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과 극락세계 / 청화스님 ▒염불과 극락세계▒ 불교는 정말로 우리 인생의 보배로운 가르침이지만, 부처님을 간절히 생각하고 또 부처님의 명호를 외는 염불의 가르침과 우리의 이상향인 극락세계가 없다고 생각할 때는, 참다운 종교적 역할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 만큼 염불과 극락세계라는 것은 아주 중요.. 청화스님 2019.09.08
3. 무주당 청화 스님의 천태교관 이해 제3주제 무주당 청화 스님의 천태교관 이해 최동순(동국대 불교학술원) Ⅰ. 머리말 Ⅱ. 천태종 교판과 원통불법 Ⅲ. 본시성불론과 천태 육즉론의 의미 Ⅳ. 청화 염불선과 지례의 염불사상 Ⅴ. 맺음말 Ⅰ. 머리말 불설 방식을 두고 두 가지로서 일음(一音)설법과 수기(隨機)설법(대기설법.. 청화스님 2019.07.28
2.『대지도론』에 나타난 대승의 염불과 선 제2주제 『대지도론』에 나타난 대승의 염불과 선 박경준(동국대학교) Ⅰ. 머리말 Ⅱ. 『대지도론』의 성립과 의의 1. 『대지도론』의 성립 2. 『대지도론』의 주요 내용과 의의 Ⅲ. 『대지도론』의 염불사상 1. 『대지도론』의 염불론 2. 『대지도론』의 염불론과 실상염불 Ⅳ. 『대지도론.. 청화스님 2019.07.14
1.초기·부파불교에 나타난 염불과 선 제1주제 초기·부파불교에 나타난 염불과 선 조준호(한국외대)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경전에 나타난 염불과 선정 1. 염불(念佛 : Buddha-anussati)의 어원 2. 불교사에서 염불의 이해 Ⅲ. 초기경전에 나타난 선과 염불 1. 염불선의 목적 2. 붓다 수념의 내용과 선정 차제(次第) 3. 붓다 수념의 기.. 청화스님 2019.07.14
업보는 있으나 작자는 없다. <청화(淸華)큰스님 친필 유고에서> * 업보(業報)는 있으나 작자(作者)는 없다. 차음(此陰;이 망념(妄念)덩어리)이 멸(滅)하면 피음(彼陰)이 상속(相續)할 뿐이다. * 우리가 나의 존재(存在)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은 삶의 그림자가 모여 있는 망념(妄念)덩어리다. * 불꽃이 타면서 나오는 .. 청화스님 2019.06.30
청화큰스님 - 용맹정진 구도기 청화큰스님 - 용맹정진 구도기 견도여파석(見道如破石)이요 수도여우사(修道如藕絲)라 50년 토굴수행과 장좌불와 실천한 까닭은? “큰스님, 얼마만큼 부처님을 그리워해야 합니까?” “옆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저 사람 미쳤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큰스님께서는 외.. 청화스님 2019.06.02
짐승을 기르지 말라! / 청화스님 짐승을 기르지 말라! 우리의 마음은 서로 서로가 대상경계를 사진 찍듯이 우리의 거대한 메모리 칩에 저장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불교학에서는 이것을 아뢰야식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대상을 자주 인식하고 자주 접하다보면 그 대상이 그만큼 우리의 아뢰야식이라는.. 청화스님 2019.05.19
[청화스님] 반야般若 반야般若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이 제법공 이라고 해서 다만 空 으로만 안다면 그때는 불교가 허무주의에 떨어지고 맙니다. 불교를 "허무주의"라고 말하는 것은 불교를 잘못 아는 것입니다. 불교는 결코 허무주의가 아닙니다. 단지 우리 중생이 보는 그 자리만 空인 것이지 영원한 생명, .. 청화스님 2019.05.05
청화 큰스님 그는 누구인가 청화 큰스님 그는 누구인가 세수 75세인 청화스님은 '40년간의 장좌불와', '하루 일종식', '염불선의 실천자' 등 수많은 수식어가 뒤따르고 있다. 청화스님을 따르는 불제자들도 자연히 스님을 보는 것만으로 희열을 느낀다고 한다. "우리가 일생을 살아가는데 앞길을 이끌어 주는 스승이 있.. 청화스님 2019.04.21
[스크랩] 사종사제(四種四諦) / 4,무작사제(無作四諦) 가장행복한공부 4. 무작사제(無作四諦) 무작사제(無作四諦)라, 번뇌(煩惱) 즉(卽) 보리(菩提)요 생사(生死) 즉(卽) 열반(涅槃)의 도리(道理)에 입각(立脚)하여 단증(斷證;끊고 증하는)의 조작(造作;마음으로 헤아리는 범부의 짓거리)을 리(離)한 사제(四諦)이므로 무작사제(無作四諦)라 하며, .. 청화스님 2019.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