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141

우울증 재발방지와 알아차림 명상

우울증 재발방지와 알아차림 명상 종종 찾아오는 우울감.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우울은 감기. 우울이 찾아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첫째 우울이 찾아오는 원인 파악. 둘째 명상과 문제해결이 필요. 우울증 재발방지. 우울증이 치명적인 이유. 심각한 수준의 재발률. 우울증 재발률 1.첫 번째 우울증 발병 이후 50~75% 2.두 번째 우울증 발병 이후 70% 3.세 번째 우울증 발병 이후 90% 반복적인 재발률의 상승. 우울증 약물치료시 70~80%의 재발. 끊임없는 약물투약 신경을 둔감하게 하는 약물치료. 약물의 부작용으로 투여중단. 통계결과 재발률 상승. 우울증 치료로 유명한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재발률 50%.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병원에서의 우울증 치료. 약물치료 vs 인지행동치료 3분의 ..

기타 2021.09.21

청소년 문제 사례 및 예방을 위한 대책

청소년 자살 사례 및 예방을 위한 대책 ⊙ 청소년 자살 사례 치명적인 자살율은 성인기로 갈수록 증가하지만 자살 시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청소년기이다. 질풍노도의 시기로 비유되는 청소년기는 인지적으로 미성숙할 뿐만아니라 인생의 어느 시기에서보다도 정서적 충동성이 심화되는 시기이므로 청소년들 가운데는 우울하거나 절망적이 아니어도 충동적으로 자살 시도를 보일 위험이 많다고 한다. 청소년기는 자기 자각이 급증하는 시기인데 비해 청소년들은 성인들보다 좌절 경험이나 감정, 자존심을 위협하는 생각과 같은 고통스런 자기자각을 견디는 자아 강도가 약해서 이러한 부정적인 심리 상태에서 즉각적으로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가 강렬해진다. 청소년 자살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들의 자살엔 분명한 동기가 있다. 자살을 하는 ..

기타 2021.09.21

불평등에 대한 계급/세대갈등의 교차와 전위 / 이도흠

불평등에 대한 계급/세대갈등의 교차와 전위 / 이도흠 특집 | 한국사회의 갈등, 그 극복을 위한 청문(聽聞) 1. 머리글 21세기에도 세계는 계급, 종교, 인종, 민족, 이념, 지역, 세대, 젠더 사이의 갈등으로 들끓고 있다. 기원전 4,000년 이래로 늘 계급갈등이 치열하였으며, 사회적 영향은 지극히 미미했지만 세대 사이의 충돌 또한 늘 있었다. 20세기에 들어 종교, 인종, 민족, 이념의 갈등은 세계대전과 대량학살을 야기하는 바탕을 형성하였으며, 21세기에는 종교와 인종의 갈등이 곳곳에서 전쟁과 테러의 밑불 구실을 하고 있는데, 젠더갈등도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한국사회에도 계급갈등이 지배적인 가운데 분단 모순과 한국전 경험으로 이념갈등이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압축적 근대화와 독재정권의 분할정책으로..

기타 2021.09.12

국내외 환경단체의 활동과 성과 / 박병상

국내외 환경단체의 활동과 성과 / 박병상 특집 | 환경재앙,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82호] 2020년 06월 01일 (월) 박병상 brilsymbio@hanmail.net 2000년 10월 20일부터 이틀 동안 제3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아셈, ASEM)가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열렸다. 김대중 정권 시절이다. 아시아와 유럽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다는 정상들의 회담이 열리기에 앞서,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 아시아와 유럽의 NGO 회원들이 ‘아셈 2000 민간포럼’이라는 이름으로 모였다. 10월 17일부터 닷새에 걸쳐 다양한 주제를 놓고 정상들의 사교장과 사뭇 다른 분위기에서 열띤 포럼을 이어갔는데, GMO(유전자 조작 농산물과 그 농산물을 재료로 가공한 식품)의..

기타 2021.08.29

미국에서 불교의 시작은 언제인가?

미국에서 불교의 시작은 언제인가? 미국에서 불교가 언제 시작되었느냐에 대해 한국불교계에서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30년 가까이 불교잡지를 발행하다 보니 이것에 대해서 한번쯤은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내가 발행하는 잡지에 연재하는 ‘미국불교사’에 여기에 대해 자세하게 쓴 적이 있다. 미국에서 불교 교수를 비롯해서 미국불교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1893년 시카고 종교회의를 미국불교의 시작이라고 주장하였고, 이것은 대부분의 기존 미국불교사에서 주장한 내용이었다. 또한 기존 한국불교계에도 이 주장이 대세였다. 한국인으로 미국에서 불교를 강의를 했거나 하고 있는 교수들은 대개 불교철학이나, 개략적인 세계 불교사, 부처님 생애 등을 강의하거나, 세계종교의 하나로 한국..

