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인문과학 57

서산대사의 선사상

서산대사의 선사상 상범/ 졸업생 운문지 74호에 게재된 글 Ⅰ. 서론 Ⅱ. 본론 1. 선교관(선교관) 2. 염불정토관 3. 삼교회통사상 4. 선가귀감 Ⅲ. 결론 Ⅰ. 서론 16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국불교는 우리 민족과 더불어 고락성쇠를 함께 해 오면서 하나의 큰 주춧돌이 되어 우리 민족 문화의 전반에 흐르고 있다. 일찍이 이 땅에 불법의 혜명을 전해 온 모든 조사스님들은 각자의 역량대로 법을 펼쳐 총림을 이루곤 하였다. 시대에 따라 그 주역이 바뀌기도 하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산중 불교의 꺼져 가던 혜명의 불빛을 다시금 되살려 놓은 산승이 바로 ‘서산(서산)’이라는 거목이다. 스님은 선교통합과 삼교회통(삼교회통)들이 모두 한 뿌리에서 나왔음을 제시하였고, 그 사상의 영향이 오늘에까지 미치고 ..

대혜『서장』의 일용선에 대한 고찰

대혜『서장』의 일용선에 대한 고찰 이 논문을 전국 승가대학 학인논문 공모전에 제출함 2005년 10월 31일 운문사 승가대학 사집반 경석 1. 들어가는 말 문명과 과학의 발달이 물질적 풍요와 생활의 편리를 가져다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어 전쟁과 폭행을 일삼아 자신만 잘 살기위한 이기주의가 팽배해지고 있다. 그로인한 자연의 파괴는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고, 인간 또한 자기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서로간의 불신으로 인한 인간소외 현상, 학교와 가정의 폭력, 자살 등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 점점 늘어만 가고 있다. 또한 넘쳐나는 정보로 인해 사람들은 더 이상 신에 대한 존재를 믿기보다는 이렇게 어지러운 세상에서 공허하게 사는 자신의 마음을 깨쳐 참 나를 알아 행복을 추구하기를 갈망하고 있다. 불..

법현, 현장, 의정, 혜초스님의 기행문을 통해서 본 서역 구법활동 고찰

법현, 현장, 의정, 혜초스님의 기행문을 통해서 본 서역 구법활동 고찰 운문승가대학 대교반 종 률 Ⅰ. 서론 ............................................................................................1 1. 연구목적.................................................................................1 2. 연구방법.................................................................................2 Ⅱ. 구법승들의 생애 및 활동상 분석...................................4 1. 구법승..

진흙탕 위에 피어난 연꽃 사이버 불교의 미래

진흙탕 위에 피어난 연꽃 사이버 불교의 미래 전국 승가대학 학인논문 공모전에 제출함 운 문 승 가 대 학 대 교 과 운 성 2 0 0 5 Ⅰ. 들어가는 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사이버 시대에 종교가 설 자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사이버 시대의 도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 혼돈의 뒤안길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남방불교의 선정수행

『 남방불교의 선정수행 』 - 『淸淨道論(Visuddhimagga)?의 定(Samādhi)수행을 中心으로 - 황미향(동국대 선학과 강사) Ⅰ. 머리말 Ⅱ. 남방불교의 수행 1. 止 계발 방법(Samatha - bhāvanā) 2. 觀 계발 방법(Vipassanā - bhāvanā) Ⅲ. ?淸淨道論(Visuddhimagga)?의 定(Samādhi) 수행 1. 定(samādhi)의 정의 2. 定(samādhi) 수행의 기초 1) 定(samādhi)의 의미 2) 定(samādhi)의 3단계 3) 定(samādhi)의 三相 3. 定(samādhi) 계발을 위한 준비작업 - 捨斷支와 具備支 구별 - 4. Samādhi와 Jhāna 5. 40 業處(Kammaṭṭhāna)고찰 6. 사마다(Samatha)..

욕계,색계,무색계의 행복에 이르는 길_20181028, 상도선원, 김진태교수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위빠사나 수행의 인연 제가 위빠사나를 만난 것은한 20년 정도 됐습니다. 아는 스님이 미얀마에 한 6개월 다녀와서 위빠사나 가르친다고 해서 토요일이면 인천까지 가서 한 달간 배웠습니다. 그런데 몇 가지 질문을 하니까 대답을 잘 못하시더라고요. ‘이건곤란하다.’ 차라리 백지로 놔두는 것이 낫지 황칠을 하면 고치기 무척 어렵습니다. 그러다가 이런저런 인연으로 미얀마에서 오신 스님을 한 분 만나게 되었습니다.사실 충격이었습니다. 마침 그 스님께서 미얀마로 들어가시면서 같이 가자고 하시더라고요. 제가 올해까지 만 15년을 미얀마로 수행을 다니고 있습니다. 1월 2일쯤 출국 해서 학기 시작 전에 인천에 도착합니다. 한 두 달 정도를 수행하다 옵니다. 우리는 불교라고 하면자기도 모르게 ..

