무반야바라밀 _()_ 04.11.2012종범스님종범스님-금강경 法會因由分(법회인유분)-총설법문02.12.2012종범스님종범스님-金剛經(금강경)-發心(발심)06.01.2013종범스님종범스님-금강경의 기본질문과 중심교설03.02.2013종범스님종범스님-金剛經(금강경)-無住相布施(무주상보시) 수행03.03.2013종범스님종범스님-金剛經(금강경)-여리실견분 "諸相非相"07.04.2013종범스님종범스님-금강경(정신희유분) - 信心(신심) ..

종범스님 2018.12.02

육조단경 강의록 - 종범스님

종범스님 육조단경 강의노트 육조단경을 비판하는 사람도 많았고 중국 선전에서 가장 문제가 많았던 책이 육조단경과 보림전이었다.당말 5대 때는 육조단경과 보림전을 불태우기도 했다, 대각국사는 잘 한 일이라고 칭찬하기도 했다.인도불교를 한문화 하는 것을 청산하고 중국 불교를 새로이 세움, 선종의 전통은 북종선인데 인도식 전통선을 공격함, 혜능이전에는 능가경도 많이 봤다, 혜능이전은 천태종같이 인도적 전통유지하는 선이고 혜능이후는 중국전통을 수립하는 선이라서 새로운 내용이 많이 나온다, 사실보다는 드라마로 봐야 한다, 방아만 찍었는데 마음과 마음이 통했다, 13종 등 많은 종파가 생기고 중국불교 동아시아 새로운 불교로 출발하는 경전이다.혜능의 전기가 여러종류 있다, 어떤게 혜능의 설법인지도 알 수 없다.누가 말..

종범스님 2017.12.24

[스크랩] 반야심경은 어떤 경전인가(下) / 종범 스님

반야심경은 어떤 경전인가(下) 종범 스님 본문 강술 (5) 무안이비설신의(無眼耳鼻舌身意) 무색성향미촉법(無色聲香味觸法) (공에는) 눈, 귀, 코, 혀, 몸, 생각이 없으며, (공에는) 빛과 소리, 냄새, 맛, 촉감 그리고 생각에 의해 생각되어지는 모든 존재[法境]가 없습니다. 이것을 보통 육근(六根)·육경(六境)이라 합니다. 인간에겐 여섯 가지 감각기관이 있습니다. 시각(눈), 청각(귀), 후각(코), 미각(혀), 촉각(몸), 지각(의식)이 그것입니다. 이에 의존해 외부로부터 사물의 존재를 느낍니다. 이것을 12처(十二處)라고 합니다. 우리는 12처의 굴레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에는 12처가 없습니다. 공은 불생불멸이기에 12처는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공은 바로 ‘반야바라밀’입니다. 반야바..

경전 2017.10.29

[스크랩] 반야심경은 어떤 경전인가(上) / 종범 스님

반야심경은 어떤 경전인가(上) 종범 스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 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 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께서는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실행하실 때에 오온이 다 공한 것을 체험하시고 온갖 고통으로부터 최대의 기쁨을 이루시었습니다.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습니다. 색이 곧 공이며 공이 곧 색입니다. 수상행식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여! 이 제법의 공한 형상은 생기는 것도 아니..

경전 201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