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鏡虛(경허)惺牛의 몸과 마음: 파계행 혹은 無心行履 . 서울: 한국불교학회, 2012.8.31. 鏡虛惺牛(경허성우)의 몸과 마음: 파계행 혹은 無心行履* 김성순ㆍ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목 차 Ⅰ. 서론 Ⅱ. 경허, 그 논란의 생애 Ⅲ. 경허의 몸과 마음 1. ‘몸’이 저지르는 파계, 그리고 경허의 변증 2. 경허가 보는 마음, 그리고 無心行..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7
[스크랩] 현응스님의 <기본불교와 대승불교>를 읽고 현응스님의 <기본불교와 대승불교>를 읽고 2010년 가을호 불교평론에는 조계종 교육원장 현응스님의 글이 한편 실려 있다. 제목은 <기본불교와 대승불교>. 짧은 소논문임에도 감상문을 쓰게 된 것은 그 글이 주는 메시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응스님은 2600년 불교..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7
논문 - 유식사상 / 김태완 유식사상 목차 유식사상 - 1. 唯識의 의미 유식사상 - 2. 唯識無境의 논증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⑴ 주관과 객관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⑵ 識一元論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⑶ 식의 四分說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⑷ 8識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⑸ 阿賴耶識緣起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⑴ 아뢰야식의 의미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⑵ 종자의 기능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⑶ 아뢰야식의 대상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⑷ 아뢰야식에 언제나 동반하는 다섯 가지 심작용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⑸ 無覆無記인 아뢰야식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⑹ 아뢰야식의 相續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⑺ 아뢰야식의 소멸 유식사상 - 5..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
[스크랩] 정신의학에서 보는 연기적 자아 - 최훈동(서울의대 초빙교수, 한별정신병원/한별심리분석연구소) 정신의학에서 보는 연기적 자아 최훈동(서울의대 초빙교수, 한별정신병원/한별심리분석연구소) 목 차 Ⅰ. 서 언 Ⅱ. 정신의학의 종류 Ⅲ. 생물정신의학의 자아 Ⅳ. 심리정신의학의 자아 1) 심층심리학의 자아 2) 정신분석학의 자아개념의 변천(확장) Ⅴ. 손상된 자아(자아 장애) 1) 자기개념..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
[스크랩] 무아에 비추어진 자아 - 전재성 (한국빠알성전협회 대표) 무아에 비추어진 자아 전재성 (한국빠알성전협회 대표) 목 차 I. 서 론 II. 자아와 무아의 스펙트럼 1. 자아의 스펙트럼 1) 초기불교에서 사용된 자아 2) 서양철학의 자아 개념 2. 무아의 스펙트럼 1) 무아사상의 토대 2) 무아의 스펙트럼 III. 무아적 자아의 윤회 IV. 결론 I. 서 론 자아라는 개념..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
[스크랩] 華嚴의 十地說 硏究 . 華嚴의 十地說 硏究 권탄준/동국대 불교대학원 겸임교수 Ⅰ. 修行道의 階位性 문제 『화엄경』에 佛道의 수행과정이 체계적으로 설해져 있어서, 보살이 信을 근본으로 하여 發心하여 여러 단계의 수행을 거쳐서 成佛하게 되기까지의 내용이 잘 밝혀져 있다. 이렇게 성불하기까지의 과..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
[스크랩] 운허의『금강경』한글 번역에 대하여 . 운허의『금강경』한글 번역에 대하여 * 김치온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운허의『금강경』 한글 번역 1. 相에 대한 한글역 2. 四相의 한글해석 3. 게송의 한글역 Ⅲ. 운허의『금강경』한글 번역의 의의 * 본 논문은 2013년도 10월 12일 봉선사 육화당에서 운허기념사업회 출범1주년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
[스크랩] 현대물리학과 신비주의 2 테마가 있는 책여행 / 현대물리학과 신비주의 이기우 문화전문기자 keywoo@donga.com 6 아마도 입자물리학자들보다 더 헌신적으로 ‘궁극의 답’을 찾는 사람들도 없을 터이다. 그들은 이 세상의 모든 복잡한 현상이 실제로는 단일한 무엇의 현시(顯示)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싶어 한..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
[스크랩] 현대물리학과 신비주의 1 테마가 있는 책여행 / 현대물리학과 신비주의 이기우 문화전문기자 keywoo@donga.com 1 20세기를 빛의 속도로 관통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그리고 물질의 존재 형식을 ‘확률의 패턴’으로 해체했던 양자역학. 여기에 더하여 프로이트가 무의식의 세계에서 건져 올린 지적 보고(寶庫)는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
[스크랩] 과학과 신의 만남 과학과 신의 만남 신의 입증은 과학의 오랜 숙제다. 불가지론(不可知論)에서 이신론(理神論), 범신론(汎神論), 지적설계론(知的設計論), 신과학(新科學)운동에 이르기까지 신에 대한 과학적 탐구와 논쟁은 끊임없이 이어져왔다. 과학이 발전할수록 신에 대한 논쟁은 더욱 다양해지고 그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