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중관사상 - 4. 나아가주르나 법 4. 나가르주나의 변증법 湯田豊『인도사상사』에서 모든 사고나 견해는 한쪽에 치우친 것으로 필연적으로내면적인 모순을 간직하고 있다. 그런 까닭에 인간의 사고에 의해 파악되는 것은 남김없이 배척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나가르주나는 생각했다. 나가르주나의 변증법이란 모든 견해.. 불교 2018.05.13
[스크랩] 중관사상 - 3. 역사적 전개 3. 역사적 전개 湯田豊 용수는 그의 대표적인 저술인『中論』외에도 다수의 저작을 남기고 있으며, 그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廻諍論』『空七十論』『六十頌如理論』『廣破論』『寶行王正論』『勸誡王頌』『因緣心論』『菩提資糧論 』『大智度論』『十住毘婆沙論』『十二門論』등.. 불교 2018.05.13
[스크랩] 중관사상 - 2. 중관사상의 역사적 배경 2. 중관의 역사적 배경 湯田豊『인도사상사』에서 龍樹의 중관사상은 앞절에서 보았듯 二諦說에 기초한 中道사상으로, 世俗諦로서 勝義諦인 覺證의 세계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곧 각증의 세계에서 체득된 이치가 言說로 나타난 것이 緣起·空으로, 이 연기·공의 개념과 배치되는 外.. 불교 2018.05.13
[스크랩] 중관사상 - 1. 中觀思想이란? 1. 中觀思想이란? 湯田豊『인도사상사』에서 나가르주나(Naagaarjuna,ca.150-250), 즉 龍樹의 대표적인 저술인『中論(Maadhyamika$aastra)』에 나타난 사상을 宣揚한 일군의 학파인 中觀派(M?dhyamika)의 사상을 말한다. 이 중관파는 唯識派와 더불어 대승불교철학의 2대 지주가 되고 있음은 주지의 .. 불교 2018.05.13
[스크랩] 37조도품 불교의 궁극의 목적은 열반이며 윤회를 끊어 생노병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성도 하신후 녹야원에서 다섯비구에게 처음 사성제를 설하신 초전법륜시 실천 수도의 방법으로써, 고와 낙의 중도인 팔정도롤 제시 하였다. 팔정도에 이어 중생들의 교화 방편의 수행으로 사.. 불교 2018.05.13
견성성불(見性成佛) 견성성불(見性成佛) ●견성이란 1)성품을 보다 2)본성을 확인하다는 뜻. 자기 자신의 마음이 본래 깨끗함 청정했음을 확인함을 말한다. 本性(본성)이 본래 깨끗함을 확인했다면 그와 동시에 번뇌 망상은 사라지게 되고 청정한 마음(淸淨心)그것을 불성(佛性)이라고도 한다. 견성(見性)이란.. 불교 2018.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