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증일아함경 : 만족할줄 모르는 세가지 법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법이 있다. 그것을 익히고 음미하면 만족할 줄 모르게 되고, 또 휴식처(休息處)로 가지 못하게 된다. 어떤 것이 그 세 가지인가? 즉 탐욕이니, 만약 어떤 사람..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증일아함경 : 지옥에 들어가는 여자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유하면 봄날 하늘에서 큰 우박이 쏟아지는 것처럼, 만일 여래(如來)께서 이 세상에 나오시지 않았다면 중생들이 지옥에 들어가는 것도 그와 같았을 것이다. 그 때..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증일아함경 : 지혜로운 사람의 소행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세 가지 모양과 세 가지 법이 있는데, 믿고 의지할 만한 것이 아니다. 어떤 것이 그 세 가지인가? 어리석은 사람은 사유할 만한 것이 아닌 것을 ..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 증일아함경 : 세가지 느낌(受) - 위대한 법문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느낌[痛]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세 가지 느낌인가? - 즐거운 느낌과 - 괴로운 느낌과 -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다. 모든 비구들아, 너희들은 마땅히..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증일아함경 : 몸/목숨/돈은 든든하지 못한 것이다.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든든하지[牢要] 못한 것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세 가지인가? - 몸뚱이가 든든하지 못하고 - 목숨이 든든하지 못하며 - 재물이 든든하지 못한 것이다. 비구들아, ..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증일아함경 : 세 가지 나쁜 행[三惡行]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나쁜 행[三惡行]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세 가지인가? 몸으로 짓는 나쁜 행과 입으로 짓는 나쁜 행과 뜻으로 짓는 나쁜 행을 말한다.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세 ..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증일아함경 : 세가지 큰 병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큰 병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세 가지인가? 즉 풍(風)이 큰 병이요, 담(痰)이 큰 병이며, 냉(冷)이 큰 병이다. 비구들아, 이것을 세 가지 큰 병이라고 말하느니라. 그러나 또 이 세 ..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증일아함경 : 사람의 입속에는 도끼가 있다. 증일아함경 : 사람의 입속에는 도끼가 있다.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구파리(瞿波離) 비구가 세존께서 계시는 곳을 찾아가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 조아려 예배하고 한쪽에 앉았다. 그 때 그 비구가 세존께 아뢰었다. "저 사리불(舍利..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증일아함경 : 임신/잉태는 이럴때 된다.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인연이 있어야 식(識)이 태(胎)를 받게 된다. 어떤 것이 그 세가지인가? 비구들아, 어머니가 애욕(愛欲)의 마음이 있어서 부모가 한곳에 모여 함께 머물러 잔.. 증일아함경 2018.01.21
[스크랩] 증일아함경 : 세가지 복이 되는 업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복이 되는 업(業)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세 가지인가? 보시(布施)가 복을 짓는 업이요, 평등(平等)이 복을 짓는 업이며, 사유(思惟)가 복을 짓는 업이다. 어째서 .. 증일아함경 2018.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