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사대요소 명상을 개발하는 방법 사대요소 명상을 개발하는 방법 빨리어 경전에서는 사대요소 명상을 개발하는데 간결한 방법과 상세한 방법 2가지가 있다. 간결한 방법은 이해가 빠른 사람들을 위한 것이고, 상세한 방법은 간결한 방법으로는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붓다께서는 대념처경에서 간결한 방..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들숨날숨에 대한 챙김 Ānāpānassati (들숨날숨에 대한 챙김) 1. 개요 아나빠나사띠는 주로 생각이 많은 수행자에게 아주 좋은 방법이지만 성향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수행자에게 적합한 방법이다. 그래서 40가지 선정수행의 주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어려운 사람은 들숨 날숨에 대한 챙김(=ānpānāsati)으로..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위빠사나 수행의 목적과 이익 위빠사나 수행의 목적 위빠사나 수행은 신수심법(身受心法) 사념처의 대상에 대한 알아차림, 집중, 관찰, 직관의 힘을 키워 현상에 내재되어 있는 실재를 있는 그대로 명확히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개발함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나 열반을 이르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여기서 지혜라는 것..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네 가지 마음집중[四禪] ***네 가지 마음집중[四禪] (1)초선(初禪) 비구들이여, 비구는 모든 감각적인 욕망을 떨어버리고, 모든 온전하지 못한 법들[不善法]을 떨쳐 버리고 (마음집중의 대상에 대한) 거친 사유[尋]와 미세한 사유[伺]가 있고, (감각적인 욕망 등에서) 멀리 떠남에 의해서 생겨난 희열[喜, p ti]과 행복..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깨달음에 이르는 일곱 가지 요인들[七覺支]과 조건들 ***깨달음에 이르는 일곱 가지 요인들[七覺支]과 조건들*** 1 마음챙김[念]을 생기게 하고 향상시키는 4 가지 방법 ①분명한 앎과 함께 마음챙김을 지닐 것. ②마음이 혼란한 이들을 멀리할 것. ③마음챙김을 지니고 있는 이들과 가까이 할 것. ④마음챙김에 마음을 기울일 것. 2 법에 대한 ..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초기불교 - 9. 초기 교단의 형성과 과정 초기불교 마성스님 / 동국대강사 초기 교단의 형성과 과정 야사의 출가 녹야원에서의 다섯 비구들에게 설법한 것을 계기로 붓다의 교화활동은 급속히 전개되었다. 먼저 바라나시에서 장자(長者)의 아들 야사(Yasa, 耶舍)를 교화시켜 출가하게 하여 아라한이 되었으며, 그의 부모와 아내도 ..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초기불교 - 8. 최초의 설법(初轉法輪) 초기불교 마성스님 / 동국대강사 최초의 설법(初轉法輪) 붓다께서는 아지비까(Ājivika, 邪命外道)교도였던 우빠까(Upaka)와 헤어진 뒤, 계속 여행하여 바라나시의 이시빠따나(Isipatana, 仙人住處)에 있는 녹야원에 도착하여 마침내 다섯 비구들이 머물고 있는 곳으로 갔다. 빨리 [율장(律..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초기불교 - 7. 범천권청의 설화 초기불교 마성스님 / 동국대강사 범천권청의 설화 붓다는 보리수 밑에서 깨달음을 이룬 뒤, 자신이 깨달은 진리를 설할 것인가 설하지 않을 것인가를 망설였다고 한다. 이것이 저 유명한 ‘범천권청(梵天勸請)’의 설화이다. 이 범천권청의 설화는 남전의 율장(律藏) 대품(大品)에 자세히..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초기불교 - 6. 경전성립의 배경 초기불교 마성스님 / 동국대강사 경전성립의 배경 붓다께서 꾸시나가라(Kusinagara)의 숲속에서 제자들에게 마지막 설법을 하고 입멸(入滅)하려 할 때였다. 비통에 잠긴 제자들 중에서 아난다(Ānanda, 阿難)가 “어찌하여 세존께서는 이렇게도 빨리 열반에 드시려 합니까? 지금까지 저..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4.01
[스크랩] 초기불교 - 5. 현존 율장과 아함경의 결점 초기불교 마성스님 / 동국대강사 초기불교의현존 율장과 아함경의 결점 그런데 현존하는 율장과 아함경은 거의 대부분 출가 승려를 위한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테면 율장은 출가승단에게만 필요한 것이고, 아함경은 주로 출가 승려를 위해 행해진 설법이 주가 되고 있다. 재가자..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2018.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