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부처님의 수행법 부처님의 수행법 수행의 실제 위빠사나의 수행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섯 감각기관 (眼,耳, 鼻,舌,身.意) 과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정신적 육 체적 작용의 관찰을 기본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모두 같다. 수행을 처음 시작할 때는 공부의 대상이 다를 수 있지만, 모두 부처님께서 .. 불교 2018.06.03
[스크랩] 좌선수행 좌선수행 1. 장소 1) 고요한 장소 우리의 六根을 자극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차단된 곳이면 좋다. 외부의 소리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정화되지 않는 뇌파 같은 것도 수행에 장애가 되어 깊은 내면세계로 참구해 들어가는 것을 어렵게 한다. 물론 좌선도중 사람의 출입이 잦은 곳도 피하는.. 불교 2018.06.03
[스크랩] 활구참선법 활 구 참 선 법 * 참 선 파수오경간월출 芭峀午更看月出 두견성리목장려 杜鵑聲裡牧將驪 원앙수출종교간 鴛鴦繡出從敎看 불파금침도여인 不把金針渡與人 뾰족한 산봉우리에 달뜨는 것을 보고, 두견새 소리 속에 나귀를 먹인다. 원앙새 수 놓은 것 보여주어도, 수놓은 금침은 주지 못하.. 불교 2018.06.03
[스크랩] 아뢰야식이란 무엇인가? 아뢰야식이란 무엇인가? (월뽈라 라훌라) 불교의 유가瑜伽학파(Yogacara, 유식唯識학파;Vijnanavada)에서 아뢰야식阿賴耶識(alayavijna -na)은 아상가(無著)에 의해 발전된 가장 중요 한 교리 중의 하나이다. 그는 식온識蘊을 세 가지 별개의 면 또는 층인 心(citta), 意(manas), 識(vijnana)으로 구분하였.. 불교 2018.06.03
[스크랩] 수행인의 좌우명(성철스님) 성철스님이 저술한 수행인의 좌우명 1. 식심견성(識心見性) 2. 내외명철(內外明徹) 3. 오직 돈법만을 전하다(唯傳頓法) 4. 무념으로써 종을 삼다(無念爲宗) 5. 정과 혜는 한 몸(定慧體一) 6. 남이 없는 서방극락(無生西方) 7. 물들지 않고 닦음(佛汚染修) 8. 부처님 깨달음의 씨앗(佛菩提因) 1. .. 불교 2018.06.03
[스크랩] 선의 유래 선(禪)의 유래 인터넷 불교교육원 마음을 가다듬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정적(無我靜寂)의 경지에 도달하는 정신집중의 수행(修行)방법. 선은 팔리어(語) 자나(jh嚆na)의 음역어로, 완전한 음사인 선나(禪那)의 준말이다. 산스크리트의 디야나(dhy嚆na)는, 타연나(馱衍那)로 음역한다. 이를 .. 불교 2018.05.20
[스크랩] 한국간화선의 형성과 변화과정 - 2. 지눌의 선사상과 간화선의 수용 제 한국간화선의 형성과 변화과정 / 인터넷 불교교육원 2. 지눌의 선사상과 간화선의 수용 한국불교에서 간화선이 처음으로 수용된 것은 보조국사 지눌(知訥:1153∼1210)에 의해서였다. 원래 간화선 자체가 지눌보다 두 세대 정도 앞서는 남송의 대혜종고(大慧宗고:1088∼1163)에 의해서 처.. 불교 2018.05.20
[스크랩] 선종(禪宗)의 역사 선종(禪宗)의 역사 인터넷 불교교육원 일반적으로 선종이 성립되는 근거는 보리달마(菩提達磨)가 중국으로 건너온 이래 육조혜능까지의 법맥이 형성되는 것에서 찾아 볼 수가 있다. 물론 달마의 정확한 인물과 연대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보리달마를 중국선종 형성에 지대.. 불교 2018.05.20
[스크랩] 세계 여러 수행법들의 소개 - 화두선(話頭禪) 세계 여러 수행법들의 소개 및 비교분석 출처 : 정신과학 학회지/한 박석 교수 화두선 화두선은 선종의 수행법 가운데 하나이다. 선종의 수행법은 크게 묵조선과 화두선으로 나누어진다. 묵조란 말은 고요히 비추어본다는 뜻으로 묵조선은 내 마음을 고요히 비추어보아 내 마음의 당체를.. 불교 2018.05.20
[스크랩] 정토사상 (淨土思想) 정토사상 편집;미주현대불교 정토사상(淨土思想) 인도에서 비롯된 대승불교는 그대로 중앙 아시아를 경유하여 중국, 한국, 일본에 제각기 다른 모습으로 정착하였으며, 그 가운데서 널리 신앙되어진 사상 조류의 하나가 바로 정토사상이다. 한국불교에서도 원효 이래로 신라에서 엄청난.. 불교 2018.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