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 인연의 법을 교묘하게 연설했다. |
[論] 12인연생법(因緣生法)과 갖가지 법문을 능히 교묘하게 연설한 것이다. 번뇌와 업과 일[事]의 법이 차례로 전전해서 생겨나는 것을 12인연이라 한다. |
이 가운데 무명(無明)․애(愛)․취(取)의 세 가지를 번뇌라 하고, 행(行)과 유(有) 두 가지를 업이라 한다. 나머지 일곱 가지는 본체의 일[體事]이 된다.
★ 12연기 : <무명, 행, 식, 명색, 육입,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 |
이 12인연에서 처음의 두 가지는 과거 세상에 속하고, - 무명, 행 뒤의 두 가지는 미래의 세상에 속하며, - 생, 노사 중간의 여덟 가지는 현재 세상에 속한다. - 식, 명색, 육입, 촉, 수, 애, 취, 유 |
이것이 간략히 번뇌ㆍ업ㆍ고의 세 가지 일을 말한 것이다. |
이 세 가지 일은 전전해서 서로 간에 인연이 되니, 이 번뇌는 업의 인연이요, 업은 고의 인연이 된다.
고는 고의 인연이고 번뇌의 인연이요, 번뇌는 업의 인연이요, 업은 고의 인연이요, 고는 고의 인연이 된다. 이것을 전전해서 서로 간에 인연이 된다고 하는 것이다. |
|
지난 세상의 온갖 번뇌를 <무명>이라 하는데, 이 무명으로부터 업이 생겨나서 능히 세계의 결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행>이라 한다.
행으로부터 때 묻은 마음이 생겨나 최초의 몸의 원인이 되니, 마치 송아지가 어미를 알듯이 스스로 모양을 아는 까닭에 <식(識)>이라 한다.
이 식에서는 색이 없는 4음(陰)과 그것이 머무를 색(色)이 함께 생기나니, 이를 <명색(名色)>이라 한다.
이 명색에서 눈[眼] 등의 6정(情)이 생겨나니, 이를 <6입(入)>이라 한다.
정(情)과 진(塵)과 식(識)이 합하는 것을 <촉(觸)>이라 하고,
촉으로부터 <수(受)>105)가 생겨나고,
수에 대해 마음이 집착하는 것을 <갈애>라 하고,
갈애가 인연 때문에 구하는 것을 <취>라 한다.
취로부터 뒷세상의 인연인 업이 생기니 이를 <유(有)>라 하고,
유로부터 다시 뒷세상의 다섯 가지 쌓임[五衆]을 받으니 이를 <생>이라 한다.
생으로부터 다섯 가지 쌓임이 익어가고 무너지는 것을 <노사(老死)>라 한다.
노사는 근심․슬픔․통곡 등 갖가지 근심ㆍ걱정을 내어 뭇 고통이 어울려 모이게 된다. |
만일 일심으로 모든 법의 실상을 보아 청정해지면 곧 무명이 다한다. 무명이 다하는 까닭에 행이 다하고 나아가서는 뭇 고통이 화합해서 집적되는 일이 모두 다하게 되는 것이다. |
이것이 바로 12인연의 모습이니,
이와 같이 해서 능히 방편을 써서 삿된 소견에 집착되지 않고 남에게 잘 연설해 주기 때문에 ‘교묘하다’고 하는 것이다. |
또한 12인연을 관찰하여 법애(法愛)를 끊고 마음이 집착되지 않으며 실상을 알면 이것이 교묘함이다. |
반야바라밀경 「불가진품(不可盡品)」에서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
“어리석음은 허공과 같아서 다할 수 없다. 행도 허공과 같아서 다할 수 없고, 나아가서는 못 고통의 어울림도 허공 같아서 다할 수 없나니, 보살은 마땅히 이처럼 알아야만 하느니라. 이와 같이 아는 자는 우치의 경계를 버리고 마땅히 들어갈 만한 곳이 없게 되니, 이 12연기를 관하는 자는 곧 도량에 앉아 살바야를 얻게 되느니라.” |
|
대지도론(大智度論) 55. ★ 십이연기(12연기/12인연)의 세부 설명 - 대단히 명확함
'대지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57. 많이 배우고, 지혜도 증장시켜야 한다. (0) | 2018.12.09 |
---|---|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56. 거짓말, 이간질, 욕설, 꾸밈말을 없애면, 훌륭한 과보 얻으리 (0) | 2018.12.09 |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54. 인과응보/업력은 항상 나를 뒤쫓는다. (0) | 2018.12.09 |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53. 보살은 네가지 두려움이 없다. (0) | 2018.12.09 |
[스크랩] 대지도론(大智度論) 52. 사리사욕은 공덕의 근본을 끊어버린다. (0) | 2018.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