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840

법화경 대강좌 3강 - 3 (방편품80~90)

법화경 대강좌 3강 - 3 법화경은 三周說法이 중요 합니다. 1. 상근기를 위한 法說周. = 법을 그대로 설하는 것. 2. 중근기를 위한 譬說周. = 비유로서 이야기하고, 3. 하근기를 위한 因緣周. 삼주설법의 법설주. 비설주. 인연주에 각각 4가지가 따릅니다. 법설주에 부처님의 설법. 領解 = 제자들의 이해. 述成 = 제자들이 이해한 것을 부처님의 부연설명. 授記 = 성불을 보증하는 네 단계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뒤에 나오면 재차 언급할 겁니다. 빠뜨린 내용들은 각자 복습하시면서 더 많이 세세하게 노트 하시면 공부가 더 깊어지리라고 생각합니다. 바쁜 생활에 여기 와서 동참하는 것만으로도 대단히 귀한 일이고, 어려운 시간인줄 압니다만, 그래도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도 정말 귀한 가르침이니까 아무리 많은..

[근현대 선지식의 천진면목] 41.고경법전 - 부처님이 설한 계율이 해탈의 세계로 인도한다

[근현대 선지식의 천진면목] 41.고경법전 부처님이 설한 계율이 해탈의 세계로 인도한다 밝은 거울처럼 살면서 제자와 불자들을 인도했던 고경법전(古鏡法典,1883~1946) 스님. 불보종찰 통도사에서 내외전을 두루 익히고 ‘남방대강사’로 불릴 만큼 교학에 뛰어났던 고경스님은 이후 율사로 계를 설하기도 했다. 해방 후 첫 통도사 주지로 추대됐을 만큼 대중에게 신망받으며 ‘수행자의 모범’을 보였던 고경스님 일화를 비문을 통해 살폈다. 또한 제자 일타스님이 도서출판 효림을 통해 발간한 내용을 참고했다. “부처님이 설한 계율이 해탈의 세계로 인도한다” 내외전 두루 익힌 ‘남방 대강사’ 명성 ‘화합 · 공부 · 정진’ 후학들에게 당부 ○…소년시절에 출가한 고경스님. 세속에서 미처 배우지 못한 사서삼경을 비롯해 부처..

무애권선가 / 원효대사

산하대지와 사생고락이 내 마음의 조작이라 콩 심어 콩이 되고 팥 뿌려 팥 거두니 인과 응보가 내 뒤 따르는 양 몸 가는데 그림자요 소리에 울림이라 업보에 끄는 힘이 황소 두고 더 세어라 눈 깜박 하는 결에 마음에 이는 생각 아뿔사 천만 겁에 사생고락 씨가 되니 어허 두려운지고 인과 응보 두려워라 그러나 인과 일래 범부도 성인 되네 천지가 넓다 해도 선(善)을 위해 있아오매 터럭 같이 작은 선도 잃어짐이 없을러라 방울 방울 물이 모여 큰 바다를 이루듯이 날마다 작은 공덕 쌓아 큰 공덕 되니 하잘 것 없는 몸이 무상 보리 이루는 법 여덟 가지 바른 길을 밟아 적선 함이로다 어허 고마운지고 인과 응보 고마워라. 서가여래 아니시면 이 좋은 법 어이 알리 삼천 대천세계 바늘 끝만한 빈데 없이 목숨을 버리시며 겪으..

선지식 2022.10.30

여리작의와 여실지견

여리작의와 여실지견 니까야 경전이나 초기불교 관련 해설서, 법문 등을 대하다 보면 여리작의 如理作意 yonisomanasikara, 여실지견 如實知見 yathabhutananadassana이라는 용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여실지견은 대체로 ‘있는 그대로 알고 봄’ ‘형성되는 그대로 알고 봄’으로, 여리작의는 ‘이치에 맞는 정신활동’ ‘근원에 맞는 정신활동’ 등으로 얘기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번역은 두루뭉실할 뿐 아니라 모호하기 그지 없어서 크게 와닿지 않으며, 여리작의와 여실지견의 차이가 무엇인지 판단하기도 어렵습니다. 여리작의는 한마디로 ‘연기적 사유’를 가리킵니다. 이와 달리, ‘실체적 사유’는 소유를 동력으로 하는 감각적 쾌락에의 욕망, ‘나는 있다’라는 착각을 동력으로 하는 존재적 욕망을 바탕으..

불교미술의 기본 원리 / 유홍준

※ 본 글은 유홍준저, 한국미술사 강의 1, 눌와에서 일부를 옮겨온 것입니다. 탄생불 불교는 석가모니의 탄생과 더불어 시작된다. 기원전 6세기 중엽, 지금의 네팔 국경 부근에 있던 카필라Kapilla 성城의 정반대왕에게는 고타마 싯다르타Gautama Siddhartha(기원전 563 또는 기원전 567~기원전 483년경)라는 태자가 있었다. 그의 탄생설화를 보면 어머니인 마야Maya 부인이 해산기가 있어서 친정집으로 가는 도중 룸비니 동산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어린애가 오른쪽 옆구리로 튀어나와 일곱 발자국 앞으로 걸어가더니 오른손으로 하늘을, 왼손으로 땅을 가르키며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고 외쳤다. 천하에서 자신만이 홀로 존엄한 존재라고 예언했다는 것이다. 그러자 하늘에서 내려온 9마리의 ..

