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인문과학 57

고려후기 선종산문과 원나라 선풍 / 황인규

고려후기 禪宗山門과 元나라 禪風 The Influence of Yu’an(元) Dynasty’s Seon(禪) & Development of Two Seon School(山門) in the Latter Koryo Dynasty 저자 (Authors) 황인규 Hwing In-Gyu 출처 (Source) 중앙사론 23, 2006.6, 77-110 (34 pages) CHUNG-ANG SARON : Journal of Chung-Ang Historical Studies 23, 2006.6, 77-110 (34 pages) 발행처 (Publisher)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Institute for Historical Studies at Chung-Ang University URL http://www.dbpi..

초기 대승경전의 관음신앙과 태허조사

초기 대승경전의 관음신앙과 태허조사 (初期 大乘經典의 觀音信仰과 太虛祖師) Ⅰ. 들어가는 말. 현세의 위난을 구제하여 인간들에게 이익을 주는 관음신앙은 인도에서 발생하여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을 거쳐 동양 3국에 전승되어 민중 사이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 이름은 시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불리어지고 있지만 그것은 관음 실체에 대한 이해의 변화를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좌우간 대승불교 교설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폭 넓게 유포된 신앙은 관음신앙이다. 대승불교가 전해는 곳에서는 어느 시대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관음신앙은 보살사상의 신앙적 극치라 할 만큼 대승불교권 전역에 개화(開花)하여 민간신앙으로서 커다란 영향을 끼쳐왔다. 대승불교가 흥기하던 기원 전 1세기 경 인도불교사에 나타난 많은 보살들 중..

초기불교의 번뇌 / 김재성

초기불교의 번뇌 김재성/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metta4u@empal.com I. 머리말. II. 초기불교의 번뇌. Ⅲ. 맺는 말. [요약문] 고타마 붓다는 괴로움과 괴로움의 소멸만을 가르친다고 했다. 괴로움의 구조의 해명과 괴로움을 소멸시키는 방법론으로 제시된 가르침이 사성제이며, 12연기이다. 사성제에서는 괴로움의 원인으로 갈애[愛, taṇhā]가 제시되었고, 12연기에서는 무명, 갈애, 그리고 집착의 세 가지 번뇌가 제시되었다. 본고는 초기경전을 중심으로 무명과 갈애를 포함하고 있는 괴로움의 원인인 번뇌를 고찰한다. 초기경전에서 번뇌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용어로는 āsava, akusala, kilesa, upakkilesa, mala, anusaya, nīvaraṇa, saṃyojan..

삼국시대의 불교교학과 치병활동의 관계

삼국시대의 불교교학과 치병활동의 관계* 여 인 석** 1. 서 론 고대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은 제한된 세한 사료로 그 시대의 모습을 그려내 어야 한다는 점에 있다. 특히 잦은 전란으로 기록의 산일이 심해 이용할 수 있는 사료가 빈곤한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 각훈(覺訓)이 왕명을 받들 어 삼국시대에 활동한 고승들의 전기인 해동고승전 을 편찬하면서(1215년) 벌써 사료의 부족을 안타까워하고 있는 형편이니1) 그보다 700여년이 지난 오늘날의 경우는 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다. 이러한 사료부족의 문제는 일반사의 역이 아니라 의학사와 같은 분야사의 연구로 들어가면 한 층 더 심각해진다. 다만 한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김두종의 한국의학사 와 같은 선구적..

관세음보살의 기원

관음신앙 연구 -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천종환 學位論文 (발췌) 목 차: 생략 국 문 초 록 본 논문의 목적은 불교의 대표적 신앙인 관음신앙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여 보는 데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내부의 시각에서만 접근하지 않고 더욱 넓은 시각의 종교학적 관점에서 관음신앙을 조망하여 보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관세음보살의 기원’에 대해서 논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관음신앙의 사상적 발전’에 대해서 다섯 개의 절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제3장에서는 ‘관음신앙의 여러 유형’에서는관음신앙이 불자들의 신앙생활 속에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상세히 고찰하여 볼 것이다. 끝으로 제4장에서는 몇 가지 관음신앙과 관련된 사항들을 탐구하여 보고자 한다. 머리말 흔히 불교라 하면 ‘수행의 종교’라 말하..

