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念佛禪> 5. 결정된 믿음과 안심(安心)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고 말합니다. 이 가운데 정토문은 고뇌와 죄장으로 불안해하는 생명에게 안심과 희망을 부여하는 가르침입니다. 그래서 원효도 일심 증득을 수행의 궁극으로 삼았지만 깨달음의 문에 들어가기 전에 우선 믿음을 성취해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원효는 <기신.. 원효스님 2018.12.02
[스크랩] <念佛禪> 4. 종교적 신념(信念)과 깨달음 신라시대 승가는 엘리트 집단이었습니다. 지도층은 참으로 중중존(衆中尊)이었습니다. 몇몇 종파가 형성되었지만 선지식은 조사로 추앙받을 뿐, 오늘날처럼 다투어 추종하는 무리를 짓거나 종정의 자리에 올라 권위를 내세우는 일은 없었습니다. 아름다운 승가의 모습이었습니다. 그럼.. 원효스님 2018.12.02
[스크랩] <念佛禪> 3. 일심(一心)이란 무엇인가 원효는 <기신론소>에서 성취해야 할 법이 왜 일심(一心)인가를 이렇게 밝혔습니다. “일심법을 세운 것은 법을 의심하는 것을 제거하는 것이다. 대승의 법에는 오직 일심만이 있으니, 일심 밖에 다시 다른 법이 없음을 밝힌 것이다. 다만 무명(無明)이 자신의 일심을 미혹하여 모든 물.. 원효스님 2018.11.25
[스크랩] <念佛禪> 2. ‘一心 二門 三大’ 신행체계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지혜를 믿고 발심하여 깨달음을 성취하고, 그 지혜를 실천하는 종교입니다. 이것이 불교를 깨달음의 종교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 이러한 까닭에 불교에 입문한 자는 누구든지 우선 깨달음의 관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깨달음을 얻는 길에 자각(自覺)과 신앙(信.. 원효스님 2018.11.25
[스크랩] <念佛禪> 1. 일심정토(一心淨土) 원효 스님은 자비광명에 의지하거나 스스로 닦아 나아가거나, 모든 수행문의 궁극은 일체 경계가 일심인 지혜를 증득하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일심의 지혜를 증득하면 자연히 동체대비심이 일어나 뭇 생명에게 이익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수행의 완성인 일심광명(一心.. 원효스님 2018.11.25
[스크랩] 중생의 마음과 일심 중생의 마음, 그 바탕은 밝게 통하여 막힘이 없다 크기로 말하면 허공과 같고 맑기는 커다란 바다와 같다 허공과 같기 때문에 그 체성이 평등하여 차별된 모습을 얻을수 없는데 어찌 깨끗하고 더러운곳이 있겠는가! 커다란 바다와 같기 때문에 그 본성이 빛나고 부드러워 능히 인연을 따.. 원효스님 2018.01.07
[스크랩] 원효스님의 나무아미타불 - 불교신문 원효스님의 정토(淨土)사상 나무아비타불 10번 외우면 극락갈 수 있다는 믿음… 단순한 10번 염불 아닌 근기 따른 수행의 한 방편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이 말은 불교도가 아니라고 해도, 누구에게나 친숙한 단어이다. 텔레비전에서 스님으로 분장한 배우가 나와서 “나무아미타불 .. 원효스님 2018.01.07
[스크랩] 대승육정참회 (大乘六情懺悔)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 원효(元曉) 지음 만약 법계에서 소요하려고 하는 자는 네 가지 위의(威儀)를 조금도 황당하게 해서는 안된다. 모든 부처님의 부사의한 덕(德)을 생각하고, 항상 실상을 생각하며 업장(業障)을 녹여야 한다. 널리 육도 (六道)의 가없는 중생을 위하여 시방의 헤.. 원효스님 2018.01.07
[스크랩] ‘대승(大乘)’이란 무엇인가?` - 정목 스님 번역 ‘대승(大乘)’이란 무엇인가? 원효는 <기신론소>에서 "대(大)는 법(法)의 이름이니, 널리 포함하는 것으로써 뜻을 삼고, 승(乘)은 비유로 하는 말이니, 운반하고 싣는 것으로써 공덕을 삼습니다. ≪허공장경≫에서 말씀하시기를 '대승이란 한량없고 가없고 끝이 없기 때문에 일체에 .. 원효스님 2018.01.07
[스크랩] 원효성사의 사상 원효의 사상 현존하는 그의 저술은 20부 22권이 있으며, 현재 전해지지 않는 것까지 포함하면 100여부 240권이나 된다.특히, 그의 <대승기신론소>는 중국 고승들이 해동소(海東疏)라 하여 즐겨 인용하였고, <금강삼매경론>은 인도의 마명(馬鳴)·용수 등과 같은 고승이 아니고는 얻기.. 원효스님 2018.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