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183

불교사(佛敎史)

불교사(佛敎史) 1. 인도불교사 2. 중국불교사 3. 한국불교사 4. 일본불교사 5. 티베트 불교사 6. 동남아불교사 7. 서양의 불교현황 1. 인도 불교사 김 경 동 목 차 1.도입 2.고대인도(붓다 탄생전의 사회) 3.원시 불교(붓다 입멸과 경전의 결집) 4.부파불교(마우랴 왕조) 5.힌두이즘과 대승불교 형성(쿠샨 왕조, 굽타 왕조) 6.밀교(팔라 왕조) 7.이슬람교의 침입과 불교 부흥 운동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동화되었음을, 쇠퇴되었음을 좁은 불교인으로 항상 가슴아파 해 했었다. 혹시, 다른 나라의 불교도 역시 그러한 과정을 밟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고. 하지만, 지금의 여러지역 불교는 민족 종교로 불교 특유의 유연성에 의해 그들의 생활 의식과 관습을 담은 채, 역사의 질곡을 해쳐나가 자..

불교 2021.07.18

재가자 수행

불교에서 대부분의 교리는 수행과의 상관성을 지니면서 사용되고 있다. 재가수행자의 수행법은 형식과 방법론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본질적인 문제에서는 동일한 지향점을 향하고 있다. 승가의 전통이 수행 공동체의 형성과 전개에 있다면, 재가의 경우는 세속 생활의 영위와 함께 자신의 조건에 맞는 수행을 해 왔다. 우리나라 불교에서는 보살의 실천행이 중시되어 왔다. 생사의 고해를 건너서 열반의 세계에 이르고자 한 실천수행법은 육바라밀로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반야(般若) 바라밀(波羅蜜)이다. 초기불교와 달리 대승불교에서는 육바라밀이라는 수행법이 중시되었다. 육바라밀의 수행법에서 보시바라밀이 제일 먼저 언급되는 이유가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상보적인 관계로 삶을 영위해야 한..

불교 2021.04.25

불교입문

불교입문 불기 2540년 8월 31일 대한불교 조계종 포교원장 이 성 타 불교란 무엇인가 1. 종교란 무엇인가 2. 깨달음의 진리 3. 모르고 사는 인생 4. 자신이 변하면 세계가 변한다. 5. 불교- 믿음과 수행을 겸비한 종교 6. 지혜의 길 7. 참 나를 찾아서 8. 진리를 향해 정진하는 삶 9. 불교적인 삶 부처님과 부처님의 깨달음 1. 부처님의 생애 2. 부처님의 깨달음(연기, 삼법인, 사제팔정도, 업과 인과) 3. 불교의 역사 불교의 수행법 1. 참선이란 2. 간경 3. 염불 불교와 인생 1. 인연으로 받는 새로운 생 2. 불자의 신행 생활 3. 불교의 명절의례 4. 가정의례 5. 역경을 이겨내는 불자의 자세 6. 이 세상의 인연이 다하여(장례, 천도재, 수륙재, 영산재, 예수재) 함께 사는 세..

불교 2021.04.25

불교의 이해와 신행

불교의 이해와 신행 제1부 부처님과 세계관 제1 장 지혜와 자비의 부처님 1. 부처님 생애의 의미 불교를 처음으로 창시하신 분은 석가모니 부처님이시다. 그 분은 역사상 실제 인물로 우리 인간 세계에 오셨다. 그러므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공부는 불교 교리의 시작이며 마음공부의 기준이라 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기에 관한 기록을 불타전(佛陀傳) 혹은 불전(佛傳)이라고 하는데, 크게 본생담과 비유담으로 나눌 수있다. 본생담은 자타카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에 관한 우화나 설화를 말한다. 그리고 비유담은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여러 부처님들과 보살들에 관한 이야기들을 말한다. 이러한 불타전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는 것이 룸비니 동산에서의 탄생, 붓다가야에서의 깨달음,..

불교 2021.03.14

韓國敎育史(한국교육사)와 佛敎思想(불교사상)

韓國敎育史(한국교육사)와 佛敎思想(불교사상) 敎育(교육)의 本質(본질)은 自己本來(자기본래)로의 再轉換(재전환) ◇이 글은 지난 4일 韓國敎育學會(한국교육학회) 韓國敎育史硏究會(한국교육사연구회)가 ‘韓國敎育(한국교육)의 思想的(사상적) 淵源(연원)’이라는 主題(주제)아래 本校(본교) 교수회의실에서 개최한 年次(연차) 學術大會(학술대회)에서 筆者(필자)가 發表(발표)한 논문의 要旨(요지)이다. ​ 1.韓國佛敎思想(한국불교사상)의 敎育哲學的(교육철학적) 特性(특성) 佛敎(불교)에 있어서 바람직한 人間形成(인간형성)의 이론은 ‘ 깨달음’의 형식을 통해 無實體(무실체)한 존재의 實相(실상)을 올바로 인식하는 데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지혜롭고 자비로운 自主人(자주인), 즉 밝고 따뜻한 주체적 인간’으로 표상..

