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파불교 부 파 불 교 1. 불멸 이후 불교 교단의 발전 부처님께서 입멸하신 직후의 불교교단은 중인도에 퍼져 있던 지방교단에 불과했다. 부처님의 탄생지인 룸비니와 입멸지인 구시나가라는 중인도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깨달음을 얻은 붓다가야는 중인도와 남부에 있으며, 처음으로 법을 설..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불교에 있어서의 계율 ▷ 불교에 있어서의 계율(戒律) ◁ 최초로 부처께서 정각(正覺)을 이루신 후, 모든 인류에게 그 깨달음을 전하시고자 결심하시고 녹야원[鹿野苑, M gad ya]에서 5명의 귀의자를 얻고서야 비로소 부처님을 위로하여 교단 즉 승가[僧伽, Sa gha]가 성립되었다. 그 후 여러 곳으로 유행설법(遊行說..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비 선형적 상호 인과율로서의 연기 비 선형적 상호 인과율로서의 연기 조에너 메이시 지음 / 이중표 옮김 (jplee@chonnam.ac.kr) 전남대학교 철학과 및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졸업, 철학박사. 현재 전남대 철학과 교수. 저서로 <아함의 중도체계><불교의 이해와 실천1,2>가 있고, <공의 의미><불교의 인간관>&..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06
[스크랩] 데리다의 철학사상과 불교 2. 4. 표지―문자학적 사유와 그 철학 파르마콘과 코라의 사유는 이 세상을 결국 책으로 보는 로고스 중심주의가 아니라 텍스트로 보는 사유를 뜻한다. 텍스트로서의 세상은 이 세상의 모든 사실을 상대주의적 시각으로 보도록 종용하는 것이 아니고, 상관적인 상호연루(co-implication)의 얽힘..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06
[스크랩] 데리다의 철학사상과 불교 1. 데리다의 철학사상과 불교 김형효 kihyhy@aks.ac.kr 서울대 철학과 졸업. 벨지움 루벵대학교 철학최고연구원 석사ㆍ박사학위. 공군사관학교 조교수, 서강대 철학과 부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원장, 부설 한국학대학원 대학원장, 루벵대학교 철학최고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06
[스크랩] 불타 깨달음은 연기법인가? (Ⅱ) 4聖諦와 12緣起 . 4聖諦와 12緣起 불타 깨달음은 연기법인가?(Ⅱ) 權 五 民* * 경상대 철학과 교수 目 次 Ⅰ. 들어가는 말 Ⅱ. 대승의 진리관을 통한 연기 이해 Ⅲ. 불타 자내증으로서의 4성제 Ⅳ. 4성제와 12연기 Ⅴ. 연기의 甚深難知의 의미 Ⅵ. 결어 한글 요약 본 논문은 「緣起法이 불타 自內證이라는 經證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8.12.30
[스크랩] 불타 깨달음은 연기법인가? (Ⅰ) . 보조사상27집 緣起法이 불타 自內證이라는 經證 검토 - 불타 깨달음은 연기법인가?(Ⅰ) - 권오민 / 경상대 철학과 교수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불타 자내증이 연기법이라는 經證 검토 1. 연기법의 法界(法性) 常住說 (1) 常住는 決定性의 의미 (2) 유위연기와 무위연기 2. 연기와 법 3. 그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8.12.30
[스크랩] 선시(禪詩)에의 접근 . 선시(禪詩)에의 접근 권기호(시인·경북대 명예교수) 선(禪)은 인간과 우주의 근본 실체를 아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러한 근본 실체를 깨닫게 되면 인간은 삶과 죽음을 초월하게 되고, 모든 우주의 원리를 체득하게 되어 자유자재로 행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것이 신 통(神通)의 경지.. 불교와 인문과학 1 2018.12.30
[스크랩] 대상에 대한 부정의 부정 『조론(肇論)』<하> 6. 대상에 대한 부정의 부정 『조론(肇論)』<하> -칠불암 불상읽기 일곱부처 앞에서 과거 현재 미래는 하나로 회통한다 경주 남산의 칠불암은 자연을 끌어들여 작품의 일부분으로 만들고 있다. 일곱부처가 빚어내는 만다라는 신라를 불국토로 만들기에 충분했다. 바쁜 삶에 여백이 생.. 불교와 인문과학 1 2018.12.30
[스크랩] 대상에 대한 부정의 부정 『조론(肇論)』 상 5. 대상에 대한 부정의 부정 『조론(肇論)』 상 ‘가유’ 인정해 형상화 길 열어 예술은 대상을 바탕으로 한다. 대상이 없으면 이에 대한 사유나 표현이 없다. 예술에서 모든 생각과 상상의 원천은 대상이다. 꽃이 없다면 꽃의 아름다움을 그린 그림은 존재하지 않으며, 별이 없다면 별을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8.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