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인문과학 57

불교에 나타난 無사상 고찰- 선종의 無사상에 이르기까지 - 서종순

불교에 나타난 無사상 고찰 ​ - 선종의 無사상에 이르기까지 - ​ ​ 서 종 순* ​ 목차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인도철학에서 '無' ​ Ⅲ. 중국 철학에서의 '無' ​ Ⅳ. 불교에서의 無 ​ Ⅴ. 中國佛敎에서의 '無' ​ Ⅵ. 禪宗의 '無' ​ Ⅶ. 나오는 말 ​ ​ ​ ​ 선종의 無는 도가와 융합되기 시작되는 중도종의 부정의 3단계로부터 발전되었다. 이것은 존재론적 인식론적 의미가 통합된 자각의 상징이 되었다. 이는 베다의 종교의식의 내면화로부터 계속되어 온 베다 내의 우파니샤드의 전통과 베다 밖의 두 전통, 불교와 자이나교의 전통을 일으킨 인도의 종교적 전통이 중국의 전통을 거치면서 종합되고 발전 된 본질 자체의 지시어가 되었다. 불교경전이 무수한 세월을 통해 전파되면서 더욱 방대하게 발전..

고행에 대한 불교와 자이나교의 논쟁 / 김미숙

고행에 대한 불교와 자이나교의 논쟁 / 김미숙 머리말 ​ 불교와 자이나교가 똑같이 슈라마나(沙門)의 일원으로서 출발하였다는 것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마하비라의 자이나교가 파르슈와 교단이라는 기성 종교를 동일한 교단 차원에서 재구성한 것이었던 반면에, 고타마 붓다의 불교는 분명히 새롭고 혁신적인 종교 교단이었다. ​ 그 첫째 이유는 고행(苦行, tapas)을 부정했다는 데 있다. 고래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수행 방법들 중 최고라고 공인된 고행을 닦지 않아도 해탈할 수 있다고 주창했던 붓다는 가히 혁명가라는 칭호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정도이다. 요컨대, 자이나교와 불교는 동시에 반(反)브라만교 운동에 앞장섰지만, 서로 화합할 수 없었던 가장 큰 요인은 고행에 대한 시각의 차이에 있었다. ​ 자이나교..

나말려초 선사들의 선교양종 인식과 세계관

나말려초 선사들의 선교양종 인식과 세계관 추 만 호* Ⅰ. 머 리 말 Ⅱ. 수용기 선종에 대한 화엄종의 대응 1. 화엄 3대사찰의 선종 수용 2 . 수용 의도와 초기 선의 이해 Ⅲ. 선사들의 선교양종 인식과 세계관 1. 정착기 선종의 교종관계 실제 2. 선사들의 선교양종 인식과 세계관 Ⅳ. 교외별전의 문제점과 형성 시기 1. 자료의 문제점 2. 형성 과정과 선종 이해에 미친 영향 Ⅴ. 맺 는 말 Ⅰ. 머 리 말 선종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평자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노동관의 도 입, 종교실천성의 회복, 개인주의적이고 분파주의적인 성향, 직관강조의 접근 가능한 단 순성 등이 선종의 특성으로 대개 일컬어 온다.1) 이전의 교종단계와는 다르거나 진보한 모습을 선종이 분명하게 보여준다는 것이다. ..

초기불교의 호흡 명상법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Journal for Buddhist Studies) 제47호(2016.06) pp. 109∼134 초기불교의 호흡 명상법에 대한 고찰 -호흡명상의 다양한 위상을 중심으로- *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4S1A5B6A02049047) 이필원/동국대학교(경주) 파라미타칼리지 조교수 I. 들어가는 말 II. 초기경전 속에 나타난 호흡명상법 III. 결론 [요약문] 오늘날 우리에게 알려진 명상법은 대단히 다양하다. 그 가운데 무엇이 더 좋은가는 개인적 기질이나 성향에 달린 문제이기에 무엇이 더 좋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그 많은 명상법 가운데 누구나 접근하기 쉽고, 종교적 성향에 관계없이 할 수 있는 명상법이 있다..

소유의 종말을 말하는 불교사상 / 김형효

특집 | 디지털 문명 시대와 불교 1. 로댕의 〈생각하는 사나이〉와 신라의 〈미륵반가사유상〉 지성의 시대에서 자성(自性)의 시대로, 신(神)의 시대에서 부처(佛)의 시대로, 휴머니즘의 시대에서 자연주의의 시대로, 소유의 시대에서 존재의 시대로, 타동사적 권력의지 시대에서 자동사적 힘의 유출 시대로 인류사가 개벽을 일으키는 그런 장엄한 변화가 도래하는 시기에 우리가 들어섰다. 한마디로 인류사는 그간 지성과 의지의 확장을 촉구하는 그런 발달과 발전의 시대를 맞았고, 그것을 위해 인류는 모든 능력을 개발하여 왔다. 지성과 의지의 발전은 로댕(Rodin)의 조각작품인 〈생각하는 사나이(le penseur)〉가 전체적으로 그것을 표상하는 모양을 보인다. 로댕의 〈생각하는 사나이〉가 지성의 시대를 표상한다면, 신라..

