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밀교입문 - 4. 밀교경전의 특색 밀교입문 출처 : 세존사이트 4. 밀교경전의 특색 여러 가지 경전이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외면상으로 본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경전과 의궤 다채로운 밀교문헌의 특색이라고 하면 우선 [경전(經典)]과 [의궤(儀軌)]의 두 가지 구분이 있습니다. 밀교경전에는 보통 {대일경}이라든가 {.. 불교 2018.05.20
[스크랩] 밀교입문 - 3. 밀교경전의 분류 밀교입문 출처 : 세존사이트 3. 밀교경전의 분류 밀교경전의 분류는, 한 가지 시안(試案)이긴 하지만 다음과 같이 구분하면 좀더 이해하기 쉬우리라 봅니다. ⑴ 태장법부(胎藏法部) 태장법부는 엄밀히 말하면 금강계.태장법이라고 할 때의 태장법의 부문이고, 그 대표적인 것은 {대일경.. 불교 2018.05.20
[스크랩] 밀교입문 - 2. 불교 속에서의 밀교의 발전과 과정 밀교입문 출처 : 세존사이트 2. 불교 속에서의 밀교의 발전과정 원시불교 다음에 밀교가 발전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밀교는 석존시대부터 손제자의 시대(근본불교시대)에 그 싹이 있었다고 지적할 수가 있습니다. 근본불교경전 속에 이미 석존은 세속적인 주술이나 주법. 주문.. 불교 2018.05.20
[스크랩] 밀교입문 - 1. 밀교의 윈류 밀교경전의 성립과 특성 출처 : 세존사이트 1. 밀교의 원류 인도 고대의 베다종교 밀교경전의 성립을 고찰할 경우, 맨 먼저 밀교의 기원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밀교는 석존이 설한 것이 아니다 라든가 석존시대에 있었는가 없었는가 하는 논의가 최초에 대두되게 되는데.. 불교 2018.05.20
[스크랩] ┃여래장┃제 5 장애 - 28. 여래장 / 황산덕 제 5 장애 28. 여래장 마음은 본래 무변무제하고 전지전능한 것이지만, 그러나 사람이 처음 태어날 때에 가지고 나오는 그 원초의 마음은 본래의 순수한 마음 그대로는 아니다. 사람이 죽게되면, 그의 감각기관은 모두 무너지고, 이에 따라 그것의 감각기능도 그 자리에서 없어지고 만다. .. 불교 2018.05.20
[스크랩] ┃유식학입문┃ 1. 유식학(唯識學)의 약사(略史) / 오형근 유식학 입문 / 저자 오형근 유식학(唯識學)의 약사(略史) 불교는 유심사상(唯心思想)에 입각하여 교리를 대부분 설명한다. 모든 것은 마음을 떠나 존재할 수 없다는 사상을 기초로 하여 심체(心體)와 심작용(心作用)을 설명하고 정신과 물질과의 관계도 서로 불가분리한다는 사상을 설명.. 불교 2018.05.13
[스크랩] 유식사상 唯識思想이란? 唯識思想이란? 편집;미주현대불교 唯識思想이란? 불교에 있어서 주요한 사상은 어디까지나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에 그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그것이 지향하는 바에 따라서는 불교를 "마음의 종교"라고 하거나 "발원(發願)하는 종교", "수행의 종교" 혹은 "지혜의 .. 불교 2018.05.13
[스크랩] 중관사상 - 6. 이중의 진리 6. 이중의 진리 湯田豊『인도사상사』에서 이중의 진리에 관하여 나가르주나는 “두가지 진리, 즉 세속적인 덮힌 진리와 절대적인 진리에 기초하여 모든 붓다는 법을 설했다”(24-8)라고 말하고 있다. 최고의 진리(Paramaartha, Paramaartha-satya, 眞諦, 勝義諦)란 사물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지식.. 불교 2018.05.13
[스크랩] 중관사상 - 5. 空의 哲理 5. 空의 哲理 湯田豊『인도사상사』에서 『능가경』(sagaatha, 167)에 의하면 “인식(buddhi)에 의해 식별되는 사물에는 자성이 확정되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그것들은 언어로써 표현이 불가능하고, 자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서 나타난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 문구는 나가르주나의 사상과.. 불교 2018.05.13
[스크랩] 중관사상 - 4. 나아가주르나 법 4. 나가르주나의 변증법 湯田豊『인도사상사』에서 모든 사고나 견해는 한쪽에 치우친 것으로 필연적으로내면적인 모순을 간직하고 있다. 그런 까닭에 인간의 사고에 의해 파악되는 것은 남김없이 배척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나가르주나는 생각했다. 나가르주나의 변증법이란 모든 견해.. 불교 2018.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