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인문과학 1 219

불교교육의 기초 (The Foundations in Buddhist Education)와 차제적 교육방법 /이송곤 박사의 ‘불교교육학’강좌

이송곤 박사의 ‘불교교육학’강좌11. 불교교육의 기초 (The Foundations in Buddhist Education)와 차제적 교육방법 1) 초기불교 교육방법의 토양 : 온(蘊)·처(處)·계(界) ⓛ 불교교육의 존재론적 기초 초기불교 경전에서 서술하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교육방법은 온(蘊) · 처(處) · 계(界) · 근(根) · 제(諦) · 연(緣) 등을 순차적으로 說하는 과정에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미리 말하지만 남방불교권에서 존경하는 붓다고사 스님은 위숫디막가(Visuddhimagga; 淸淨道論)에서 이 여섯 가지 온(蘊) · 처(處) · 계(界) · 근(根) · 제(諦) · 연 등을 위빠사나 수행을 위한 토양이라고 말씀하고 있는데, 그것을 보더라도 이 여섯 가지는 초기불교의 교육방법에서..

이종철 교수의 불교강좌 [전문]

이종철교수의 불교강좌 ■ 이종철 교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한 후 일본 동경대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도 Mysore대학 연구원과 중국 북경대 교환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로 재직중이며, 전공은 불교철학(구사, 유식)이고 ‘인도불교와 동아시아불교의 비교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 목 차 ▒ 1. 연재를 시작하며 2. 나가르주나에게 부처님은 어떤 분이셨을까? 3. 부처님을 향한 신앙은 맹종도 회의주의나 상대주의도 아니다 4. 연기와 희론(1) 5. 연기와 희론(2) 6. 연기는 존재를 인정하나 본체는 부정한다 7. 논서명〈중론송〉에서 ‘중(中)’의 의미 8. ‘유무(有無)’와 ‘공(空)’의 구별 9. 연기와 존재 10. 범부와 성자의 구별 11. ‘불상부단(不常不斷)’에 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