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824

삶과 죽음

삶과 죽음 --------------------------------------------------------------------- 1. 들어가며 2. 바보하인 이야기 3. 나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4. 장조류 이야기 5. 죽은 뒤 저 세상은 있는가? 6. 윤회의 과학적 증명 7. 오세암 대웅전 현판에 새겨진 글의 내력 8. 생사에 자유자재한 스님들 9. 맺음말 --------------------------------------------------------------------- 들어가며 반갑습니다. 어르신들 모두 건강한 모습을 뵈오니 무엇보다 반갑습니다. 대부분의 어르신들은 환갑, 진갑이 넘으면 스스로가 늙었다고 생각하고, 경로당에 가서 쓸데없는 잡담이나 하고 어영부영 시간을 보내기가 ..

인과이야기 2023.10.08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ㅅ ― 46>

아미산 ---------------------------------------------------------------- *실상론(實相論)---불교에서 모든 사물의 실상을 위주로 모든 존재의 본체를 해명하려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부처님 가르침을 크게 실상론과 연기론으로 나눈다.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 이전의 경전은 바로 우리가 존재하는 세계를 연기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곳이 우리가 경험하고 숨 쉬고 머물고 있는 세계, 곧 유위법의 현실세계이다. 이 현실세계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생멸한다는 것이다. 모든 존재가 끝없이 생하고 사라지고 생하고 사라지고 그러더라는 것이다. 그래서 제행무상이요, 제법무아이며, 일체개고의 연기 법칙이 적용되는 유위의 세계인 것이다. 그러나 실상론에 이르면, 우리가 지금 경험..

불교용어 2023.09.29

09.순천송광사불일보조국사비문(順天松廣寺佛日普照國師碑文)

09.순천송광사불일보조국사비문* 順天松廣寺佛日普照國師碑文 ✽ 이 비문은 지눌(知訥)이 1210년(희종6) 3월 27일 세수 53세를 일기로 입적(入 寂)함에 따라 사법제자(嗣法弟子)인 혜심(慧諶) 등이 스님의 행장(行狀)을 갖 추어 임금께 주문(奏聞)하였다. 희종 임금은 학사장사랑(學士將仕郞) 예부상 서(禮部尙書) 김군수(金君綏)에게 명하여 비문을 짓게 하는 한편, 문림랑(文林 郞) 유신(柳伸)으로 하여금 글씨를 쓰게 하여 입적 다음해인 1211년 12월에 비 석을 세웠다. 이에 따라 입비총감독(立碑總監督)은 내시창락궁록사(內侍昌樂宮 錄事) 김진(金振)이며, 각자(刻字)는 전전(殿前)인 보창(寶昌)이 맡았다. 이와 같 이 세워진 비가 임진왜란 때 병화(兵火)로 귀부(龜趺)만 남고 모두 파괴되었다. 이에 ..

한국고승비문 2023.09.29

08.개성영통사대각국사비문( 開城靈通寺)大覺國師碑文)

08.개성영통사대각국사비문1) 開城靈通寺2)大覺國師碑文 1) 이 비문은 [苑]과 [總覽]에는 결락이 너무 많아 [全文]을 저본으로 하고, 조명기 (趙明基) 저(著),『고려대각국사와 천태사상』에 실려 있는 비문을 [碑文]으로 표 기하였다.『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外集)권12에도 비문이 실려 있다. 2) 영통사(靈通寺):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현화리 오관산(五冠山) 밑에 위치.『범우 고梵宇攷』에 의하면 개성군 영북면(嶺北面) 현화리(玄花里) 영통사는 동서로는 약 150칸, 남북으로는 약 80칸이나 되는 대규모 사찰이라 기록하고 있다. 고려 제10대 정종(靖宗) 2년(1036) 5월 14일 왕실에서는 왕자(王子)가 4인 이상이면 한 왕자의 출가를 허락하였다. 영통사·숭법사(崇法寺)·보원사(普願寺)·동화 사(桐..

한국고승비문 2023.09.29

지금 생활하는 그 자리가 공부하는 자리 / 설우스님

지금 생활하는 그 자리가 공부하는 자리 [선지식을 찾아서] 청주 법인정사 선원장 설우 스님 ​ ​ 법인정사에 들어서자 소박하면서도 정갈함이 느껴졌다. 무겁고 답답한 마음을 이곳 법인정사에 내려놓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으니, 도량이 벌써 안심법문을 해주고 있는 셈이다. 설우 스님의 처소엔 ‘무위진인(無位眞人)’이라는 현판이 달려있다. ‘무위진인’ 법인정사에 들어서는 이들에게 덥석 안겨주는 화두일지도 모른다. ​ “붉은 몸뚱이에 한 사람의 무위진인이 있다. 항상 그대들의 얼굴을 통해서 출입한다. 아직 증거를 잡지 못한 사람들은 잘 살펴보아라”고 한 임제 선사의 일갈이 들리는 듯하다. ​ 설우 스님은 조계종 간화선 수행지침서 편집위원을 역임했고, 불교TV에서 강의를 해 시청자들로부터 많은 찬사를 받았다. 고..

