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141

논어 원문 및 해석

논어 원문 및 해석 01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은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않은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답지 않은가?󰡓 02 有子曰, “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유자가 말했다. “그 사람됨이 부모에게 효도하고 어른에게 공경스러우면서 위사람 해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윗사람 해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질서를 어지럽히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는 것이니, 근본이 확립되면 따라야 할 올바른 도리가 생겨난다. 효도와 공경이..

기타 2023.01.29

조선의 유교사상

조선의 유교사상 역사 동방에 있어서 주요한 사상의 흐름은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라 하겠는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다.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전래 유교라면 중국을 발상지로 하고 그것이 여러 나라로 전해진 것으로 되어 있다. 삼국시대 이전의 한국사상에 대하여는 문헌 부족으로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유학사상은 한자(漢字)의 전래와 더불어 들어왔다고 생각된다. 한국 유교에 대한 기사는 고구려의 소수림왕 2년(372년)에 태학(太學)을 세워 자제를 교육한 점에서 최초로 볼 수 있다. 또한 고구려는 지방 곳곳에 경당을 두어 청년들에게 유교 경전(經典)과 궁술(弓術)을..

기타 2023.01.29

도올,이경숙,최진식의 도덕경 해석 차이 비교표

[완역 도덕경] 이경숙 김용옥 최진식 ‘도덕경’ 해석 차이점 지금으로부터 2500년 전에 노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도덕경’이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독자들의 판단을 돕기 위해 최근 출간된 ‘완역 이경숙 도덕경’과 기존 해석판과 극명하게 다른 부분을 비교·정리했다. ◆道可道 非常道(도가도 비상도). 名可名 非常名(명가명 비상명). 無名天地之時 有名萬物之母(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제1장 名) ▲이경숙(이하 이)= 도를 도라고 할 수도 있지만 언제나 그 이름이 도인 것은 아니니라. 어떤 이름으로 이름 붙일 수는 있지만 언제나 그 이름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 않겠나뇨. 이름이 없다면 천지는 언제나 처음 시작된 때와 마찬가지겠지만 이름을 가지면서부터 만물은 계통을 갖게 되느니라. ▲김용옥(중앙대 석..

기타 2023.01.22

이것이 유교 경전이다.

이 책을 내면서 李完栽(영남대학교 명예교수) 벌써 10여 년 전으로 기억된다. 어떤 유림 단체의 모임에서 유교 경전에 관하여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다. 그 때 한가지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했다. 유교 경전 13경이 모두 무엇 무엇인가를 아는 사람이 있는가 물었더니 백 명이 넘는 청중 가운데서 이를 아는 사람이라고는 한 사람도 없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13경이라는 말 자체를 들어본 적도 없다는 것이다. 그날 모인 사람들이 다름 아닌 유교와 긴밀하게 관련된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점에 있어서 문제는 더욱 심각한 것이었다. 그 동안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이 늘어나고 그에 대한 지식도 널리 보급되어 지금은 상당히 많이 달라졌겠지만, 이것이 그다지 오래전의 일이 아닌 우리의 실정이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유..

기타 2023.01.22

맹자 명언 모음

맹자의 명언들 1 상하가 경쟁하듯이 이익을 다투면 나라가 위험해진다. 上下交征利而國危矣 2. 만일 의를 뒤로하고 이익을 앞세운다면 빼앗지 않고는 만족하지 못할 것이다. 苟為後義而先利,不奪不饜 3 .어질면서 어버이를 버리고 의로우면서 임금을 뒤로한 자는 여지껏 없었다.未有仁而遺其親者也,未有義而後其君者也 4. 산자를 봉양하고 죽은 자를 제사 지냄에 유감이 없는 것 이것이 왕도정치의 시작이다. 養生喪死無憾,王道之始也 5. 몽둥이로 사람을 죽이는 것과 칼로 사람을 죽이는 것과 차이가 있는가? 칼로 사람을 죽이는 것과 정치로 사람을 죽이는 것과 차이가 있는가? 殺人以梃與刃,有以異乎 以刃與政,有以異乎 . 6.。어진 자는 적이 없다仁者無敵 . 7 항산이 없으면 항심이 있는 것은 선비들만이 가능한 일이고 인민들은 항산..

기타 2023.01.15

[朴 癸 姬] ■ 연기법에 의한 공사상과 중도론 연구 - 아함과 중론을 중심으로

緣起法에 의한 空思想과 中道論 硏究 -阿含과 中論을 中心으로- 朴 癸 姬 (惠 照) ▒ 目 次 ▒ 緖 言 1. 硏究의 動機와 目的 2. 硏究의 범위 Ⅰ. 阿含 緣起(無我)의 특질 1. 三科說에 나타난 無我 思想 ⑴ 五蘊說에 나타난 無我說 ⑵ 十二處說에 나타난 無我說 ⑶ 十八界說에 나타난 無我說 2. 四聖諦의 실천적 無我 思想 Ⅱ. 阿含의 中道說 1. 無記의 中道義 2. 十二緣起의 中道說 展開 ⑴ 正覺 成道의 연기 ⑵ 戱論 寂滅의 연기 Ⅲ. 俱舍論에 나타난 小乘有部의 緣起說 1. 十二緣起의 개요 2. 三世兩重因果說과 胎生學的緣起說 Ⅳ. 中論의 緣起說과 空思想 관계 1. 相依性의 緣起와 空性 2. 相依性에 대한 오해와 空의 바른 인식 3. 空의 대승� 전개 Ⅴ. 中論에 나타난 緣起의 중도 체계 1. 八不中道..

