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미얀마의 불교 미얀마는 버마족과 카친족, 카렌족, 산족, 몬족등 다양한 종족이 모여 있으며 동남아시아지역에서 인도와 가장 가깝고 인도와 접경한 유일한 국가이다. 지형상으로 말레이반도까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데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진다. 버어마족은 상부 평원지역에 있으면서 북인도지.. 불교 2019.03.03
태국 (Thailand) : 불교(소승불교) 태국 (Thailand) : 불교(소승불교) (태국 불교) (소승불교)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태국에서 승려와 사원의 사회적위치) ■ 태국 불교 1. 역 사 ᄋ 6세기경 스리랑카에서 Theravada 불교가 태국에 전래 ᄋ 13세기 수코타이 왕국시 스리랑카로부터 Theravada 불교를 재도입하여, 국교화함. ᄋ 15세기 아.. 불교 2019.03.03
기타 각국의 불교 제 4장 기타 국가의 불교 남방불교 테라바다 : 상좌부 중심으로 전개 상좌부 불교 동남아시아 지역에 전승 초기 불교 승단의 전통이 상당 부분 이어짐 비구니 교단 11c 단절 1998년 전세계인구중 6% 불교신자 그중 상좌부 불교인 38% 차지 1. 스리랑카 인도 아쇼카왕 전법사 :아들 마힌다 비구 스리랑카 불법전수 아누라다푸라에 대사 (大寺) 설립 정통적인 대사파의 근거 딸 : 상가미타 : 비구니 보리수 한가지 전함 * 대사파 : 12c 대사파의 승리 교단 정비 무외산파 : 대승불교와 밀교를 수용 * 특징 팔리경전의 전승 기원전 1c 경율론 3장이외도 장외불전 편찬 경전연 구 깊이를 더함 11c 힌두교 탄압으로 불교 교단의 위축 남방불교의 핵심 성지 인정 셰계 불교도의 순례지 각광 전 인구의 67% 불교.. 불교 2019.03.03
[스크랩] ◈ 불교사 명장면 ◈ 목차 불교사 명장면 목 차 01. 제 1 차 결집 02. 근본분열과 제2결집 03. 아소카 왕의 불교 귀의 04. 불상의 탄생 05. 인� 석굴사원의 발달 26. 승록사와 승관제 도입 27. 지나내학원과 무창불학원의 설립 28. 중국불교부흥의 현장과 부흥요인 29. 쌈예의 논쟁 30. 티베트불교와 종파의 발전 06. 아.. 불교 2019.02.24
[스크랩] 회통불교사상 통불교사상(通佛敎思想) < 韓國佛敎의 通佛敎 思想에 대하여> Ⅰ. 序 言. Ⅱ. 通佛敎思想 形成의 背景. Ⅲ. 通佛敎思想의 形成. Ⅳ. 通佛敎思想의 展開. Ⅴ. 結 論. Ⅰ. 序 言 韓國의 불교는 일찌기 민족 문화의 형성기라고 할 수 있는 삼국 시대에 전래되어 오랜 기간 동안 우리 민족의 .. 불교 2018.12.02
[스크랩] 미륵사상 미륵사상(彌勒思想)이란? 1) 미륵사상의 종류 2) 오시는 시기와 장소 3) 미륵부처님이란? 4) 주요 경전 5) 미륵사상의 발전 1) 미륵사상의 종류 ① 도솔천 왕생사상. 미륵보살(부처)님께서 현재 사바세계에 강림하시기 전 천상의 70여 하늘 중, 욕계의 천상 6천중 4천 도솔천에 계시는 바, 지상.. 불교 2018.12.02
[스크랩] 법화사상 법화사상 <사상적 배경> 법화경은 대승불교의 경전이다. 잘 알려진대로 부파불교가 난해하고 번쇄한 교리를 수립하고 어려운 실천에 전념하던때 민중들과 그 지도자들사이에 하나의 새로운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승불교이다.이 대승불교는 한때 한곳에서 급속히 흥.. 불교 2018.11.25
[스크랩] 화엄사상 화엄사상(華嚴思想) <화엄경>은 화엄부의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준말이며, 범어로는 Mahavaiplya-buddha-ganda-vyuha-sutra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대(大)는 소(小)에 대한 상대적인 입장이 아니라 절대적인 대(大), 상대가 끊어진 극대를 말한다. 시간.. 불교 2018.11.25
[스크랩] 천태사상 '천태사상'의 역사와 전통 - '지관 수행론'의 고찰을 중심으로 -- 목 차 -- < 서 론 > < 본 론 > Ⅰ 지관 수행의 전통 Ⅱ 중국 천태종 Ⅲ 한국의 천태 사상 Ⅳ 일본에서의 천태교 - 참고문헌 - < 결 론 > < 서 론 > 천태의 사상은 중국 불교 교학에 있어서 화엄 사상과 함께 양대 .. 불교 2018.11.18
[스크랩] 여래장사상 여래장사상의 성립과 사상적 의의 [ 목 차 ] < 서 론 > < 본 론 > I 여래장 사상의 역사 II 여래장 사상의 교리 III 승만경에 나타난 여래장 사상 IV 여래장과 他사상과의 관련성 < 결 론 > - 참 고 문 헌 - < 서 론 > 대승불교의 사상은 중관사상과 유식학으로 대별된다고 해도 과.. 불교 2018.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