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인문과학 57

동남아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와 중소기업의 아세안 진출

동남아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와 중소기업의 아세안 진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0 (여의도동) 본관 이충렬 교수┃고려대학교 ┃외부 필진 보고서는 중소기업중앙회의 공식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TRADE INSIGHT 트레이드 인사이트 트레이드 인사이트는 무역통상 현안을 전문가가 깊이 있게 분석하여 중소기업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중소기업중앙회가 발간하는 자료입니다. TRADE INSIGHT 2018-9호 동남아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와 중소기업의 아세안 진출 02 1. 동남아 진출과 동남아 사회와 문화에 이해 ■ 지난 20년간 한국과 동남아 혹은 아세안간의 경제관계가 매우 긴밀하게 되었음. - 아세안이 한국의 총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세안과 한국이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1990..

티벳의 지관 수행체계 연구- 까말라쉴라의 수습차제를 중심으로 / 양승규

티벳의 지관(止觀) 수행체계 연구 -까말라쉴라의 ?수습차제?를 중심으로양승규 [국문 초록] ?수습차제?에서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차제적인 측면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대승불교의 측면에서 지관을 실천하는 방법을 구체 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수습차제?에서 설명하는 지관의 수행체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승불교의 핵심은 대비심, 보리심, 수습 셋이다. 대비심은 ‘일체 중생이 어떻게 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하고 생각하는 마음이다. 대비심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먼저 일체 중생이 동등하다는 동등심을 일으 켜야 한다. 일체 중생은 모두 고통을 싫어하고 행복을 원한다는 점에서 똑같다. 이런 중생들이 윤회하는 동안 나를 낳아주고 길러준 어머니라는 생각해야 한다. ..

불교교육의 기초 (The Foundations in Buddhist Education)와 차제적 교육방법 /이송곤 박사의 ‘불교교육학’강좌

이송곤 박사의 ‘불교교육학’강좌11. 불교교육의 기초 (The Foundations in Buddhist Education)와 차제적 교육방법 1) 초기불교 교육방법의 토양 : 온(蘊)·처(處)·계(界) ⓛ 불교교육의 존재론적 기초 초기불교 경전에서 서술하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교육방법은 온(蘊) · 처(處) · 계(界) · 근(根) · 제(諦) · 연(緣) 등을 순차적으로 說하는 과정에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미리 말하지만 남방불교권에서 존경하는 붓다고사 스님은 위숫디막가(Visuddhimagga; 淸淨道論)에서 이 여섯 가지 온(蘊) · 처(處) · 계(界) · 근(根) · 제(諦) · 연 등을 위빠사나 수행을 위한 토양이라고 말씀하고 있는데, 그것을 보더라도 이 여섯 가지는 초기불교의 교육방법에서..

교학과 종학-현행 불교강원의 교과과정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노원앙마블로그

교학과 종학- 현행 불교강원의 교과과정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 - 권 오 민*1)​목차1. 들어가는 말2. 현행 불교강원의 교과과정 1) 교과과정과 개요 2) 현행 교과과정의 유래3. 관견(관견)을 통해 본 교과과정의 문제점 1) 선종 중심의 교과과정 2) 성종(성종) 중심의 교과과정 3) 차제방편을 무시한 교과과정 4) 그 밖의 의문점들4. 개선방안--교과과정의 이원화 1) 교학(교학)으로서의 불교학 2) 종학(종학)으로서의 불교학 3) 교판에 의한 차제방편성의 회복 4) 이원적 교과과정5. 맺음말1. 들어가는 말불교가 더 이상 특정 종교집단의 전유물이 아닌 오늘날에 있어서도 전통강원은 불교교육기관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비록 동국대학이나 그 밖의 몇몇 종립대학이라는 불교교육기관이 존재하고..

불교관련 2020.04.19

이종철 교수의 불교강좌 [전문]

이종철교수의 불교강좌 ■ 이종철 교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한 후 일본 동경대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도 Mysore대학 연구원과 중국 북경대 교환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로 재직중이며, 전공은 불교철학(구사, 유식)이고 ‘인도불교와 동아시아불교의 비교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 목 차 ▒ 1. 연재를 시작하며 2. 나가르주나에게 부처님은 어떤 분이셨을까? 3. 부처님을 향한 신앙은 맹종도 회의주의나 상대주의도 아니다 4. 연기와 희론(1) 5. 연기와 희론(2) 6. 연기는 존재를 인정하나 본체는 부정한다 7. 논서명〈중론송〉에서 ‘중(中)’의 의미 8. ‘유무(有無)’와 ‘공(空)’의 구별 9. 연기와 존재 10. 범부와 성자의 구별 11. ‘불상부단(不常不斷)’에 관해..

