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說 有七種施 不損財物 獲大果報 一名眼施 常以好眼 不以惡眼 名爲眼施 二和顔悅色施 於父母師長沙門波羅門 不嚬蹙惡色 得端正色 是名和顔悅色施 三名言辭施 出柔軟語 非麤惡語 所可言說 爲人信受 是名言辭施 四名身施 於父母師長沙門波羅門 起迎禮拜 是名身施 五名心施 難以上事供養 心不和善 不名爲施 善心和善 深生供養 是名心施 六名床座施 若見父母師長沙門波羅門 爲敷床座迎座 乃至自以已所自座 請使迎座 是名床座施 七名房舍施 前父母師長沙門波羅門 使屋舍之中得行來坐臥 卽名房舍施 是名七施 雖不損財物 獲大果報 - <雜寶藏經>
부처님께서 "재물이 없어도 큰 복덕을 지을 일곱 가지 보시가 있다"고 하셨다.
첫째는 안시(眼施)다. 항상 부드러운 눈빛을 지니고 사나운 눈빛을 하지 않는 것, 이를 이름하여 안시라 한다.
둘째는 화안열색시(和顔悅色施)자. 부모ㆍ스승ㆍ어른ㆍ수행자 등에게 얼굴을 찡그리거나 화를 내지 않고 단정한 표정을 짓는 것, 이것을 이름하여 화안열색시라 한다.
셋째는 언사시(言辭施)이다. 부드럽고 고운 말을 사용하고 그릇된 말을 쓰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에게 신뢰를 얻게 되는 데, 이를 언사시라고 한다.
넷째는 신시(身施)이다. 부모ㆍ스승ㆍ어른ㆍ수행자 등 윗사람을 항상 일어나서 맞으며 예를 갖추어 인사하는 것, 이를 이름하여 신시라 한다.
다섯째는 심시(心施)이다. 공양하는 것이 비록 훌륭한 일이기는 하지만, 마음이 평화롭고 선하지 못한 상태에서 하는 공양은 참다운 보시라 할 수 없다. 선한 마음, 평화로운 마음에서 진심으로 우러나오는 공양이 참다운 공양이며, 이를 심시라 한다.
여섯째는 상좌시(床座施)이다. 부모ㆍ스승ㆍ어른ㆍ수행자 등 윗사람을 위해 좌석을 마련하여 쉬게 하거나, 자기가 앉은 자리라도 양보하여 권하는 자세, 이를 상좌시라 한다,
일곱째는 방사시(房舍施)이다. 부모ㆍ스승ㆍ어른ㆍ수행자 등 윗사람에게 묵어갈 방을 내 드리는 것, 이를 곧 방사시라 한다.
이와 같은 일곱 가지 보시는 큰 공덕을 받게 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다 보니 보시라 하면 보통 물질적인 보시만 생각합니다. 하지만 보시에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보시 즉 재보시(財布施 : 물질)ㆍ법보시(法布施 : 포교)ㆍ무외시(無畏施 : 온갖 공포에서 벗어나게 함)가 있으며, 갖가지 시회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력보시 등 많은 종류의 보시가 있습니다.
보시에는 특히 보시를 베푸는 자[施者], 받는 자[受者], 베푸는 내용[施物]이 모두 본질적으로 공(空)하기 때문에 거기에는 아무 집착이 없어야 한다는 것[三輪淸淨]이 부터님의 가르침입니다. 즉 베푸는 물건에 기준을 둘 것이 아니라 베푸는 마음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소개하는 일곱 가지 보시를 통해 재물을 떠나 마음으로도 많은 보시를 할 수 있음을 배웁시다.
첫째, 안시는 눈빛 하나, 관심과 애정 있는 눈길만으로도 다른 이를 기쁘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외로운 사람, 병든 사람과 다정하게 눈빛만 맞추어도 그들은 새로운 힘을 얻을 것입니다. 둘때, 화안열색시는 좋은 표정을 짓는 것입니다. 찌푸린 얼굴, 성난 얼굴은 바라보는 사람까지 신장시키지만 온화한 얼굴, 웃는 얼굴은 보는 사람까지 즐거운 미소를 짓게 합니다. 셋째, 언사시는 '말 한 마디로 천양 빚을 갚는다'는 속담처럼, 좋은 말은 듣는 이를 기쁘게 합니다. 넷째, 신시는 몸가짐을 예의 바르고 단정히 하는 것인데, 더 나아가 따뜻한 손길로 잡아 주고 등을 토닥여 격력하는 등 신체 접촉으로 정을 나누는 것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심시는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친절한 마음과 선한 마음인데, 이것이 불러일으키는 감동은, 꾸민 말과 태도로는 도저히 쫓아올 수 없습니다. 여섯째, 상좌시는 다른 이의 자리를 항상 편안하게 보살펴 주는 일입니다. 병환이나 장애로 몸이 붚련한 사람들을 위해 휠체어를 끌어 준다거나 잠자리를 보살펴 주는 일은 다른 사람을 무한히 기쁘게 할 수 있는 좋은 보시입니다. 일곱째, 방사시는 내가 좀 불편하지만 하룻밤 묵어 가거나 쉴 나그네에게 방을 내어 주는 등의 따뜻한 마음가짐을 말합니다.
이정우 「길을 묻는 그대에게」
'큰스님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남을 위한 기도 (0) | 2018.01.21 |
---|---|
[스크랩] 한 생각 돌이키면 (0) | 2018.01.21 |
[스크랩] 교화를 위해 외전도 연구하라 (0) | 2018.01.21 |
[스크랩] 젖은 나무는 타지 않는다 (0) | 2018.01.21 |
[스크랩] 어리석음을 알라 (0) | 201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