불교 2021.02.28

사섭법(四攝法)

사섭법(四攝法) 불법의 수승함을 알고 그 가르침의 위대함을 알지만 어떻게 불법을 전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리 쉽지 않다. 그러나 불법에서는 남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일러주고 불법으로 인도하는 보살의 자세에 대해서 사섭법이라는 원칙을 제시해 주고 있다. ① 보시섭(布施攝) 보시섭이란 저마다 중생이 바라는 바를 베풀어서 불법으로 이끌어 들이는 것을 말한다. 그 베품에는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 등이 있다. 재시란 재물을 베풀어주는 것을 말하며 법시란 바로 부처님의 가르침인 진리를 일러주는 것이다. 낙담하고 좌절에 빠졌을 때 부처님의 말씀 한 마디를 일러주는 것은 더 없는 위안이 되고 슬픔을 이길 수 있는 힘이 된다. 그러므로 참된 말씀을 일러주는 것은 바로 전법의 가장 좋은 방법이다. ..

불교 2021.01.31

회향기도, 끝 아니라 공덕 돌리는 수행

회향기도, 끝 아니라 공덕 돌리는 수행 ​ 기도수행의 과정 중에서 불교를 불교답게 하는 가장 멋진 수행이 회향기도 수행이다. 일반적으로 회향기도라고 하면 기도를 마친다는 뜻으로 알기 쉽다. 그러나 회향한다는 말은 마친다는 뜻이 아니다. 회향이란 방향의 전환을 의미한다. 회향은 회전취향(廻轉趣向)의 줄임말로 ‘자기가 닦은 선근공덕(善根功德)을 다른 이를 향하여 돌린다’는 뜻이다. 기도하는 동안에 스스로 쌓은 선한 공(功)과 수행의 덕(德)을 다른 사람들에게 돌려 베푸는 것이 회향이다. 우리의 삶은 언제나 이기심으로 가득 차 자신을 지향한다. 회향기도의 수행이란 ‘이를 전환(廻)하여’ 나와 남이 함께 행복하고자 ‘세상을 지향한다(向)’는 뜻이다. ​ 대승의장(大乘義章)은 일종의 불교 백과사전으로 중국의 혜원..

불교 2021.01.03

불교의 생사관

불교의 생사관 김영조 기자 5월 12일은 음력으로 4월 8일로서 불기(佛紀) 2563년 ‘부처님 오신 날’이었다.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의해 지정된 법정공휴일에 속한다. 크리스마스는 해방 후 미군정 치하인 1945년에 이미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미국 기독교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불교계에서도 형평성의 문제를 제기하며 꾸준히 요구한 결과 1975년에 석가탄신일이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4월 초파일’, ‘석가탄신일’로 불리던 명칭도 불교계의 요구에 따라 2017년 10월부터 ‘부처님 오신 날’로 바뀌었다. 다만 대체공휴일은 설날, 추석, 어린이날에만 제한적으로 인정되고 부처님 오신 날은 제외되었다. 불기 연대 표시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상좌부불교(남방불교)에서는 석가모니가 입멸..

불교 2020.11.08

三國遺事 「義解」 삼국유사 「의해」

一然 일연 三國遺事 「義解」 삼국유사 「의해」 원광이 중국에 유학하다 [해제] 이 글은 신라에 본격적으로 중국 불교사상을 소개하기 시작한 원광(圓 光)에 관한 기록이다. 본래『삼국유사』에는 당 초기에 도선(道宣)이 편찬한 『속고승전』의「원광전(圓光傳)」과『삼국유사』를 편찬하던 고려 후기에 경 주지방에 전해지고 있던 『수이전(殊異傳)』에 실린「원광전(圓光傳)」의 내 용을 모두 싣고,『삼국사기』의 열전「귀산전(貴山傳)」의 내용 중에서 세속 오계와 관련된 부분과 또 다른 기록에서 백고좌법회와 점찰보 활동을 모아 엮었다. 이중 우리나라의 저술인 『수이전』의 기록을 통해 우선적으로 원 광의 생애와 활동을 살펴볼 수 있으므로, 원광과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도 선(道宣)의 기술로 자료적 가치는 높지만 중국에서의 활동..

불교 2020.10.01

삼국유사 - (2) 탑상(塔像)

미륵선화와 미시랑과 진자스님 [해제] 신라 사회에서 큰 역할을 했던 화랑과 승려와의 관계를 알려주는 미륵선 화(彌勒仙花) 이야기를 싣고 있는 편이다. 화랑은 진흥왕 때 여자 원화(原 花)로 시작하였으나 둘 사이의 질투로 폐지하였고, 얼마 후에 남자 화랑국 선(花郞國仙)을 받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진지왕 때 이르러 흥륜사의 진자 (眞慈) 스님이 미륵불이 화랑으로 세상에 태어나기를 빌었더니 웅천 수원 사에 가면 미륵선화를 만날 수 있으리라 하여 한 소년을 만나고, 서울에 돌 아와 미시(未尸)라는 이름의 그 아이를 찾아 미륵선화임을 확신하고 국왕 에게 추천하여 국선으로 삼았다는 이야기이다. 화랑이 미륵신앙과 관계가 있음을 말해 주는 풍부한 자료를 알려 주는 기록이다. 화랑과 미륵이 결합 된 미륵선화를 말하기 ..

불교 202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