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인문과학 1 219

화두참구의 두 가지 방법과 漢岩禪

화두참구의 두 가지 방법과 漢岩禪 윤창화*1) * 도서출판 민족사 대표. • 목 차 • Ⅰ. 서론 Ⅱ. 간화방법(화두참구법)의 두 갈래 1. 대혜종고의 간화방법-單提參句 2. 몽산덕이의 간화방법-全提參意 Ⅲ. 몽산의 대혜방법 비판 Ⅳ. 대혜⋅몽산 간화법의 한국 전래와 수용 1. 대혜방법의 전래와 수용 2. 몽산방법의 전래와 수용 Ⅴ. 漢岩禪의 간화방법 - 單提參句(대혜)⋅全提參意(몽산) - Ⅵ. 한암의 화두참구법 - 중도 Ⅶ. 맺는말 한 글 요 약 간화선은 大慧宗杲(1089∼1163)에 의해 완성⋅체계화 되었다. 대혜는 “망념이 일어날 때는 오로지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를 참구하라(妄念起時, 但舉箇無字).”, “조주가 ‘無’라고 했으니,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는 곧 허다한惡知見)과 惡覺을 꺾어..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김선근*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교수 Ⅰ. 머리말 Ⅱ. 법화경의 구성과 성립사 Ⅲ.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의 背景 Ⅳ. 法華經에 나타난 空思想 Ⅴ. 맺음말 요약문 공의 사상은 원시불교의 ‘제행무상’이나 ‘제법무아’라는 관념을 받아들인 사상이다. 空思想은『아함경』이나 아비다르마 불교에도 있지만 이 空思想을 더욱 심화시켜 존재하는 모든 것의 본성은 空이라 하고, 법이 空함과 법에 자성이 없음을 분명히 했던 것은『금강경』이다. 『법화경』에 나타난 空사상은『반야경』의 空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제 14 「안락행품」, 제 16 「여래수량품」, 제 4 「신해품」, 제 5 「약초유품」 그리고 제 10 「법사품」에 나타나 있다. 제 10 「법사품」을 제외한 모든 品들은『반야경』의 空사상을 계승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