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824

[열린논단] AI(인공지능)에 대한 쟁점: 융합적 분석과 불교

1. 머리말 4 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2011년 1월에 독일이 공식적으로 ‘인더스트리 4.0을 공표하고, 2016년 1월에 세계경제포럼(WEF)이 다보스에서 ‘4차 산업혁명의 이해(Mas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를 주요 의제로 설정한 이후 세계적인 관심사를 갖게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6년 3월에 벌어진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대결 충격 이후 대중, 언론, 학계의 관심사가 되었다. 인공지능, 로봇공학,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양자암호 및 전달체계,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3D와 4D프린팅에 의한 맞춤생산(customization), 무인운송, 사물인터넷(IOT)을 통한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socie..

불교관련 2024.03.24

탐진치 뜻/의미. 탐진치(貪瞋痴)=삼독(三毒) 번뇌[煩惱]

탐진치(貪瞋痴)는 번뇌[煩惱]다. 번뇌[煩惱]란 중생의 마음을 괴롭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 마음을 괴롭게 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것이기에 그걸 독(毒)이라 말하며, 탐진치(貪瞋痴) 세 종류이기에 삼독번뇌[三毒煩惱]라고 부른다. ​ 탐진치(貪瞋痴)는 모두 마음에서의 일이다. ​ 탐(貪)은 탐욕/탐심....즉 이기적인 욕망/욕심을 뜻하고, 진(瞋)은 분노/화/불만을 뜻하고, 치(痴)는 어리석음/무지/착각을 뜻한다. ​ 우리 인간을 괴롭게 만드는 번뇌의 뿌리가 바로 치(痴)이다. 치(痴)가 바로 무명/무지/어리석음이다. ​ 잘못 알고 있는 것, 착각 역시 이 치(痴)에 해당된다. ​ 그럼 도체 뭘 모르고, 뭘 착각하고 있는 걸 치심(痴心)이라 하는가? ​ 그 종류는 많다. 그래서 어느 딱 하나를 지정하지 ..

위없는 가르침 2024.03.24

소동파의 선시(禪詩)

소동파의 선시(禪詩) 지 안 동파(東坡 : 본명 蘇軾소식 1036~1101) 거사가 불교와 인연을 맺게 된 계기는 형남(荊南)에 있을 때 옥천사(玉泉寺)의 승호(承皓: 1011~1091) 선사를 만나면서부터다. 천하에 문장가요 시인이자 서예가, 화가였던 그는 학식과 재주로써는 남에게 지고 싶지 않았다. 실제로 송대(宋代)의 인물 가운데 소동파를 최고 천재로 보는 사람들도 있었다. 마치 우리나라 조선조의 최고 천재를 김시습으로 치듯이 동파는 중국 역사에서 천재로 평가된 인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런 그가 도인이라 칭송받으며 세속의 학문을 내려보는 불교의 선사(禪師)들에 대하여 못마땅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선사들을 만나 한 번 떠볼 양으로 소문 듣고 형남에 있던 옥천사 승호 선사를 방문하게 된 것..

지혜의 공간 2024.03.10

『아함경 이야기 』(마스타니 후미오) - 전체

아함경 이야기 ​ 마스타니 후미오(增谷文雄) 지음. 이원섭 옮김. 현암사 出. ​ [ 차례 ] ☆나(김승우)의 소감 ☆ 지은이의 말 1. 그 사람 (1) 석가족 (2) 정각(正覺) (3) 보리수 밑에서의 생각 (4) 첫 설법 (5) 네 가지 진리 (6) 전도(傳道) (7) 인간성 2. 그 사상 (1) 눈 있는 이는 보라 (2) 현실적으로 증험(證驗)되는 것 (3) 내재하는 방해물 (4) 연기(緣起) (5) 이는 고(苦)이다 (6) 이는 고(苦)의 멸(滅)이다 (7) 나도 밭을 간다 (8) 열반(涅槃) (9) 불방일(不放逸) (10) 문답식 3. 그 실천 (1) 착한 벗 (2) 정사(精舍) (3) 포살(布薩) (4) 법좌(法座) (5) 삼보(三寶) (6) 이타행(利他行) (7) 불해(不害) (8) 자비(慈..

羞惡之心(수오지심)

羞惡之心(수오지심) 공자가 제자와 길을 걷다 나무 뒤에서 몰래 똥을 누는 남자를 발견하였다. 공자는 그 남자를 크게 꾸짖으며 다시는 몰래 똥을 누지 말라고 혼을 냈다. 남자는 의롭지 못한 행위를 부끄러워하며 " 죄송합니다. 다시는 그러지 않겠습니다."고 말하였다. 또 길을 가는데 이번엔 길 한복판에 똥을 누는 사람이 나타났다. 공자는 지나쳤다. 그러자 제자는 궁금하게 여겨 물었다. "나무 뒤에서 몰래 똥 싸던 남자는 뭐라 하시면서 왜 길 한복판에 똥 눈 사람을 보고 그냥 지나치십니까?" 그러자 공자가 대답하였다. "몰래 똥을 누는 것은 자신의 행동이 부끄럽다는 것을 아는 행위다. 그런 사람을 꾸짖으면 개선할 여지가 있다. 하지만 대놓고 길 한복판에서 똥을 싸는 사람은 미친 사람이다. 부끄러움을 모르니 꾸..