병고와 죽음에 대한 불교의 인식과 가르침

[논단] 병고와 죽음에 대한 불교의 인식과 가르침 [불교평론 58호] 2014년 06월 01일 (일) 양 정연 1. 들어가는 말 모 방송국에서 〈생로병사의 비밀〉이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건강을 지키고 질병을 이기는 방법 등 유익한 정보들을 소개해주는 까닭에 일부 흥미 위주의 드라마보다 시청률이 더 높다고 한다. 사람들의 관심이 양에서 질로 이동하면서 ‘오래 사는 것’보다 ‘어떻게 오래 살 것인가’에 대해 흥미를 더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심은 ‘사는 것’에 대해서만 아니라 죽음이나 임종 과정에서도 보인다. 호스피스의 범위가 임종환자를 돌본다는 기존의 개념에서 인간 존엄성, 인간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인 측면으로까지 확장되어 정의되는 것을 보면 삶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이..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 이거룡/선문대 통합의학대학원 교수 Ⅰ. 머리말Ⅱ. 우빠니샤드에서 업과 윤회사상의 형성Ⅲ. 초기불교에서 업설의 불교적 변용Ⅳ. 윤회의 주체문제에 대한 우빠니샤드전통과초기불교의 입장 비교Ⅴ. 맺는말 I. 머리말 우빠니샤드(Upaniṣad)와 불교는 이른바 “축(軸)의 시대”1)에 인도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두 사상으로 꼽힌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2-3세기의 시차를 두고 불교는 갠지스강을 경계로 그 위의 동북부에서일어났고 우빠니샤드는 그 아래의 도압(Doap)지역을 거점으로 형성되었다 할지라도, 이 두 사상은 거의 동시대에 갠지스강 유역에서 형성되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거의 동시대에 인접한 지역에서 발생한 두 사상이지만, 그 내용으로 보면 우빠니샤드와 불교 ..

숫따니파다(Suttanipāta)에 나타난 번뇌론과 수행론 고찰

숫따니파다(Suttanipāta)에 나타난 번뇌론과 수행론 고찰 - 제4장과 제5장을 중심으로 - / 이필원 박사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Sn. 문헌의 개괄 Ⅲ. 최고층 문헌에 나타난 번뇌론 1. 번뇌의 분류 2. 정서적 번뇌 3. 이지적 번뇌 4. 번뇌의 소멸 방식 Ⅳ. 최고층 문헌에 나타난 수행론 1. ‘떠남’의 방식으로서의 수행 2. 독립된 수행체계로서의 싸띠(sati) 3. 최고층에 나타난 선정 수행 Ⅴ. 결론 ■ 각 주 : 본 논문의 출발점은 고따마 붇다의 원초적인 가르침에 입각해서 불교의 두 기둥인 ‘번뇌’와 ‘수행’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불교 발전사 가운데 최고 정점에 위치한다고 하는 Suttanipāta(이하 Sn., 숟따니빠-타)의 제4장과 제5장을 선택했..

율장을 통해 본 성욕과 성윤리 / 이자랑

불교평론[74호] 2018년 06월 01일 (금) 율장을 통해 본 성욕과 성윤리 이자랑 jaranglee@hanmail.net 1. 서론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나도 그랬어’, 일명 ‘미투(Me too) 운동’이 최근 들어 한국사회를 뒤흔들고 있다. 이를 계기로 우리는 주변 곳곳에서 성과 관련하여 벌어지고 있는 크고 작은 사안들을 되돌아보게 되었다. 무언가 모를 불쾌감을 느끼면서도 그것이 성추행이라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한 채 살아온 것 같다는 누군가의 푸념이 어찌 한 사람만의 일일까. 일상에서 겪게 되는 비교적 가벼운 언어적 · 신체적 성적 수치심까지 감안한다면, 우리는 거의 무방비한 상태로 성폭력의 피해에 노출되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성욕은 식욕이나 수면욕처럼 인간이라면 누구나 지닌..

초기 상좌부 불교의 식문화 고찰

인도철학 제39집(2013.12), 201~234쪽 초기 상좌부 불교의 식문화 고찰( 본 논문은 2013년 11월 22일, 인도철학회와 동국대 불교사회문화연구원주최의 ‘불교전통과 식문화’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것을 수정․보완한것이다.)김한상/동국대학교 I 서언. Ⅱ 견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 Ⅲ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 IV 견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과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의 화회(和會). V 결어. [요약문]본고의 목적은 중도적 관점에서 초기·상좌부 불교의 식문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주지하듯이, 중도(中道)는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범행(梵行, brahma-cariya)을 닦는 방식이다. 붓다는 첫 설법에서 다섯 비구들에게 중도를 설하여 감각적 쾌락과고행이라는 두 극단을 따르지 않고 깨달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