대품반야경에서 선남자․선여인의 성격

대품반야경에서 선남자․선여인의 성격 문 을 식/동국대학교 강사 차례 1. 들어가는 말 2. 선남자․선여인의 일반적 의미 3. 대승불교 이전의 경전에서 선남자․선여인의 성격 (1) 단순히 ‘훌륭한 가문의 출신자’라는 의미로 쓰인 경우 (2) 비구 된 자가 출가하기 전 집에 있었을 때를 부르는 경우 (3) 5계를 지키고, 부모를 비롯한 처자․종친․사문․바라문을 공경하는 경우 4. 선남자․선여인과 보살과의 관계 5. 반야반라밀의 신앙자와 전지자로서 선남자․선여인 1) 반야바라밀의 신앙자로서 성격 (1) 모든 천신과 시방 현재불에 의해 수호되고 보호받는 경우 (2) 단지 반야바리밀을 서사하여 집에서 공양만 해도 이익을 얻는 경우 (3) 칠보로 된 탑을 세워 공양하는 것보다 반야바라밀을 수지독송하고 공양하는 것이..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 임승택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 이 논문은 백련불교문화재단 부설 성철선사상 연구원과 동국대학교 불교학술 원 종학연구소에서 공동으로 주최한 ‘성철스님 탄신 100주년 기념 5차 학술포 럼(2012년 3월 29일)’에서 발표되었던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불교학연구』 제32호(2012. 8.) 임승택/경북대 철학과 교수 Ⅰ. 시작하는 말 Ⅱ. 깨달음의 사전적 의미 Ⅲ. 깨달음의 돈(頓)과 점(漸) Ⅳ. 깨달음의 다양한 양상들 Ⅴ. 사성제의 실천 순서와 돈점 Ⅵ. 마치는 말 [요약문] 이 논문은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돈점 문제를 다룬다. 깨달음이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괴로움이 소멸된 상태’에 이르게 해준다. 초기불교에서는 이것이 발현되는 양상에 관해 근기에 따른 차이를 인정한..

불교의 인과성과 시공간의 문제: 현대 과학과의 비교 / 노원앙마블로그

불교의 인과성과 시공간의 문제: 현대 과학과의 비교 ​ ​ 이 논문을 제2회 전국 학인논문 공모전에 제출함 2006 ​ ​ 운문 승가대학 사교과 정 문 목 차 ​ I. 서론 2 II. 연기론과 인과성 4 1. 인과성에 대한 고찰 4 2. 불교의 인과론으로서의 연기 7 1) 초기불교의 연기 7 2) 화엄의 법계연기 11 3. 현대과학의 인과성 14 III. 시공간론 18 1. 불교의 시공간론 18 1) 부파불교의 공간론 - 색분제(색분제) 19 2) 부파불교의 시간론 - 시분제(시분제) 20 2. 물리학의 시공간론 23 1) 뉴턴 역학의 시간과 공간 23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시공간 24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시공간 25 4) 초끈 이론에서의 시공간 29 3. 불교의 시공간론과 물리학의 시공간론 비교 ..

불교와 과학 2020.07.19

아함경에서의 공사상 (阿含經에서의 空思想)

{阿含經}에서의 空思想 김 태 완 (부산대) 차 례 Ⅰ. 서 론 Ⅱ. 空觀 (1). 五蘊을 觀함 (2). 六根을 觀함 (3). 空의 의미 Ⅲ. 空處定 Ⅳ. 空三昧 Ⅴ. 결 론 Ⅰ. 서 론 불교에서의 '空'이라는 말은 대체로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이며 전유물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 소수의 연구서 이외에 대다수의 교리 개설서나 교리사에서는 空思想을 대승불교의 핵심으로 다루며, 초기불교에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물론 '공'이 般若나 中觀 등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초기불교에서 '공'으로 표현되는 사상을 탐구해 보아야 할 이유가 몇 가지 있다. 첫째, 무엇 보다도 아함경에서의 붓다의 교설 가운데 중요한 부분에 '공'이라는 용어가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空' 자가 經名으..

[행복한 인문학] 스스로가 부처인가? - 혜능과 ‘육조단경’

번잡한 인도불교를 동아시아의 민본적 혁명 사상으로 해석하다 인간은 역사적 동물이다. 그리고 시대적 조류와 상황적 사조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가 사회를 이루고 살아간다. 영원불변이라고 믿어온 가치체계나 진리라는 것도 사실은 역사적 궤적에서는 가변성과 다각도의 시각적 상대성으로 전변하기도 한다. 붓다의 진리도 중국으로 건너와서 많은 변모를 겪었다. 그중에 달마조사에 의한 선불교의 시작은 전혀 새로운 형태의 불교문화를 형성했다. 그리고 그것이 육조 혜능에 와서는 가히 혁명적인 사회적 파장을 주는 일종의 사회변혁적 역할까지 수행하는 일이 발생한다. 무엇이 동양문화의 한 축인 중국사회를 그토록 크게 변모시켰는가? 중국불교권만이 아니라 유교권, 문화권, 예술권 그 모든 것이 혜능 이후에 변했다. 그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