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인문과학 1 219

[스크랩] 鏡虛(경허)惺牛의 몸과 마음: 파계행 혹은 無心行履

. 서울: 한국불교학회, 2012.8.31. 鏡虛惺牛(경허성우)의 몸과 마음: 파계행 혹은 無心行履* 김성순ㆍ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목 차 Ⅰ. 서론 Ⅱ. 경허, 그 논란의 생애 Ⅲ. 경허의 몸과 마음 1. ‘몸’이 저지르는 파계, 그리고 경허의 변증 2. 경허가 보는 마음, 그리고 無心行..

논문 - 유식사상 / 김태완

유식사상 목차 유식사상 - 1. 唯識의 의미 유식사상 - 2. 唯識無境의 논증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⑴ 주관과 객관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⑵ 識一元論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⑶ 식의 四分說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⑷ 8識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⑸ 阿賴耶識緣起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⑴ 아뢰야식의 의미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⑵ 종자의 기능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⑶ 아뢰야식의 대상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⑷ 아뢰야식에 언제나 동반하는 다섯 가지 심작용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⑸ 無覆無記인 아뢰야식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⑹ 아뢰야식의 相續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⑺ 아뢰야식의 소멸 유식사상 - 5..

[스크랩] 정신의학에서 보는 연기적 자아 - 최훈동(서울의대 초빙교수, 한별정신병원/한별심리분석연구소)

정신의학에서 보는 연기적 자아 최훈동(서울의대 초빙교수, 한별정신병원/한별심리분석연구소) 목 차 Ⅰ. 서 언 Ⅱ. 정신의학의 종류 Ⅲ. 생물정신의학의 자아 Ⅳ. 심리정신의학의 자아 1) 심층심리학의 자아 2) 정신분석학의 자아개념의 변천(확장) Ⅴ. 손상된 자아(자아 장애) 1) 자기개념..

[스크랩] 무아에 비추어진 자아 - 전재성 (한국빠알성전협회 대표)

무아에 비추어진 자아 전재성 (한국빠알성전협회 대표) 목 차 I. 서 론 II. 자아와 무아의 스펙트럼 1. 자아의 스펙트럼 1) 초기불교에서 사용된 자아 2) 서양철학의 자아 개념 2. 무아의 스펙트럼 1) 무아사상의 토대 2) 무아의 스펙트럼 III. 무아적 자아의 윤회 IV. 결론 I. 서 론 자아라는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