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141

사자의 서

사자의 서 목차 1. 『사자의 서』의 성립 2. 『사자의 서』 텍스트의 종류 3. 『사자의 서』에 나타난 내세관 『사자의 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죽은 사람의 관 속에 미라와 함께 넣어두는 문서로, 사후세계의 안내서로 쓰였다고 할 수 있다. 『사자의 서』는 지역에 따라 다음 세 종의 텍스트, 곧 헬리오폴리스 텍스트, 테베 텍스트, 사이테 텍스트로 나누어 편찬되었다. 고대 이집트인은 죽은 후에도 또 다른 삶이 펼쳐질 것이라는 내세관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을 잘 드러내는 것이 '오시리스'의 신화다. 『사자의 서』가 보여 주는 또 다른 특징은 내세의 구원 여부를 생전의 도덕적 행위 여부로 판단했다는 점이다. 1. 『사자의 서』의 성립 『사자(死者)의 서(書)(Book of the Dead)』는 고대 이집트..

기타 2021.01.31

종교인, 신앙의 척도 ‘경전 중심’으로 가고 있는가

종교인, 신앙의 척도 ‘경전 중심’으로 가고 있는가 최유라 기자 (77paper@newscj.com) 세계 4대종교, 경전에서 벗어난 전통 관습 탈피해야 [천지일보=최유라 기자] 역사적으로 꽤 오랜 논쟁거리였던 종교분쟁이 최근 들어 종교 경전과 관련해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고 있다. ​ 지난 9.11 테러 추모일을 겨냥해 이슬람 교인들의 자존심을 건든 ‘코란 소각’ 사건은 전 세계적으로 논란이 됐다. 무신자들은 “코란을 평범한 종이 정도로 볼 수 있지 않냐”면서도 전 세계 무슬림들을 들고 일어나게 하는 상징성을 지녔다는 점에 놀랍다는 반응이다. ​ 하지만 이는 이슬람교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세상에는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고 종교를 뒷받침하는 경전들이 존재하며 경전으로 인해 종교뿐만 아니라 사회 생활방..

기타 2021.01.17

불교의 오색실의 의미

불교 오색실의 의미 먼저 동양문화권(東洋文化圈)에서 오색(五色)이란 모든 색의 총칭입니다. 서양적인 측면에서는 색(色)은 빨강 노랑 파랑 의 세 가지이나 동양에선 우주(宇宙)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要素)가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오행(五行)에 있다고 보아 왔으며 이 오행(五行)의 색이 木-청생 - 火-적색 - 土-황색 - 金-백색 - 水-흑색입니다. 또한 소리도 서양에선 도레미파솔라시도의 7음계이지만 동양에선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의 5가지 음(音)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색은 우리 생활에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정월 대보름에 밥을 지어먹을 때 오곡밥을 먹으며, 여인네의 저고리엔 5색의 색동저고리를 입곤 하였습니다. 모두 하늘의 기운을 받아 인간세상의 복(福)을 기원(祈願)하고 건강과 ..

기타 2021.01.17

부처님과 예수님/宇寶

부처님과 예수님 아무도 찾아오는 이가 없어서 모처럼 한가로움을 즐기고 있었는데, 스승님을 잘 아는 거사님으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친구 중에 교회를 다니는 친구가 하나 있는데 함께 가도 되는지 물어왔습니다. 잠시 후에 중년 남자 셋이서 찾아왔습니다. 두 사람은 스승님께 삼배를 하고 한 사람은 두 사람이 스승님께 절을 하는 것이 이상했는지 멍하니 서서 기분 나쁘다는 듯이 바라보고만 있었습니다. “스님, 이 친구는 20년째 교회를 다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친구는 우리를 만나기만 하면, 불교는 우상 숭배를 한다면서 교회를 다니라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 스님께 이 친구를 데리고 왔습니다.” “하하하......그렇습니까? 잘 오셨습니다. 그래, 거사님은 불교에서 무엇을 보았기에 우상 숭배라고 생각을 하게 되었..

기타 2021.01.03

경전산책 중국불교 13경-③

유교 13경 이야기(1) 불교 13경은 유교 13경에 대비해서 정선된 경전이다. 중국에서 13경에 대한 비중이 높고, 경전에 대한 가치와 성가를 높이 평가하다보니 불교에서도 이에 질세라 13경을 정해서 내 세운 것이다. 그렇다면 유교에서 말하는 13경은 어떤 경전을 말하는가. 13경은 《논어》(論語)《맹자》(孟子)《시경》(詩經)《서경》(書經)《역경》(易經)《주례》(周禮)《의례》(儀禮)《예기》(禮記)(《중용》(中庸), 《대학》(大學) 포함)《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이아》(爾雅)《효경》(孝經)을 말한다.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사서의 하나이다. 저자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공자의 제자들과 그 문인들이 공동 편찬한 ..

