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상당(上堂) 2. 3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상당(上堂) 2. 3 2 정안(正眼)이란 師(사), 因一日(인일일)에 到河府(도하부)한대 府主王常侍(부주왕상시)가 請師陞座(청사승좌)하니라 時麻谷出問(시마곡출문), 大悲千手眼(대비천수안)에 那箇是正眼(나개시정안)고 師云(사운), 大悲千手眼(대비천수안)에 那箇是正.. 임제록 2018.01.14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상당(上堂) 1-1, 1-2, 1-3, 1-4, 1-5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상당(上堂) 1-1, 1-2, 1-3, 1-4, 1-5 상당(上堂) (강의) 임제록에 실려 있는 내용을 그 형식에 맞추어 분류하면 서문(序文)· 상당(上堂)· 시중(示衆)· 감변(勘辨)· 행록(行錄)· 탑기(塔記) 이렇게 여섯 종류가 된다. 상당이란 선지식이 특정한 날에 법상에 높이 올라 설.. 임제록 2018.01.14
[스크랩]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序(서) 무비스님, 임제록 강설-序(서) -臨濟錄(임제록)- 鎭州臨濟慧照禪師語錄(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 序(서) 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 서문 延康殿學士(연강전학사) 金紫光祿大夫(금자광록대부) 眞定府路安撫使(진정부로안무사) 兼馬步軍都總管 兼(겸마보군도총관겸) 知成德軍府事(지성덕군부사.. 임제록 2018.01.14
[스크랩] 무비스님-임제록(臨濟錄)강설/ 이책을 쓰면서 무비스님-임제록(臨濟錄)강설/ 이책을 쓰면서… 이 책을 쓰면서… 우리나라의 불교는 대부분 임제 스님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그것을 대단히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당연한 것이라고 여긴다. 그래서 오래된 사찰에 있는 옛 스님들의 비석을 살펴보면 거의가 다 임제의 몇 대 후손이라고.. 임제록 2018.01.14
[스크랩] 나를 닦는 108 배 -나를 닦는 108 배- 모든 생명을 지극히 내 안에 모시고 살림의 장을 확산해 나가는 생명과 평화를 위해 108배를 올립니다. 001.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를 생각하며 첫 번째 절을 올립니다. 002.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해주신 부모님께 감사하며 두 번째 절을 올립니다. 003. 나는 누구인.. 생활속의 불교 2018.01.14
[스크랩] 늙음과 죽음 앞에 선 인생 늙음과 죽음 앞에 선 인생 부처님이 사위성 기원정사에 계실 때의 일이다. 어느 날 아난존자는 부처님의 늙은 육신을 보고 슬픈 얼굴로 이렇게 말했다. “거룩하신 몸도 과거와는 다르옵니다. 거룩하신 몸이 왜 이렇게 쪼글쪼글하나이까?” “네 말처럼 나의 몸은 이전과 다르구나. 왜냐.. 생활속의 불교 2018.01.14
[스크랩] 삼법인(三法印) 법인(法印)이란 법의 도장이라는 뜻이다. 법이란 물론 진리를 말하고 인장은 진리로써 인증하는 증표를 나타낸다. 이 진리는 부처님께서 발견하셨으므로 부처님의 교법이라 하며 불교를 다른 종교나 사상과 구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삼법인의 사상과 일치하면 불교이고 그렇지 ..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14
[스크랩] 사성제(四聖諦)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후에 펴신 최초의 설법은 고ㆍ집ㆍ멸ㆍ도(苦ㆍ集ㆍ滅ㆍ道) 사성제(四聖諦)이다. 사성제는 부처님의 최초의 설법인 동시에 일생의 설법이다. 부처님은 성도 후 수 주일 동안 선정에 잠기신 후 자신의 법을 듣고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교진여 등 다섯 비구를 찾아..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14
[스크랩] 일체법 일체법이란 모든 존재현상을 말한다. 불교가 지향하는 오직 한길이 인간 문제의 해결, 즉 인간 고(苦)의 해결인데, 왜 경전에서는 인간 문제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어 보이는 다소 현학적이고 철학적인 언급을 하고 있을까? 위에서 말했듯이 ‘나’는 다양한 연기적 관계 속에서만 존재한..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14
[스크랩] 12연기(十二緣起)란? 12연기(十二緣起)란~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와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라는 구절로써 존재의 발생을 설명하고, ‘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고’와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라는 구절로써 존재의 소멸을 설명하고 있는 연기법의 기본 원리를 가장 구체.. 불교의 기본입문 2018.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