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인문과학 57

빠알리어 경전과 대승경전의 사상적 차이 / 박경준

빠알리어 경전과 대승경전의 사상적 차이 / 박경준 ―《숫따니빠따》와 《법화경》을 중심으로 [44호] 2010년 09월 06일 (월) 박경준 sjkj@dongguk.edu 1. 머리말 박경준 교수오늘날의 세계불교는 크게 남방불교[또는 남전불교]와 북방불교[또는 북전불교]로 이분된다. 남전불교는 동북아시아에서 일반적으로 소승불교라 불려 왔는데, 현재 스리랑카, 미얀마, 타이, 라오스, 캄보디아 등에서 신봉되고 있다. 이들 국가의 불교도들은 스스로를 ‘테라와다(Theravāda: 長老의 道, 上座部)를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에서 ‘테라와딘(Theravādin)’이라고 부른다. 북전불교는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네팔, 부탄, 티베트, 러시아(의 일부 지방), 몽골, 중국, 베트남, 일본 등에 퍼져 있으며, 이..

화두참구의 두 가지 방법과 漢岩禪

화두참구의 두 가지 방법과 漢岩禪 윤창화*1) * 도서출판 민족사 대표. • 목 차 • Ⅰ. 서론 Ⅱ. 간화방법(화두참구법)의 두 갈래 1. 대혜종고의 간화방법-單提參句 2. 몽산덕이의 간화방법-全提參意 Ⅲ. 몽산의 대혜방법 비판 Ⅳ. 대혜⋅몽산 간화법의 한국 전래와 수용 1. 대혜방법의 전래와 수용 2. 몽산방법의 전래와 수용 Ⅴ. 漢岩禪의 간화방법 - 單提參句(대혜)⋅全提參意(몽산) - Ⅵ. 한암의 화두참구법 - 중도 Ⅶ. 맺는말 한 글 요 약 간화선은 大慧宗杲(1089∼1163)에 의해 완성⋅체계화 되었다. 대혜는 “망념이 일어날 때는 오로지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를 참구하라(妄念起時, 但舉箇無字).”, “조주가 ‘無’라고 했으니,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는 곧 허다한惡知見)과 惡覺을 꺾어..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 김선근*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교수 Ⅰ. 머리말 Ⅱ. 법화경의 구성과 성립사 Ⅲ. 법화경에 나타난 空思想의 背景 Ⅳ. 法華經에 나타난 空思想 Ⅴ. 맺음말 요약문 공의 사상은 원시불교의 ‘제행무상’이나 ‘제법무아’라는 관념을 받아들인 사상이다. 空思想은『아함경』이나 아비다르마 불교에도 있지만 이 空思想을 더욱 심화시켜 존재하는 모든 것의 본성은 空이라 하고, 법이 空함과 법에 자성이 없음을 분명히 했던 것은『금강경』이다. 『법화경』에 나타난 空사상은『반야경』의 空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제 14 「안락행품」, 제 16 「여래수량품」, 제 4 「신해품」, 제 5 「약초유품」 그리고 제 10 「법사품」에 나타나 있다. 제 10 「법사품」을 제외한 모든 品들은『반야경』의 空사상을 계승한 ..

[스크랩] 돈오점수와 초기불교의 수행/임승택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 임승택/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 이 논문은 2010년도 경북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사업에 의해 작성되었음. 1) Ⅰ 시작하는 말. Ⅱ 돈오점수의 의미. Ⅲ 팔정도의 구조. Ⅳ 돈오점수와 초기불교. Ⅴ 마치는 말. 요약문 지눌의 돈오는 해오로서 이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문자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으며 본성에 대한 깨달음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돈오란 사실상 증오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성향과 습기가 남아있는 한에서 증오와 구분될 뿐이다. 지눌에게서 돈오와 점수는 논리적으로는 선후의 관계에 놓이지만 시간적으로는 동시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돈오 이후에 별개의 점수를 닦는 것이 아니라, 돈오 자체로써 곧바로 새로운 차원의 닦음이 시..

논문 - 유식사상 / 김태완

유식사상 목차 유식사상 - 1. 唯識의 의미 유식사상 - 2. 唯識無境의 논증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⑴ 주관과 객관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⑵ 識一元論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⑶ 식의 四分說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⑷ 8識 유식사상 - 3. 인식의 구조 - ⑸ 阿賴耶識緣起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⑴ 아뢰야식의 의미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⑵ 종자의 기능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⑶ 아뢰야식의 대상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⑷ 아뢰야식에 언제나 동반하는 다섯 가지 심작용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⑸ 無覆無記인 아뢰야식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⑹ 아뢰야식의 相續 유식사상 - 4. 아뢰야식 - ⑺ 아뢰야식의 소멸 유식사상 - 5..

초기불교 문헌에서 자비의 문제/윤영해

초기불교 문헌에서 자비의 문제 -그 실천 이유와 근거- 윤 영 해/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교수 Ⅰ. 머리 말 Ⅱ. 열반으로 가는 수단 Ⅲ. 자신에게 비춘 타자 Ⅳ. 증오의 해독제 Ⅴ. 맺는 말 [요약문] 자비의 실천은 불교에서 더없이 강조되는 덕목이다. 이 논문은 자비실천의 이유에 대한 논구이다. 이유가 분명할수록 실천의 요청에 대한 설득력은 강할 것이다. 초기불교 문헌에서 나타나는 자비실천의 이유는 세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 이유는 그것이 열반으로 가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초기불교에서 자비의 실천은 이타적 실천이 아니라 자리적 실천으로 설정된다. 지혜를 먼저 성취 한 다음에 자비의 실천으로 나서는 것이 아니라, 자비를 함양해야만 지혜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자비를 실천해야 하는 또..

[스크랩] 불교학 연구회 19호 - 지와 관, 선정과 사념처에 관한 고찰 / 한자경(이화여자대학교)

I. 들어가는 말 수세기 동안 한국을 포함한 북방 대승불교의 주된 수행법은 화두를 들고 참구하는 간화선이었지만, 남방불교의 주된 수행법은 사념처를 중심으로 하는 위빠사나 수행이었다. 요즘 들어 마하시나 고엥카 등 위빠사나 수행이 한국에 소개되고 난 후, 선방은 간화선을, 학계는 위빠사나 수행을 불교의 핵심수행인 것처럼 주장하지만, 정작 선과 위빠사나, 지와 관, 정과 혜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해, 선승과 학자들 간에뿐 아니라 학자들 상호 간에도 통일된 의견을 갖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대승기신론도 천태도, 원효도 지눌도 모두 지관쌍행, 정혜쌍수를 주장해왔지만, 아직도 그 논의가 그치지 않는 것은 근본적으로는 수행의 이론 초월적 심원함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어느 정도는 개념적 명료화 내지 체계화..

2018.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