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사종사제(四種四諦) / 3,무량사제(無量四諦) 가장행복한공부 3. 무량사제(無量四諦) 무량사제(無量四諦) 이것은 ‘고제(苦諦)에 있어서 무량(無量)의 상(相)이 있고 내지 도제(道諦)에 있어서 무진(無盡)의 차별(差別)이 있는 대보살(大菩薩)이 수(修)하는 바로 별교(別敎)의 설(說)입니다.’ 그러니까 이것은 아까도 대부분 말을 다 했.. 청화스님 2019.03.03
[스크랩] 사종사제(四種四諦) / 2.무생사제(無生四諦) 가장행복한공부 2.무생사제(無生四諦) 무생사제(無生四諦)라, 불생불멸(不生不滅)의 경계에서 말한 사제란 말입니다. 따라서 여러분들 생각해 보세요. 우리가 불생불멸의 경계에 선다고 생각하면 새삼스럽게 닦네 안닦네 또는 선이네 악이네 그와 같이 구분을 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 청화스님 2019.03.03
[스크랩] 사종사제(四種四諦) / 1,생멸사제(生滅四諦) 가장행복한공부 1. 생멸사제(生滅四諦) 5비구한테 말씀하신 네 가지 진리 사제가 있는데 여기에 사종의 사제가 있습니다. 첫째‘생멸사제(生滅四諦)는 범부지(凡夫智)의 실생실멸(實生實滅)의 위에 입(立)한 사제(四諦)이다. 이것은 소승교(小乘敎) 즉 삼장교(三藏敎)의 소설(所說)이다.’ .. 청화스님 2019.03.03
[스크랩] 사종사제(四種四諦)란? 가장행복한공부 청화 스님 사종사제(四種四諦)란? 사종사제(四種四諦)라, 그러니까 우리가 불교가 어려운 것이 무엇인가 하면 그냥 단조(單調)하지 않고 자꾸만 여러 가지 중생(衆生) 근기(根機)가 많아 놓으니까 그때그때 근기 따라서 하도 오묘하니까 인제 부처님께서 중생 근기 따라서.. 청화스님 2019.03.03
[스크랩] [청화 스님] 달마대사(達磨大師)의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 청화스님 강설 달마대사(達磨大師)의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 이입(二入) 법문은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이나 또는 달마(菩提達磨 Bodhi Dharma?∼528) 대사의 소실육문(少室六門)에 있는 법문입니다. 앞에서도 말씀한 바와 같이 관심론(觀心論) 법문은 굉장히 소중한 법문으로 종전에는 달마.. 청화스님 2019.02.17
[스크랩] 오지여래(五智如來)와 오지총관도(五智總觀圖) 오지여래(五智如來)와 오지총관도(五智總觀圖) 청화 큰스님 오지여래(五智如來)는 부처님의 공덕(功德)을 다섯 속성(屬性)으로 구분해서 말씀한 것입니다. 오지여래란, 맨 처음에 대일여래(大日如來)ㆍ불공여래(不空如來)ㆍ미타여래(彌陀如來)ㆍ아촉여래(阿閦如來)ㆍ보생여래(寶生如來).. 청화스님 2019.02.17
[스크랩] 십바라밀(十波羅蜜)과 보살십지(菩薩十地) 가끔 그때그때 언급을 했습니다만 공부해가는 과정 즉, 위차(位次)를 가장 권위 있게 다룬 가르침이 보살십지(菩薩十地)입니다. 십지에 대해서는 연각십지나 또는 성문십지 등 여러가지가 있고, 다 소중한 것이지마는 가장 권위 있는 전거(典據)로 삼을 법문은 화엄경에 있는 보살십지입.. 청화스님 2019.01.27
[스크랩] 수릉엄삼매(首楞嚴三昧) 수릉엄삼매(首楞嚴三昧) 청화큰스님 1) 삼매도(三昧圖) 이 금강심론은 제가 허두에도 말씀 드렸습니다마는 굉장히 중요한 논서 (論書)입니다. 나중에 참고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이 가운데에 해탈십육지 (解脫十六地)도 있고 또는 수릉엄삼매도가 있습니다. 이 그림을 보면 무엇 이 무엇.. 청화스님 2019.01.27
[스크랩] [4] 청화스님 법문--부처님의 마지막설법 4. 부처님의 마지막설법 부처님께서는 열반(涅槃 : 소승에게는 죽음을 의미하고, 대승에서는 번뇌의 속박을 벗어난 영생의 경계)에 들으시기 위하여, 구시나가라(Kusinagara)성 밖에 있는 발제하(跋提河 : Ajitavati)의 맑은 시냇물이 속절없이 흐르는 강언덕에 우거진 사라수나무 숲으로 들어.. 청화스님 2019.01.06
[스크랩] 육즉불(六卽佛)- 청화큰스님 육즉불(六卽佛) 청화큰스님 육즉불(六卽佛):육즉불에는 ① 리즉불(理卽佛) ② 명자즉불(名字卽佛) ③ 관행즉불(觀行卽佛) ④ 상사즉불(相似卽佛) ⑤ 분진즉불(分眞卽佛) ⑥ 구경즉불(究竟卽佛) 을 말함. 이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것이 천태지의(天台智顗) 선사, 선사의 천태 철.. 청화스님 2019.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