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연기법(緣起法) 불교의 가장 핵심적인 교리는 연기법(緣起法)이다. 부처님은 인생과 우주의 진리를 깨치신 분이며, 그 진리의 내용은 바로 ‘연기’이다. 부처님은 경에서 이 연기법을 아는 것이 바로 부처님을 보는 것이라고 하셨다. 앞으로 설명할 5온(五蘊), 12처(十二處) 등 일체법(一切法)의 분류, 삼..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14
[스크랩] 사경(寫經)수행 사경(寫經)수행 사경(寫經)은 부처님의 경전을 베껴쓰는 것으로 유래가 매우 깊은 수행법이다. 거의 모든 경전을 통해서 써서 지니고 외우는 “서사수지독송(書寫受持讀誦)”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만 보아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사경은 마음을 집중해서 정갈한 종이에 경문..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14
[스크랩] 사념처관(四念處觀) 사념처관(四念處觀) -건강한 심리상태 유발하는 네 가지 방법- 깨달음 성취하는 가장 기본 되는 출발점, 오정심관(五停心觀)이 불건강한 심리상태를 치유하고 멈추게 하는 다섯 가지 수행법이라면 사념처관은 건강한 심리상태를 유발하는 네 가지 수행법이다. 깨달음을 성취하는데 가장 ..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14
[스크랩] 반야심경의 의미 반야심경』과 『천수경』은 우리나라의 불교행사 때에 제일 많이 읽혀지는 경이다. 『천수경』이 관세음보살의 원력과 위신력, 그리고 중생이 어떻게 관세음보살을 신앙하며 중생의 입장에서 어떠한 발원을 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말씀했다면~ 『반야심경』은 「반야, 중도, 해탈」의 ..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14
[스크랩] 인과에 관하여~ 인과에 관하여 만사가 인과의 법칙을 벗어나는 일은 하나도 없어 무슨 결과든지 그 원인에 정비례한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우주의 원칙이다. 콩 심은 데 팥 나고 팥 심은 데 콩 나는 법 없나니 나의 모든 결과는 모두 나의 노력 여하에 따라 결과를 맺는다. 가지씨.. 생활속의 불교 2018.01.14
[스크랩] 중도(中道)란? 불교의 핵심사상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중도사상(中道思想)이요, 또 하나는 연기법칙(緣起法則)이다. 여기서는 중도 사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쓴 중용(中庸) 사상과 불교의 중도(中道)를 혼용해 설명하려는 자가 부지기수이기 때.. 중도(中道) 2018.01.14
[스크랩]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10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10) -법성게 강의 (8)- 27) 이다라니무진보 (以陀羅尼無盡寶) - 다라니의 다함없는 보배로써 28) 장엄법계실보전 (莊嚴法界實寶殿) - 법계의 실다운 보배 궁전을 장엄하고 29) 궁좌실제중도상 (窮坐實際中道床) - 마침내 실제 중도의 자리에 앉으니 30) 구래부.. 법성게 2018.01.14
[스크랩]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9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9) -법성게 강의 (7)- 23) 시고행자환본제 (是故行者還本際) - 그러므로 수행자가 본제에 돌아가려면 24) 파식망상필부득 (叵息妄想必不得) - 망상을 쉬지 않으면 되지를 않네 25) 무연선교착여의 (無緣善巧捉如意) - 조건없는 선교방편 마음대로 잡아 26) .. 법성게 2018.01.14
[스크랩]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8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8) -법성게 강의 (6)- 19) 능인해인삼매중 (能仁海印三昧中) - 능인이 해인삼매 가운데에서 20) 번출여의부사의 (繁出如意不思議) - 여의 부사의를 치성(熾盛)하게 드러내어 21) 우보익생만허공 (雨寶益生滿虛空) - 허공 가득히 보배 비 내려 중생을 이익되게 .. 법성게 2018.01.14
[스크랩]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7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7) -법성게 강의 (5)- 15) 초발심시변정각 (初發心時便正覺) - 처음 발심할 때에 바로 깨달음을 이루며 16) 생사열반상공화 (生死涅槃常共和) - 생사와 열반이 함께 하네 이 대목은 수도의 단계에 의하여 법을 분별하는 내용이다. 일체의 법에는 자성이 없다. .. 법성게 2018.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