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인문과학 1 219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이자랑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 - 부파 성립에 있어 율의 역할을 중심으로 -(본고는 금강대학교 HK연구단 주최로 열린 제1회 동아시아불교집중담론(제1차 2015.2.9 및 제2차 2015.8.27)에서 구두 발표한 원고를 수정 ․ 보완한 것이다.)이자랑/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Ⅰ. 머리말Ⅱ. 부파 발생에 관한 전승: 근본분열과 지말분열Ⅲ. 부파의 정체성 확립과 율의 공유Ⅳ. 부파와 대승의 관계 : 학파로서의 대승 Ⅴ. 맺음말 불멸(佛滅) 후 100년경부터 시작된 불교교단의 분열은 이후 200~300년 동안 이어졌으며, 그 결과 교단은 18 혹은 20여개의 집단으로 나뉘었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이 기간을 ‘부파불교(시대)’, 이때 발생한 각 집단을 ‘부파’라고 부른다. 분열 기사를 전하는 ..

병고와 죽음에 대한 불교의 인식과 가르침

[논단] 병고와 죽음에 대한 불교의 인식과 가르침 [불교평론 58호] 2014년 06월 01일 (일) 양 정연 1. 들어가는 말 모 방송국에서 〈생로병사의 비밀〉이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건강을 지키고 질병을 이기는 방법 등 유익한 정보들을 소개해주는 까닭에 일부 흥미 위주의 드라마보다 시청률이 더 높다고 한다. 사람들의 관심이 양에서 질로 이동하면서 ‘오래 사는 것’보다 ‘어떻게 오래 살 것인가’에 대해 흥미를 더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심은 ‘사는 것’에 대해서만 아니라 죽음이나 임종 과정에서도 보인다. 호스피스의 범위가 임종환자를 돌본다는 기존의 개념에서 인간 존엄성, 인간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인 측면으로까지 확장되어 정의되는 것을 보면 삶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