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관련 212

이기영, 학문과 신행의 일치를 실천한 석학

이기영, 학문과 신행의 일치를 실천한 석학 특집 | 재가불교운동을 이끈 사람들 [78호] 2019년 06월 01일 (토) 임동주 limdj12@daum.net 1. 이기영의 생애 불연(不然) 이기영(李箕永)은 1960년대 이후 현대 한국불교에서 불교학 연구와 재가불교의 흥기 및 발전에 크게 기여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에 그의 생애를 간략히 소개하고 그가 추구한 이상적 불교와 구체적 신행 활동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기영은 일제강점기인 1922년 2월 20일 황해도 봉산에서 태어났다. 1941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사학과에 입학하여 예과(豫科) 2년을 수료하였다. 이어서 법문학부 사학과에서 학업을 이수하다가 일제의 학병징병으로 전쟁에 나갔으며, 1945년 해방을 맞아 귀국하였다. 이후 고향 사리원에서 역..

불교관련 2020.09.06

[초청법문] 뇌과학과 무아Q&A

Q. 깨달은 분이 뇌가 망가져서 말도 못하고 이상한 행동을 한다면 그 때 그분의 깨달음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요? 아뢰아식에있다고 해야 할까요? A. 일단 깨달았다고 할 수 있겠구요. 청정도론을 찾아보니까 아나함 이상은 해치는 일이 못 벌어진답니다. 불도 범접하지 못하고. 어떤 분이 질문했어요. 깨달은 분에게 전신마취 걸면 어떻게 될까? 전신마취해서어떻게 할 수가 없답니다. 아나함 이상 되면 세속의 거친 일을 그분에게 적용하지 못 한다고 합니다. 업에 의해 돌아가실 수는 있으나 이상한 일이 일어나거나 할 수는 없다.그렇게 나옵니다. 깨달음 자체는 없습니다.깨달음은 있는 것을 지우는것이 깨달음이지 한 점 식이 자유로워졌다고 하는 것은 상태가 아니라서 몸이 아무리 망가지고 하더라도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Q...

불교관련 2020.09.06

이승 [ 二乘 ]

정의 두 가지의 수레라는 뜻으로, 소승과 대승 또는 성문승과 연각승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개설 이승은 일반적으로 소승과 대승을 말하지만 간혹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의 삼승(三乘) 중에서 앞의 두 가지, 성문승과 연각승을 의미하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원래 불교는 성문승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대승사상과 대승교단이 나타나면서 이승을 형성하게 되었다. 서력기원 초에 안정된 경제체제를 갖추게 된 불교 교단은 학문이나 수행을 위주로 하는 승려들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를 아비달마불교라고도 한다. 아비달마불교는 일반 대중과 유리되었기 때문에 일반 대중의 종교적 욕구를 강조하면서 기존의 부처를 신격화시킨 사상과 중생구제를 강조하는 새로운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불교 사상들이 나타나..

불교관련 2020.08.23

자비 실천의 윤리교육적 접근 / 방영준

자비 실천의 윤리교육적 접근 / 방영준 1. 왜 이 글을 쓰는가 이 글은 ‘자비 없는 불교는 없다’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일찍부터 기독교는 사랑, 유교는 인, 불교는 자비를 표방하는 종교라는 말을 수없이 들어왔다. 그런데 뜬금없이 ‘자비 없는 불교는 없다’는 무엇인가. 이 주제는 어쩌면 지극히 상식적이고 진부한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주제를 다루려 하는 것은 그동안 한국 불교 현실에서 자비가 소홀히 취급되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불교의 현대화, 생활화, 또는 불교의 사회적 기능 등에 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려면 이 논의의 중심에 ‘자비(慈悲)’가 있어야 한다. 그렇다. 자비는 열반으로 가는 수단이면서 또한 불교의 목적 그 자체이기 때문이..

불교관련 2020.08.09

불교와 사회참여 - 박광서

불교와 사회참여 - 박광서 박광서(서강대 교수/종교자유정책연구원 공동대표) 1. 들어가며 2. 한국불교의 현주소 가. 한국종교의 지형변화 나. 한국불교의 정치사회적 위상 다. 2등 국민 대접받는 불자들 3. 절실한 불자의식 변화 가. 출가승단의 문제 나. 재가불자의 문제 4. 불교의 사회참여 가. 사회참여의 교리적 배경 나. 동남아 참여불교의 등장과 그 특징 다. 사회책임과 보시정신 라. 사회참여의 내용과 한계 5. 맺으며 1. 들어가며 삶의 저변의 한 축을 이루는 종교계가 짊어져야 할 사명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다. 불교는 자리이타, 스스로의 변화를 통해 자신과 타인의 행복을 위한 길을 제시하는 종교이다. 그러나 오늘날 불교가 사회적 고통을 감싸고 치유하기보다 자체 무게를 감당하기조차 힘겨워하는 것은..