불교 2022.10.30

사자의 서

티벳 사자의 서 달라이 라마의 서문 서구 세계에 로 알려진 은 티벳 문화가 산출해 낸 아주 중요한 책 중에 하나다. 서구인들은 우리 티벳인을 대단히 영적인 사람들이라고 본다. 하지만 우리 스스로는 땅 위에서 실제적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인간의 죽음에 대한 우리의 체계적인 연구와 분석을 죽음을 신중하게 맞기 위한 실제적인 준비라고 여긴다. 다소 빠르고 늦음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죽지 않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죽음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죽음의 과정을 고통 없이 지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리고 죽음 이후에는 어떻게 되는가 등을 우리 티벳인들은 실제적인 문제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티벳 사람들은 죽음에 관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고, 인간적으로 잘 죽는 방법을 개발하고 습..

티벳 불교 2022.10.30

동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

윤리와 사상 동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의 흐름 |도표 정리| 02~05 유교와 한국 유교 윤리 사상 06~26 불교 윤리 사상 27~31 도가·도교 윤리 사상 32~39 수능 출제 경향 분석 40~47 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 |도표 정리| 48~51 경험 중시 흐름 52~67 이성 중시 흐름 68~86 사회 정의,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87~90 수능 출제 경향 분석 91~96 동양 유교 윤리 사상의 흐름 춘추 전국 공자 ① 사회 혼란의 원인: 인간의 도덕적 타락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 극기복례(克己復禮) 실천을 통한 인(仁)의 회복 ② 예(禮): 외면적인 사회 규범, 인의 외면적 표출 ③ 인과 예의 관계: 인은 예를 통해 실현, 예의 바탕은 인 ④ 정명(正名) 사상: 사회 성원들이..

기타 2022.10.30

무교가 미신이된 가장 큰 이유

무교가 미신의 굴레에서 벗아날 수 없었던 데에는 권력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불교나 유교가 한반도에 수입되기전까지 무교가 미신으로 천대받은 적은 없다. 무교는 당시 보편 신앙이었다. 그러나 불교나 유교 같은 수입종교가 권력과 결탁되어 세력을 형성하면서 무교는 미신이라는 비난을 피해갈 수 없었다. 원래 종교적 신념에 관한 한 진리라는 것이 따로 있는게 아니다. 권력을 잡은 많은 사람들이 힘으로 밀면 그것이 진리가 되는 것이다. 예수가 신이라 믿어진 것도 313년 니케아 공의회 권력에 의한 결정이었다. 그리고 이 교리는 2천년 동안 한번도 의심을 받아 본적도 또 의심해서도 안되는 진리가 되어 버렸다. 즉 교리의 정통여부는 어떤 확실한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힘의 소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기타 2022.10.30

유교가 한반도에 미친 영향

유교와 분리된 대한민국을 상상하는 건 마치 기독교를 떠난 유럽과 미국 , 힌두교를 떠난 인도를 상상하는 것 만큼이나 불가능하다. 어른이 밥 숟가락을 들기전에 나이 어린 사람이 먼저 식사를 하기 위해서는 윗분들의 윤허가 필요한 사회, 연장자 앞에서 당당하게 담배를 피는 건 상상하기 힘든 사회, 술잔에 잔을 부딪힐때는 항상 연장자 보다 밑에 그리고 술을 마실때도 손으로 입을 가리고 시선을 뒤로 하고 먹어야 예의가 있다고 생각하며,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면 통성명과 함께 은근 슬쩍 나이로 서열을 가리는 사회 , 그렇게 나이에 따라 형이되고 동생이 되고 누나가 되고 오빠가 되는 급 친족사회는 아마도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유일무이 할 것이다. 이렇게 유교는 좋든 싫든 관계없이 우리생활 깊숙히 세세한 행동 하나 하나까..

기타 2022.10.30

기독교가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

기독교의 한반도 유입은 단순한 종교의 유입이 아니라 서양 문화 그 자체가 한반도 한국 사회를 송두리째 바꾸어 놓은 것이다. 기독교가 한국 사회에 들어왔을 때 한국 사회는 천 수백 년 전에 불교가 들어왔을 때와 비슷한 일을 겪게 된다. 불교가 수입될 때도 단순히 중교 하나가 들어온 것이 아니라 인도로부터 중국까지 펼쳐져 있는 전 대륙의 문화가 유입된 것이었다. 하지만 기독교의 유입만큼 커다란 생활양식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기독교의 유입은 한반도 사람들의 전반적인 의식주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확립한 시기 이후부터 지금까지 크게 일상생활의 모습을 크게 바꾼 적이 없다. 하지만 미국 문화가 들어오면서 의복과 사는 집 그리고 먹는 음식도 크게 변화를 겪게 된다...

기타 2022.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