선지식 2023.09.29

일중일체다중일(一中一切多中一)

-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 의상(義湘) 대사의 에 나오는 구절이다[제7구]. 하나 속에 여럿이 있고 여럿 속에 하나가 있다는 말이다. 이는 에서 말하는, 하나가 곧 여럿이고 여럿이 곧 하나라는 말[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과 같은 맥락이고, 의 일즉일체(一卽一切) 일체즉일(一切卽一)과도 같은 맥락의 말이다. 우리의 진성(眞性) 자리에는 모든 것이 전부 포함돼 있다. 하나 속에 많은 것이 다 포함돼 있다. 포함돼 있지 않는 게 없다. 그 속에 전부 다 포함돼 있다. 그래서 하나 가운데 전체라는 것이다. 그리고 많은 것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다. 신라가 삼국통일 후 분열된 민심을 하나로 통합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한 어려운 국면을 의상(義湘) 대사는 불교를 통해 통합하기 위해..

법성게 2023.09.29

목우(牧牛), 공(空)을 찾는 여정 / 홍용희

목우(牧牛), 공(空)을 찾는 여정1. 소 혹은 소 아닌 소 ​ 절에 가면 가장 자주 만나게 되는 불화 속의 동물은 소이다. 큰 절이나 작은 절이나 이 점은 마찬가지이다. 대웅전 처마 끝을 따라 걷다 보면 무심코 외벽을 따라 순차적으로 펼쳐진 〈십우도〉를 마주하게 된다. 민화처럼 담백하고 친숙한 〈십우도〉에는 화제에 해당하는 〈심우송〉이 대부분 곁들여 있다. 오랫동안 농경사회였던 이 땅의 뭇사람들은 집과 들에서 함께 살며 일하던 소를 절에 와서 다시 그림으로 만나온 것이다. ​ 그렇다면 굳이 왜 소일까? 소가 일상생활과 가깝다고 할지라도 사찰의 불화 속에 자주 등장한 필요조건이 될 수는 없다. 인간의 삶과 가까운 동물에는 소만 있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법명에서부터 깨달은 소를..

지혜의 공간 2023.09.29

서양의 불교경전 번역과 역사 / 황순일

특집 | 불교경전의 번역과 유통 1. 서언 서양의 불교경전 번역의 역사는 빨리경전협회(Pali Text Society)의 역사와 함께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1800년대 중반부터 유진 브르느프에 의해 《법화경》과 같은 대승경전이 번역되기도 했고, 막스 뮬러에 의해 동방성서(The Sacred Books of the East)의 일부로서 불교경전들이 번역되기는 했지만, 빨리경전협회의 경우와 같이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특정한 부파의 전체 경전을 로마자로 출판하고 번역하는 사업을 진행한 예는 서구에서 전례가 없었다. 영국이 서양에서 테라와다(Theravāda)로 알려진 남방불교 경전 번역사업의 중심에 서게 된 배경에는 영국의 아시아 식민지 경영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빨리경전협회가 창립된 1881년은 영국의..

불교관련 2023.09.29

일본불교의 대장경 간행과 번역 과정 / 윤기엽

특집 | 불교경전의 번역과 유통 일본은 서기 770년경 백만탑다라니(百萬塔陀羅尼)를 제작하여 최고의 목판 인쇄물을 보유하였지만, 방대한 양의 대장경(大藏經, 또는 一切經)은 오랫동안 간행하지 못했다. 부분적인 경전은 간행했지만, 삼장(三藏)을 갖춘 대장경을 갖게 된 것은 17세기 에도(江戶) 시대에 접어들어서였다. 이후 일본은 근대 시기에 들어와 여러 차례에 걸쳐 대장경을 편찬, 간행하면서, 일본 국내는 물론이고 동아시아 불교계 전체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그 파장이 정상적이었든 때로는 굴절되었든, 동아시아 문화권 전체에 던져진 파급효과는 결코 녹록지 않았다. 이 때문에 현시점에서 우리가 일본의 대장경을 주목할 필요성과 의의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 일본의 대장경은 에도 시대의 천해판(天海版)과 황벽판..

불교관련 2023.09.29

천태사상의 역사와 전통

지관 수행론의 고찰을 중심으로 -- 목 차 -- Ⅰ 지관 수행의 전통 Ⅱ 중국 천태종 Ⅲ 한국의 천태 사상 Ⅳ 일본에서의 천태교 - 참고문헌 - 천태의 사상은 중국 불교 교학에 있어서 화엄 사상과 함께 양대 산맥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천태의 사상은 훌륭한 교학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지·관 수행론을 통하여 선수행이론도 완성시켰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천태의 지·관 수행론을 중심으로 그 역사적 전통과 이론적 발전에 대해서 중심으로 살펴 보도록 하겠다. 또한 중국의 천태 사상 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에 전파된 천태 이론에 대해서도 살펴 보도록 하겠다. 이러한 천태에 관한 연구는 인도의 불교가 어떻게 중국을 거쳐서 한국 불교를 형성하였..

불교 2023.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