불교관련 2020.08.09

업과 윤회

일시 : 불기 2562년 7월 14일(토) 10:00 ~ 12:00 장소 : 전법회관 지하1층 교육관 강사 : 운암 스님 스님은 사회의 갈등에 대한 안타까움을 동지애로 화합하고 이해하여 갈등을 없애야 할 것이라고 피력하시면서 부처님의 마음으로 수업을 시작하셨습니다. 부처님 당시 인도의 사상적 배경인 힌두교의 6사 외도와 제사 위주의 제식에서 사성 계급이 출현하여 범아(梵我)일여(一如) 사상(우주의 궁극적인 실재인 브라만[梵]과 개인의 진정한 자아인 아트만[我]이 같다라는 사상)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불교의 불이(不二) 사상과 다르지 않지만 생명력이 있는 불교의 바다는 개개인에게도 부합하는 대기 설법이 가능하다고 하셨다. 업(Karma)은 축적의 뜻을 제행 무상(諸行 無常)으로, 윤회(samsara, reb..

불교관련 2020.08.09

마음테라피 II (2016년)

마음의 병이란? 과학기술과 의학기술이 많이 발달했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신체적인 병은 많이 극복되고 해결되었습니다. 그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우리의 정신적인 문제 병은 큰 발전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여 호전되고 있지만 정신적인 문제는 상대적으로 많이 해결이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정신건강적인 측면에서 볼 때 지금 우리 사회가 물질적인 풍요를 맞이하고 있거든요. 그 물질적인 풍요를 우리의 어떤 정신건강이나 나은 삶을 위해서 쓰면 참 큰 기회 혜택이 될 수 있는데 자칫하면 우리가 그런 물질적인 풍요를 얻는데 많은 시간을 쓰고 바쁘고 지나친 경쟁 속에 놓일 수 있어요. 그래서 자칫하면 정신적인 건강을 잃을 수 있는 그런 상황 속에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스스로 필요하면 인터넷..

불교관련 2020.07.05

사회와 청소년의 문제

사람이 초심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내일이면 2019년 기해년을 끝나고 2020 경자년 새해를 마지한다. 건강하게 살아가는 자가 성공한 사람이다. ​장문이지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자식을 옹호하고 자기 자식만을 사랑하는 것은 이 세상 사람들의 공통된 마음 일 것이다. 오늘 필자는 현 사회의 일그러지고 있고 편애적인 부모들의 자식 사랑을 두고 우리의 지난 과거의 자식 사랑을 비교하면서 글을 쓴다. 불교와 유교가 얼마나 효(孝)에 대한 사상을 두고 논의 했는지를 알아본다. 불교에서는 고다마 붓다에 대한 수많은 경전은 팔만 사천 가지로 불어나 있다. 이씨조선 때 유교가 불교를 멀리한 이유에는 무엇인가 시대에 맞지 않거나 정치나 사회의 형성과정에 걸림과시대와 맞지 않는 잘못이 있었기 멀리 했었을 것이다. 다 각..

불교관련 2020.06.28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 연재를 시작하며 ​ - “20세기 서구지성에 불교사상 단비 뿌려”- - 붓다 깨달음 자기체험 통해 자세히 묘사 - ​ ▲1957년 부산 生 ▲외대 스페인어과 졸업, 同 대학원 수료(문학석사) ▲스페인 마드리드 대학원 수료(문학박사, 중남미문학 전공) ▲서울대 대학원 강사 ▲고려대 대학원 강사 ▲현 한국외국어대 강사·성천문화재단 연구실장·문학평론가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20세기 서구지성에 매우 큰 영향을 준 작가다. 문학가로 사상가로 명망 높은 그가 타계 10년전에 를 저술 자신의 사상근저에 불교가 뒷받침됐음을 알게한다. 본지는 새해를 맞아 보르헤스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어떻게 ‘자기화’시켰는지를 정확히 알 수있는 를 연재한다. ​ ‘20세기의 창조자’라고 ..

불교관련 2020.06.21

석가족 사람들의 출가

석가족 사람들의 출가 붓다는 성도 후 몇 차례 고향인 까삘라밧투(Kapilavatthu, 迦毘羅衛城)를 방문하였습니다. 붓다는 첫 고향 방문 때, 당시 결혼을 앞두고 있던 배다른 동생 난다(Nanda, 難陀)를 제일 먼저 출가시켰습니다. 이어서 아들 라훌라(Rāhula, 羅睺羅)도 출가시켰습니다. 그 이후 붓다의 교화를 받고 많은 샤카(Sakya, 釋迦)족의 청년들이 출가하였습니다. 당시 출가한 샤카족 청년은 사촌 동생인 아난다(Ānanda, 阿難)와 데와닷따(Devadatta, 提婆達多)를 비롯하여 아누룻다(Anuruddha, 阿那律), 밧디야(Bhaddiya, 跋提伽, 婆提), 바구(Bhagu, 跋俱), 낌빌라(Kimbila, 金毘羅) 등이었습니다. 샤카족 청년들의 출가 인연과 전후 사정에 대해서는 ..

불교관련 2020.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