기타 2021.01.03

경전산책 중국불교 13경-②

격의 불교와 노장사상 전회에서 불교 13경을 개략적으로 소개했다. 중국불교에서 확정한 불교13경을 차례로 소개하기에 앞서서 먼저 알아 두어야할 지식은 중국의 도교와 격의 불교 그리고 유교이다. 불교가 인도에서 발생했지만, 불교가 인도에서 중앙아시아에 수용되면서 페르시아적인 사유와 문화가 가미되었고, 이른바 서역불교는 중국에 수용되면서 중국사상인 도교와 부딪치게 된다. 불교는 도교라는 관문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기독교가 중국에 수용되면서 유일신은 제석천왕이나 옥황상제로 대치되고, 한국에서는 ‘하나님’으로 치환되었듯이 지역에 따른 당대의 최고신으로 명칭이 바뀌지 않으면 안 되었다. 불교가 중국 땅에 발을 디디려고 하니 걸림돌이 너무 많았고, 텃세가 만만치 않았다. 불교사상과 사촌 쯤 되는 도교의 술..

기타 2021.01.03

동양윤리사상 정리

동양윤리사상의 전통 1. 유가(유가) 사상 (1) 공자의 인(인)사상 ㉠ 주(주) 말기의 정치적 상황은 매우 혼란하였음. ㉡ 당시의 혼란이 도덕적 타락에서 유래한다고 판단하였음. ㉢ 따라서 회복해야 할 도덕성을 인(인)이라 이름하여, 인의 함양을 역설하기에 이름. 1) 인의 본질 ① “인(인)이란 인간다움이다[인자인야].” ② 인간다움의 바탕 : 효성심[효], 공경심[제] ③ “인(인이란 남을 사랑하는 것이다[인 애인].” ④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음 「기소불욕 물시어인] ⑤ 내 마음을 미루어서 남을 헤아리는 마음가짐 「추기급인」 ⑥ 이기심을 버리고 예를 따르는 것[극기복례] ⑦ 남 마음을 미루어 남을 헤아림, 성실하고 너그러움 (충서) ⑧ 선악과 정사를 분별해서 실현해야 하는 사랑 ..

기타 2020.12.20

야단법석

한국인에게 불교는 종교인 동시에 전통이다. 서기 372년 고구려를 통해 전래된 이후 불교는 1600여 년 동안 민족과 고락을 같이 하며 DNA로 박혔다. 특히 집단무의식은 언어문화에서 두드러진다. 우리가 사용하는 어휘의 상당수는 불교적 배경과 향기를 갖고 있다. 개중엔 역사의 그림자를 보여주는 단어도 있다. 심지어 장로(長老)나 전도(傳道)와 같이 불교와 견원지간인 개신교가 부지불식간에 가져다 쓰는 말도 있다. 불교에서 비롯된 보통명사는 부지기수에 가깝다. 먼저 화두(話頭)가 대표적인 사례다. ‘화두로 떠오르다’ ‘국제사회의 화두’ 등에서 보듯 이야기의 주제 혹은 첫머리를 뜻하는 화두는, 간화선의 화두에서 유래했다. 조계종의 정통수행법인 간화선(看話禪)은 화두를 타파해 깨달음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타 2020.12.06

아잔 브람의 행복론

아잔 브람의 행복론 한병선교육평론가·문학박사 아잔 브람(Ajahn Brahm)은 세계적인 명상가다. 그는 영국의 가난한 노동자 집안에서 태어나 불교 수도자가 되었다. 독실한 기독교 집안의 아들이었지만 삶에 대한 궁금증과 세상 이치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다. ​ 케임브리지대에서 물리학을 공부하면서도 불교서적을 꾸준히 읽었다. 결국 태국으로 건너가 태국의 살아있는 붓다로 불리는 아잔 차(Ajahn Chah)로부터 수행훈련을 받고 호주불교의 산실인 보디니야나(Bodhinyana) 사원을 세웠다. 여전히 명상수행을 하면서 삶과 행복의 문제를 탐구하고 있다. ​ 그의 행복론은 한 마디로 모든 것을 놓아버리라는 ‘방하착(放下着)’이다. 그는 말한다. “놓아버리는데서 오는 행복감, 사물과 현상이 사라지는데서 오는 환..

기타 2020.11.22

화장

화장 기본정보 사자(死者)의 유해(遺骸)를 불로 태우는 장법 일반정보 『열반경(涅槃經)』에 의하면, 석가는 그 유해를 다비(茶毘)하였는데, 석가를 따르는 사람들이 그의 사리와 재를 나누어 각처에 봉안하면서 탑파가 건립되었다고 한다. 이로써 화장(火葬)은 불교의 발전과 더불어 불교신자 및 일반에게도 크게 유행하게 되었다. 신라에서 화장을 채용한 왕은 문무왕(文武王), 효성왕(孝成王), 선덕왕(宣德王), 원성왕(元聖王), 진성여왕(眞聖女王), 효공왕(孝恭王), 신덕왕(神德王), 경명왕(景明王) 등 8명이다. 전문정보 화장은 불교의 발전과 함께 유행하게 되는데, 시신을 태워 이승에서의 더러운 형체를 없애고자 하는 사고에서 시작된 불교예식인 다비(茶毘)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특히 불교에서는 화장 후 사..

기타 2020.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