기타 2021.08.29

탄허스님과 계룡산

계룡甲寺는 가장 으뜸되는 절이란 뜻이다. 의상대사가 중창한 화엄 10찰 중 하나다. 탄허스님이 말한 艮山사상의 흔적이 서려 있다. 강당의 주련엔 간산사상의 내용이 담겨 있다. 다른 사찰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내용이다. 甲生三角法門開 艮佛蓮花君子臺 大夢人天誰大覺 水晶峯塔見如來 세계 으뜸 계룡산에 3봉우리를 만들어 법문을 여니 간불의 연화대가 여기에 있도다. 수많은 인천 중에서 누가 큰 깨달음을 얻을까? 수정봉 꼭대기의 탑에서 여래를 보네. 미래불=미륵불=간불. 신흥암은 갑사에서 조금 더 올라가면 볼 수 있다. 여기서 보이는 바위탑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탑이다. 계룡산에서 미래불이 나투셔서 깨달음으로 인도한다. 간방인 대한민국 계룡산에서 세계의 정신문화를 이끌 부처님이 오신다. 鷄化爲龍甲天下 三閣莊嚴護十方 艮..

기타 2021.08.29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음이란 무엇인가 누구나 죽음을 두려워하고 싫어한다. 그러나 모든 생명체는 언젠가는 반드시 죽어야 하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다. 죽음은 인간의 고통 중에서 가장 큰 고통이다. 중국의 진시황제(秦始皇帝)는 죽는 것이 두렵고 싫어서 불로초(不老草)를 구하려고 온 천하를 뒤졌지만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도 역시 황천(黃泉)의 객이 되었다. 부처님께서도 싯다르타 왕자 시절 인간이 태어나 병들어 신음하고, 늙고 죽어가는 괴로움의 모습을 보고, 영원히 죽지 않는 불사(不死)의 길을 찾아서 출가하셨다. 생고(生苦) · 노고(老苦) · 병고(病苦) · 사고(死苦)를 인생의 근본적인 네 가지 고통(四苦)이라고 한다. 사고는 빈부귀천(貧富貴賤)을 떠나서 누구나 피할 수 없는 무상고(無常苦)이다. 그래서 인간이 사는 현실..

기타 2021.08.29

구마라습鳩摩羅什

구마라습鳩摩羅什 1세기를 전후하여 불교가 중국에 들어오면서 범본梵本의 불전佛典이 하나씩 한역漢譯으로 소개되고 그 분량과 종류가 상당수에 이르렀을 때, 교판敎判(교상판석敎相判釋의 준말)의 필요성은 강하게 대두되었습니다. 교판은 석가가 보리수 밑에서 성도成道한 이후, 사라쌍수림沙羅雙樹林에 열반할 때까지 설법한 무수한 경전을 불교의 가르침의 제상(교상)으로 분류해서 그 순서를 설명함으로써 불교경전의 근본진리와 불도수행의 궁극목표를 확립하려는 경전해석법입니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승려들은 너무나 다양하고 때로는 모순되는 것 같은 설법의 내용을 접하면서, 그 교상을 판석하고 화의化義(중생을 도道의 길로 이끌어 이롭게 하는 형식과 방법)의 순서나 교리의 심천深淺에 관한 질서와 체계를 잡고자 노력했습니다. 그리하여 교..

기타 2021.08.15

한국사회와 분노 그리고 불교/개인적 · 사회적 분노와 치유의 길

1. 머리글 세계 곳곳에서, 그리고 한국사회에서도 분노가 폭발하고 있다. 자고 일어나면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폭력은 일상이 되었으며, 부당한 권력에 대한 대중의 분노도 자주 표출되고 있다. 한국만으로 국한하여 생각하면, 성인의 절반이 분노조절 장애를 겪고 있고 10명 중 3명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으며, 자살률도 세계 최상위권이다. 분노는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이다. 정신적 외상이 있거나 성격이 급하거나 수양이 덜 되어 대수롭지 않은 일에도 발끈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사회 모순과 부조리가 심하고 유대가 약하고 성과를 강요할수록 구성원들은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부당함에 대한 불만감이 증대한다. 이에 많은 사람이 개인의 수행과 치유를 강조하는 가운데 몇몇 사람들은 청년과 대중에게 분노하라고 선동하고 ..

기타 2021.08.15

생명에 대한 간섭과 불교의 지혜

1. 들어가기 어느 대학병원에서 생긴 일이다. 한 할머니가 폐에 생긴 종양에 대해 조직검사를 받던 중 폐출혈이 발생하여 의식불명 상태가 되었다. 병원은 할머니를 중환자실로 옮기고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할머니의 상태는 더욱 악화되었으며, 의식이 돌아올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상태가 되었다. 이를 알게 된 가족들은 더 이상의 적극적인 치료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여 호흡기를 제거해 줄 것을 의사와 병원에 요청하였다. 그러나 병원은 1997년에 발생한 ‘보라매병원 사건’을 거론하면서 가족들의 요청을 거부하였고, 할머니의 호흡기 치료를 중단하는 결정은 법원의 판단에 맡겨졌다. 이 사건이 바로 2008년에 발생한 ‘김할머니 사건’이다. 이 사건에 대한 재판은 결국 대법원에까지 올라가게 되었으며 2009년 5..

기타 2021.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