기타 2023.01.15

[허인섭] ■ 조론(肇論)에서의 반야(般若)와 공(空)개념 성격 고찰

조론(肇論)에서의 반야(般若)와 공(空)개념 성격 고찰 허인섭 (덕성여대 교수) ▒ 목 차 ▒ Ⅰ. 서 론 Ⅱ. 승조 시대의 사상적 배경 1. 위진현학(魏晋玄學)적 사유의 특성 1) 선진도가(先秦道家)의 세계 이해방식 2) 왕필(王弼) 현학의 사상적 특성 2. 도가와 불교의 개념 혼용 문제 1) 도․불(道․佛)의 개념적 사유 한계 이해와 그 극복방식의 차이 2) 연기론의 도가적 이해 양상 Ⅲ. 조론의 중국불교적 특성 1. 공(空) 개념 이해의 일반적 문제점 2. 조론에서의 반야와 공 개념 이해방식 사례 분석 1)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에서의 반야 개념 2) 물불천론(物不遷論)에서의 존재 개념 3) 부진공론(不眞空論)에서의 공(空) 개념 Ⅳ. 결론 Ⅰ. 서 론 승조(僧肇)는 대규모 역경의 위업을 이룬 서역..

기타 2023.01.15

진정한 중용의 의미

♣ 진정한 중용(中庸)의 의미 ♣ “중용(中庸)이란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또 중용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철학은 어떤 것일까?” 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잠시 고민에 잠기지요 도대체 중용(中庸)이란 무엇인가? 요즘처럼 보수나 진보 좌우 대결이 심할때는 더욱 고민(苦悶)에 빠지지요 그래서 사람들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는 것이 좋다며 ‘중용을 지켜야 한다’고 말을 하지요 흔히 중용이란 ‘중립을 지킨다’ 또는 ‘중간의 입장’ 등의 의미로 이해하고 있어요 심지어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라는 인식으로 중용을 이해하지요 사서삼경(四書三經)은 유교의 교육 및 교양 서적으로 유교 사상의 가장 핵심적인 책들이지요 사서(四書)는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

기타 2023.01.08

논어에서 가려 뽑은 242가지 명언 명담

논어에서 가려 뽑은 242가지 명언 명담 1. 닭을 잡는 데 어째 소를 잡는 큰 칼을 쓸 필요가 있겠는가. 일의 대소, 나라의 대소에 따라서 처리하는 인재도 적당하고 부적당한 자가 있다. -논어 2. 덕이 있는 자는 반드시 훌륭한 말을 한다. 그러나 입으로 훌륭한 말을 하는 자가 반드시 덕이 있는 자는 아니다. -논어 3. 덕(德)이 있으면 사람은 결코 외롭지 않는 법이다. 반드시 공명하는 자가 나타나는 것이다. 만일 외롭더라도 그것은 일시적인 것이다. -논어 4. 도(道)가 없는 나라에서 부하고 귀하게 되는 것은 사람으로서 수치스러운 일이다. -논어 5. 도(道)가 행해지고 있는 사회라면 나와서 활동하겠지만 도가 없는 사회라면 오히려 숨어서 사는 것만 못하다. -논어 6. 도리에 맞는 말을 한다면 혹은..

기타 2023.01.08

서양철학사 요약

서양철학사 요약 서양철학 (1) _ 서양철학사 개요․소크라테스이전의 철학 B&F 함께 가는 길(redyaki@hanmail.net) ━━━━━━━━━━━━━━━━━━━━━━━━━━━━━━━━━━━━━━━━━━━━━━━━━━━ 서 양 철 학 사 1) Ⅰ. 개 요 1. 철 학 (哲學, philosophy) 가. 철학이란? (1) philos (사랑. 앎) + sophia (지혜, 지(episteme)) (2) 필로스와 소피아와의 합성어, 지혜(참앎)에 대한 사랑으로서 ‘학으로서 참된 知를 향한 모든 행동 나. 철학의 3대 영역 (1) 존재론(형이상학) : 세계 혹은 우주의 모든 존재의 궁극적 근원 또는 근본의 원리를 탐구하는 분야 ex) 일원론, 이원론 / 단원론, 다원론 / 인과론, 목적론 / 유신론, 무..

기타 2023.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