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염불인이 지켜야 할 계율 - 정목 스님 염불인이 지켜야 할 계율 ★ 오계: 1. 생명을 죽이지 않는다. 2. 도적질을 하지 않는다. 3. 음행을 하지 않는다. 4.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5. 술에 취하지 않는다. ★ 십악(十惡) ① 생명을 억압하고 죽이는 행위(殺生). ② 주지 않는 물건을 몰래 가지는 행위(偸盜). ③ 삿되고 음란한 행위(邪婬.. 불교 2018.06.17
[스크랩] 서산대사(西山大師)의 염불론 서산대사(西山大師)의 염불론 육조 혜능스님께서는 "부처는 자기 성품 속에서 이룰 것이지 자기 밖에서 구하지 말라" 고 가르치신 바가 있다. 그러나 이 말씀은 본심(本心)을 바로 가르친 것이다. 이치대로만 말한다면 참으로 그렇지만, 현상으로는 아미타불의 사십팔원(四十八願)이 분명.. 불교 2018.06.17
[스크랩] 아미타 염불수행이란? - 정목 스님 아미타 염불수행이란 ? 전통염불수행의 이름을 굳이 말하자면 "아미타 염불"입니다. 이것은 삼경삼론에 의거한 이름입니다. 아미타는 무량광 무량수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데 무엇이 그러한가? 자연과 생명 일체가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아미타 염불수행은 자연과 생명의 청정광.. 불교 2018.06.17
[스크랩] 정토문 염불수행의 실천체계 - 정목 스님 정토문 염불수행의 실천체계 정토문(淨土門) -------------- 정토는 안락정토(安樂淨土)이니 "자연과 생명이 청정하여 마음이 편안하고 즐거운 세계"이다. 정토문은 안심(安心)과 정토구현의 깨달음(正覺)을 추구하는 부처님의 근본 뜻을 실현하고자 한다. 이 문은 아미타불의 본원력에 힘입.. 불교 2018.06.17
혜능(慧能)대사 대감혜능(大鑑慧能)의 돈오문(頓悟門)을 찾아서 - 편/찬/부 - 1. 출생과 성장 2. 혜능이 만난 경전(經典) 3. 홍인 (弘忍) 에게 가서 배움 4. 방아찧는 생활과 깨달음 5. 인가(印可)를 받고 구강(九江)으로 6. 혜명(慧明)을 교화하고 남쪽으로 남쪽으로 7. 인종법사(印宗法師)와의 만남 8. 머리를 깎고 계를 받다 9. 조계(曹溪)에서의 교화와 인도 10. 조정과의 관계 11. 입적의 모습 12. 입적 후의 사건 1. 출생과 성장 -전혀 다른 동북아 선(禪)의 시작- 개띠 해에 출생하시다 혜능의 출생 연월일에 관하여 최초로 명기하고 있는 것은 『송고승전(宋高僧傳)』으로 혜능 입멸 후 275년 가량 지난 뒤의 일이다. 거기에 의하면, '정관(貞觀) 12년 무술년(戊戌年)에 능(能)을 낳다' 라고.. 불교 2018.06.03
[스크랩] 불교 기초용어 불교기초 용어 정리 불교 용어 해설 *삼법인(三法印) : 세가지 진실한 가르침 (1) 제행무상(諸行無常) : 모든 것은 변화한다 (2) 제법무아(諸法無我) : 모든 변화하는 것에는 '나'라는 실체가 없다 (3) 일체개고(一切皆苦) : 모든 변화하는 것은 괴로움을 발생시킨다 (4) 열반적정(涅槃寂靜) : 모.. 불교 2018.06.03
[스크랩] 불교 기본교리 I. 불교와 예절 (1) 종교 종교는 인간을 정화하고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며, 현실의 고통을 해소하고 죽음의 공포로부터 벗어나 영원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 마르크스: 종교는 인민의 아편 (종교가 그 사회에 바람직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사회통.. 불교 2018.06.03
[스크랩] 왜 절을 하라고 하는가? 왜 절을 하라고 하는가? 저의 가장 높은 머리를 불보살님의 가장 낮은 발아래 바치고 절하옵니다. 저의 가장 귀중한 목숨을 바쳐 절하옵니다(歸命頂禮). 만약 ‘나’를 높이는 아상을 버리고 절을 하여 하심(下心)을 할수 있는 사람이라면 진실로 남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마음을 낼 수 .. 불교 2018.06.03
[스크랩] 의식이 깨어 있으라 의식이 깨어 있으며 강하고 겸손한자, 자신을 잘다스리고 법에 충실한 자는 유혹에 빠지지 않으리라. 바람이 산을 무너뜨릴 수 없듯이. 생각이 청정치 못하고 무모한 욕심을 부리고 진실되지 못한다면, 가사(法衣)는 그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자신의 본성을 잘 다스리고, 청정하고 진실된.. 불교 2018.06.03
[스크랩] 부처님의 수행법 부처님의 수행법 수행의 실제 위빠사나의 수행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섯 감각기관 (眼,耳, 鼻,舌,身.意) 과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정신적 육 체적 작용의 관찰을 기본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모두 같다. 수행을 처음 시작할 때는 공부의 대상이 다를 수 있지만, 모두 부처님께서 .. 불교 2018.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