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수행법(간화선) 98

참선의 공덕(功德)

참선의 공덕(功德) 일반적으로 참선수행은 깨달음에 이르는 가장 빠르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그 우수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특히 조사선은 점차로 닦아가는 것이 아니라 단박에 깨닫는 돈오의 길을 제시하여 많은 대중들에게 참 삶의 길을 열어주었다. 이에 대해 홍인(弘忍)조사가 말하기를 『본래의 참마음을 지키는 것(守本眞心)이 일체 번뇌가 끊긴 대해탈에 이르는 근본이며 도에 들어가는 요긴한 문이고 보살과 부처를 이루는 길이다.』하였다. 참마음 닦는 선수행 속에 일체 공덕이 원만구족하다는 말씀이다. 성불한다는 것은 자성불의 완전한 회복이다. 이것을 견성(見性)이라 한다. 모든 경전이 필경 본성을 밝히는 가르침이니 본성을 보면 일체 경전은 빈 껍질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조사는 "원만 청정한 자성(自性)이 본사..

참선 수행 종류와 요건

참선 수행 종류와 요건 1) 수행의 종류 ⓵ 사마타(samatha)-지(止)수행 ⓶ 위빠사나(vipassanā)-관(觀)수행 ⓷ 조사선(祖師禪)-직지인심(直指人心) ⓸ 간화선(看話禪),공안선(公案禪) 화두선(話頭禪) … 참구적(參究的) ⓹ 묵조선(默照禪) … 의지적(意志的) ⓺ 염불선(念佛禪) … 지, 정, 의(知, 情, 意)의 조화적(調和的) 간화선 수행 ⓵ 사마타(samatha)-지(止)수행 사마타 수행은 멈춤(止. 선정) 수행으로 무엇을 멈추는가하면, 감각적 쾌락, 악의, 혼침과 게으름, 들뜸과 회한, 회의적 의심이라는 다섯 장애에 휩쓸리는 것을 멈추고 마음에 번뇌가 없는 심청정을 얻는 수행이다. 일상생활이나 수행 중에 현재를 놓치게 하고 마음이 과거 미래로 달리면서 우리를 번뇌에 휩쓸리게 하는 것..

참선(參禪) 수행

참선(參禪) 수행 숨 한 번에 모든 불국정토(佛國淨土)가 거기 있다. 숨이 천지창조이며 생명이며 삶이다. 오직 지금 그대가 살고 있음을 의식하라 ! 그 의식의 챙김이 깨어 있으면 그대는 행복할 것이다. 불법은 “darista dharma sukka vihara“ 지금 행복하게 머무는 것‘이며 ‘Madithaion is art’ 명상은 예술이다‘라는 틴낫한 스님은 ‘마음챙김의 에너지가 진여(眞如)이며 일심(一心)’이라 했다. 현대적인 참선은 ‘ 지금 여기서 스스로 그러한 생명작용 이며 삶’이다. 1) 참선수행의 목적 자신의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을 찾는 열반의 삶이며 나아가 가족과 이웃 모든 것들과 평등하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것이다. 이것이 부처님이 깨달은 불교의 핵심 정신인 이고득락(離苦得樂)이며 생사해탈..

법문8. 제자와 가르침에 대한 붓다의 소원, 법문9. 가장 수승한 보시, 요약

제자와 가르침에 대한 붓다의 소원 붓다의 삶에 대한 의지 포기 붓다께서는 벨루와 마을에서 마지막 안거(vassa)를 보내셨다. 그 때에 그분께 극심한 통증이 일어났다. 안거의 보름날 과거의 업 때문에 날카롭고 참을 수 없는 등의 통증이 그를 덮쳤다. 과거 어느 생에서 사캬붓다가 될 우리..

법문7. 닙바나를 얻기 위해 통찰지를 개발하는 방법, 일어남과 사라짐의 지혜를 개발하는 방법

닙바나를 얻기 위해 통찰지를 개발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이전 법문에서 다섯 번째와 첫 번째 방법으로 연기를 식별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했다. 오늘은 닙바나를 얻기 위해 통찰지를 개발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닙바나를 얻기 위해서는 16가지 통찰지를 점진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