기타 2024.03.10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ㅂ - 15>

아미산 ------------------------------------------------------------------ *보살승(菩薩乘, bodhisatttva-yana)---보살의 길, 보살의 수행법이라는 뜻이다. 승(乘)은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붓다의 가르침이나 수행법을 뜻한다. 따라서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붓다의 가르침을 불승(佛乘)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보살승은 보살의 실천법으로서 많은 사람을 구제하고 성불하게 하는 데 주력하는 보살로서 불법을 수행하고 실천하는 입장을 말한다. *보살 십력(菩薩十力)---보살만이 가진 열 가지 힘(능력)을 말하는데, 부처님의 십력에 대배된다. 보살 십력은 여러 대승경론에 보인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의 「이세간품(離世間品)」에 설해지는 것으로 아래와..

불교용어 2024.03.10

懶翁語錄 나옹어록

懶翁語錄 나옹어록 ​ ● 광제선사 개당법회 廣濟禪寺開堂 ● 신광사 주지가 되어 절에 들어가는 날 神光寺入院 ● 결제상당 1 結制上堂 ● 해제상당 解制上堂 ● 내원당에서의 보설 入內普說 ● 소참 小參 ● 제야소참 除夜小參 ● 보설 普說 ● 욕불상당 浴佛上堂 ● 결제상당 2 結制上堂 ● 달마상에 점안하다 達磨開光祝筆 ● 지공화상 탄생일에 指空和尙誕生之晨 ● 지공의 입적일 1 入寂之辰 ● 지공의 입적일 2 又 ● 지공의 입적일 3 又 ● 지공의 입적일 4 又 ● 시중 示衆 ● 입문삼구 入門三句 ● 삼전어 三轉語 ● 17일 수어 十七日垂語 ● 공부십절목 工夫十節目 ● 왕사로 봉숭되는 날의 보설 王師封崇日普說 ● 일주수좌에게 주는 법어 示一珠首座 ● 굉장주에게 주는 법어 示宏藏主 ● 각성선화에게 주는 법어 示覺成..

나옹록 2024.03.10

우리말 금강경(원문포함)

#우리말금강경 ​ 개경게 開經偈 무상심심미묘법 無上甚深微妙法 위 없이 매우 깊은 미묘한 법 백천만겁난조우 百千萬劫難遭隅 백천만겁 지나도록 만나기 어려워라 아금문견득수지 我今聞見得修持 내가 지금 듣고 보아 닦고 지니어 원해여래진실의 願解如來眞實義 여래의 참된 뜻을 알고자 합니다. ​ 개법장진언 開法藏眞言 옴 아라남 아라다 (3번) ​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 法會因由分 第一 법회인유분 제일 - 제1 법회가 열린 인연 ​ 如是我聞 一時 佛 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 여시아문 일시 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구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한 때에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 고독원에서 큰 비구 천이백오십인과 함께 계시었다. 爾時 世尊 食時 着衣持鉢 入舍衛大城 ..

반야심경 원문과 해석

반야심경 원문 및 해석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無苦集滅道 無智 亦無得 以無所得故 무고집멸도 무지 역무득 이무소득고 菩提薩타 依般若波羅密多故 心無가碍 ..

숭산(1927~2004) : 불교정신으로 세계일화 추구한 선사 / 최용운

특집 | 세계를 가르친 현대불교의 스승 10인 1. 머리말 ​ 20세기 전반기가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세상이 온통 황폐해진 시대였다면, 후반기는 그 전쟁의 폐허를 재건하고 사람들이 입은 육체적 ․ 정신적 상처를 치유하고 회복하는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상처를 치유하고 회복하며 인류가 새로운 도약을 맞이할 수 있게 하고자 여러 분야에서 출현했던 선각자들은 오롯이 자신의 인생을 바쳤다. 이 가운데 불교계에도 세계적인 스승들이 나타나 불교적 가치와 사상을 바탕으로 피폐해진 인류의 정신세계를 회복시키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데 앞장섰다. ​ 그들 가운데 한국불교의 전통과 사상을 세계에 알리며 세계인들의 마음을 일깨우고 치유하며, 그들로 하여금 불교적 가치와 사상을 기반으로 자아를 새롭게 발견하게 하..

선지식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