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1. 선과 악의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 / 김종욱 1. 선과 악의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 / 김종욱 김종욱 서울대 철학사상 연구소 특별연구원 [1호] 1999년 12월 10일 (금) 김종욱 서울대 철학사상 연구소 특별연구원 1. 문제의 상황 그날도 여전히 바빴다. 이렇게 열심히 일해도 자동차 세일즈를 하는 A에겐 요사이 별로 실적이 없었다. 그러나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20
[스크랩] 간화병통에서 본 간화수행법 . 간화병통에서 본 간화수행법 - 『대혜서』를 중심으로 - 혜달 / 동국대학교 선학과 강사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간화병통내용과 분류 1. 知解 2. 安住 3. 引證 4. 待悟 Ⅲ. 간화수행법 1. 參究話頭 斷絶思量分別 2. 提起疑情 大死一番 3. 打成一片 看破疑團 4. 了事漢 Ⅳ. 맺음말 국문 초록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禪宗 이야기 / 심재룡(서울대철학과교수) . 禪宗 이야기 심재룡(철학과교수) 불교의 여러 종파 가운데 선종은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직지인심(直旨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표어로 삼고 있다. 책 속에 쓰여져 있는 가르침 밖의 새로운 전통이라는 뜻이다. 불성을 보는 것과 부처가 되는 것은 동일하다는 말..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메를로-뽕띠의 철학과 보조지눌의 간화선 메를로-뽕띠의 철학과 보조지눌의 간화선 박진영 (jypark@american.edu) 미국 아메리칸 대학 철학과 교수.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과 방문 교수로 한국에 머물고 있다. 편저로《불교와 해체철학(Buddhisms and Deconstructions)》(근간), 논문으로〈선과 선의 언어철학(Zen and Zen Philosophy of Language)〉〈우리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궁극적 실재에 대한 불교적 관점과 물리학적 관점 궁극적 실재에 대한 불교적 관점과 물리학적 관점 김성구 <이대 물리학과 명예교수> 1. 들어가는 글 실재란 사물의 본질적 존재를 뜻하는 말이다. 불교를 제외하고 생각한다면, 실재에 관한한 모든 사상의 공통점은 유물론이나 유심론을 막론하고 객관적 실재를 인정하며 모두 실재..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예술작품의 의미와 해석: 대승기신론 ② 예술작품의 의미와 해석: 대승기신론 ② 진리-작품-독자의 해석 관계 화쟁 ‘체·상·용’으로 체계화 원효는 화쟁의 사상을 통해 체와 용과 상이 끝없이 순환하는 원리를 밝혔다. 이는 불교에서 예술을 바라보는 기초가 되어준다. 원효는 대승기신론을 주석하면서 화쟁(和諍)의 논법을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예술작품의 의미와 해석: 대승기신론 ① 예술작품의 의미와 해석: 대승기신론 ① 매일 보는 변기도 낯설게 보는 순간 예술적 의미 창출 20세기 최고의 미술작품으로 손꼽힌 마르셀 뒤샹의 ‘샘’. 뒤샹은 예술에 대한 개념의 전환을 통해 공장서 제작해 낸 변기를 예술작품으로 재탄생 시켰다. 필자가 오늘 시청 앞 광장에 라면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초기불교중심교리와 선정수행의 제문제/조준호 초기불교중심교리와 선정수행의 제문제 - 화두선 전통과의 교두보 확보를 위하여 (불교학연구 8호) 조준호(동국대 강사) Ⅰ. 들어가는 말 초기불교의 수행론의 논의에 있어 필자가 특히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은 Vipassanā(이하 Vs로 약호)와 화두선과의 연결고리를 확보해보자는 것이다.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남방불교의 수행문화 형성/ 남방불교의 수행문화 형성 정준영_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목 차 1. 상좌부(上座部, Theravāda)불교의 역사와 흐름 1) 스리랑카 불교의 역사와 흐름 2) 미얀마 불교의 역사와 흐름 3) 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 2. 상좌부불교의 수행문화 1) 스리랑카 불교의 수행문화 2) 미얀마 불..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
[스크랩] 사성제와 연기법의 결합에 대하여 사성제와 연기법의 결합에 대하여 __초기불전을 중심으로__ 김홍미/원과(圓果) 스님. 동국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Ⅰ 문제제기, 그리고 불교 해탈도에서 반야의 위상. Ⅱ 사성제는 어떻게 도출되고 응용되는가. Ⅲ 사성제에 대한 다른 응용은 어떤 형태인가. Ⅳ 사성제와 연기법은 어떻게..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