『원각경』의 수행론 -성상융회(性相融會)를 중심으로-

『원각경』에서는 무명과 원각 그리고 중도의 세 관점에서 본래성불과 증오성불을 중심으로 수행론을 논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상을 性과 相으로 구분하여 회상귀성과 性起論그리고 성상융회의 세 관점에서 중도를 밝히고 있는 화엄교학의 성상융회론을 바탕으로 『원각경』의 수행론을 고찰하였다.『원각경』을 화엄교학과 선종을 바탕으로 회통적 관점에서 이해한 대표적인 사람은 종밀이다. 그는 상에서 성을 향하는 會相歸性의 관점에서 원각경을 이해하여 돈오점수를 수행론으로 제시하였다. 회상귀성의 관점에서는 증오성불이 중심문제이다.회상귀성은 성에서 상을 향하는 性起論을 바탕으로 성립된다. 性起論의 관점에서 보면 삶, 수행, 成佛, 濟度, 돈오, 점수는 모두 원각의 顯現이자 一心의 나툼이다. 그렇기 때문에 性起論의 관점에서는 ..

頓悟頓修(돈오돈수)의 起源(기원)과 主張者(주장자) 및 佛敎歷史上의 評價(평가)

頓悟頓修(돈오돈수)의 起源(기원)과 主張者(주장자) 및 佛敎歷史上의 評價(평가) The Origin of Sudden Enlightenment & cultivation and its evalua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m 朴 商 洙 (Park, Sang Su) 東國大學校 佛敎學科 講師 목 차 | ( 1/3) | (2/3) | (3/3) | Ⅰ. 머리말 ◀ 현재 ↙ 첫 페이지 (2/3) ↘ Ⅱ. 頓悟頓修의 起源(돈오돈수·기원)과 그 주장자들 1. 佛敎의 修證論(불교의 수증론) 2. 宗密(종밀)과 延壽(연수)의 修證論 1) 頓漸四句(돈점사구) 2) 兩者(양자)의 계승관계 3. 澄觀(징관)의 修證論 (1) 징관의 돈오돈수설 (2) 징관과 종밀의 돈오돈수설 (2)_1.先悟後修(선오후..

붓다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쳤는가 / 신희정

불교평론[73호] 2018년 03월 15일 (목) 붓다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쳤는가 -도덕 교육학자의 눈으로 본 붓다와 붓다의 교육 신희정 fusco@naver.com 1. 현대 교육에서 바라본 붓다의 교육 붓다는 교육자인가 아닌가? 현대 교육자의 모습에 빗대어 붓다를 바라보면 붓다는 교육자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는 보통사람이 아니고, 학문과 기예를 특정한 발달단계에 있는 대상에게 가르치지도 않는다. 그러나 교육 본위로 돌아가 교육의 의미를 고찰한 후 교육자의 모습을 떠올려보면 그 대답은 달라질 수 있다. 교육은 사람됨을 목적으로 하고, 인격을 도야하며 도덕적 향상을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한 행위이다. 이와 같이 교육을 정의하고 나면 아마 동서고금에서 붓다 이상의 대교육자는 찾기 어려울 것이다. 왜냐하면 붓..

『四分律』에 나타난 神異現狀에 관한 硏究 - 바라제목차와 건도부를 중심으로 - / 이현배

『동아시아불교문화』33집, 2018. 3, 317~344 『四分律』에 나타난 神異現狀에 관한 硏究 - 바라제목차와 건도부를 중심으로 - 이 현 배(탄공)/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외래강사 Ⅰ. 들어가는 말 Ⅱ. 『사분율(四分律)』 바라제목차(波羅提目叉) 에 나타나는 신이, 신통현상 1. 사바라이법 1) 음계 2) 살인계 2. 십삼승잔법 1) 촉여인계 2) 파승위간계 3. 삼십사타 Ⅲ.『사분율(四分律)』건도분(揵度分) 에 나타나는 신이, 신통현상 1.선정의 단계와 신통 2.신통과 묘용 Ⅳ. 나오는 말 『사분율四分律』에서 지계(持戒)를 통한 청정수행은 비구의 필수항목이며 자신의 생명을 비롯한 타인의 생명과 존엄성의 가치를 소중하게 다루고 있 다. ?율장?속에 신이(神異)와 신통(神通) 현상이 보편적으로 나타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