原始禪(원시선)의 생명윤리주의

原始禪의 생명윤리주의 김 형 준/위덕 대학교 겸임교수 차 례 Ⅰ.들어가는 말 Ⅱ. 原始禪의 의미와 내용 Ⅲ. 禪수습법으로서의 慈悲觀 Ⅳ. 四無量禪의 수습구조 Ⅴ. 禪수습의 윤리적 구조 Ⅵ. 맺는말 Ⅰ. 들어가는 말 현존하는 아함․니카야에서 보아도 선은 명백히 원시불교의 수행 그 자체를 상징하고 있다. 단적으로 표현해, 적어도 최초기불교에 있어서의 수행자는 선수행자를 의미하며, 또한 수행자의 해탈, 혹은 깨달음이란 어디까지나 선이라는 매개를 통해 비로소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같은 사실은 고오타마 붓다의 깨달음을 전하는 전승이나1), 성도 이후의 제자들의 수행양상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2) 1) 이와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이제 막 깨달음을 얻으신 세존께서는 우루베라 마을 네란자와강 기슭의 보..

華 嚴 經 의 敎 育 觀 硏 究 - 金 石 (화엄경의 교육관연구 -김 석)

1 9 9 4 學 年 度 碩 士 學 位 論 文 華 嚴 經 의 敎 育 觀 硏 究 指 導 敎 授 全 海 住 東 國 大 學 校 佛 敎 大 學 院 佛 敎 學 專 攻 金 石 1 9 9 4 學 年 度 碩 士 學 位 論 文 華 嚴 經 의 敎 育 觀 硏 究 金 石 指 導 敎 授 全 海 住 이 論 文 을 碩 士 學 位 論 文 으 로 提 出 함. 金 石 의 碩 士 學 位 論 文 을 認 准 함. 1 9 9 4 年 月 日 主 審 (인) 副 審 (인) 副 審 (인) 東 國 大 學 校 佛 敎 大 學 院 華 嚴 經 의 敎 育 觀 硏 究 차례 序 ....... 1 1. 硏究의 目的 ....... 1 2. 硏究의 方法과 範圍 ....... 2 Ⅰ. 佛敎와 敎育 ....... 2 1. 우리 나라 敎育의 現況과 問題點 ....... 2 ..

초기불교 및 상좌불교에서 죽음의 명상/김재성

『불교학연구』제16호(2007.4) 초기불교 및 상좌불교에서 죽음의 명상 김 재성(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I. 머리말 불교는 생로병사(生老病死)를 포함한 모든 괴로움을 소멸시키기 위해 제시된 가르침이다. 사성제 대표되는 초기불교의 가르침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인 멸성제 즉 열반의 실현에 있다. 열반이란 불사(不死, amata), 적정(寂靜, santi), 무사(無死, amaccu)와 동의어이다.1) 불교의목적을 이루는 일은 바로 죽음을 극복한 상태를 이룬 것이 된다. 따라서 죽음은 초기불교의 핵심적인 가르침과 직결되어 있다. 1) “chandarāgaviratto so bhikkhu paññāṇavā idha ajjhagā amataṃ santiṃ nibbānapad..

한국의 비구니 교단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 조은수

한국의 비구니 교단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 조은수 어찌 불법(佛法)에 비구 비구니가 있으며 세간과 출세간이 있겠는가 어찌하여 북(北)이 있고, 남(南)이 있으며 어찌 너와 내가 있을 수 있으리오 ― 비구니 본공(本空) 스님(1907~1965)의 1935년 게송1) 1. 들어가는 말 1970년대 한국 송광사에서 구산 스님 밑에서 비구니로 출가하여 수행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프랑스에서 각종 참선 그룹을 지도하고 있는 재가 지도자 마르틴 배철러에 따르면 세계의 비구니들을 비교해 볼 때 대만 비구니의 지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한국 비구니의 지위가 높다고 한다. 그는 한국에서 승려 생활 당시 만났던 비구니 선경 스님(1903-1994)을 인터뷰하여 그분의 전기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에서의 비구니..

불교의 생명윤리사상 연구 - 뇌사와 장기이식을 중심으로 -

불교의 생명윤리사상 연구 - 뇌사와 장기이식을 중심으로 - 곽 만 연 *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불교의 생명윤리 사상 1. 뇌사란 무엇인가 2. 불교의 죽음관 3. 불교의 인간관과 육체관 4. 무속신앙과 유교의 인간관과 육체관 5. 장기이식의 근거를 위한 불교사상 Ⅲ.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불교는 자비와 보시의 윤리를 강조하는 종교이다.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각막·신장·심장·다리뼈와 관절 등 거의 모든 인간신체를 다른 필요한 사람에게 이식시킬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오늘날 우리들 불자 중에는 흔히들 자기자신의 장기는 자기자신의 인격의 일부라는 말을 하는 소리를 듣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신체를 그 일부로서 가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