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참선 수행(參禪 修行)-2 참선 수행(參禪 修行) 1. 참선(參禪) 불교 수행법으로 가장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은 역시 참선이다. 참선은 전통적으로 훌륭한 선사들이 이 방법을 통해서 도를 얻고 인격을 완성했다. 요즘은 많은 불자들이 참선을 자신의 수행법으로 삼는 경향이 있다. 이 참선에도 크게 몇 가지 방법이 .. 참수행법(간화선) 2018.01.28
[스크랩] 참선 수행(參禪 修行)-1 한국불교의 수행법중에서 참선수행은 그 핵심을 이룬다. 따라서 제방에서 왕성히 참선이 행해지고 또한 참선수행에 대해 일반인의 관심도 높다. 그런데 일반신도들은 참선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직접 수행하기에는 아직 거리감이 있다. 왜냐하면 선사들의 법문을 듣거나 책을 읽고 매력.. 참수행법(간화선) 2018.01.28
[스크랩] 칠각지(七覺支, 깨달음의 구성 요소, bojjhanga) ⑴ “비구들이여,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念覺支]를 확립시키는 법들이 있어 거기에 근원적으로 마음을 잡도리하기를 많이 지으면 이것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일어나게 하고 이미 일어난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늘리고 드세게 만들고 .. 알아차림 2018.01.28
[스크랩] 우리의 마음을 쉬게 합시다. 우리가 매일 밥을 먹고, 씻고, 옷을 세탁하고, 휴식을 취하고, 잠을 자듯이, 우리의 마음도 영양과 휴식을 주고 깨끗이 해주는 일을 꾸준히 해주어야 합니다. 마음은 항상 여러 가지 대상들과 접촉하면서 지치고,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깨끗이 해주고 쉬도록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알아차림 2018.01.28
[스크랩] 관찰대상이 왜 감각이며 무엇이 감각인가 ? 고엔카 관찰대상이 왜 감각이며 무엇이 감각인가 ? 고엔카 담마(dhamma 法)는 괴로움을 소멸시키고 행복을 준다. 그럼 누가 이 행복을 주는가? 붓다가 아니라 몸에서 경험되어지는 무상의 지혜, 담마 바로 그것이 행복을 준다. 그렇기에 여러분은 수행해야만 되고 지속적으로 무상을 알아차려야만 .. 알아차림 2018.01.28
[스크랩] 마음은 안이비설신의에 의해 발생한다. 비구들이여, 식(識)은 일어난 특별한 조건에 의해서 불려진다. 식이 눈과 형상에 의지해서 일어날 때는 안식(眼識)이라고 불리고, 식이 귀와 소리에 의지해서 일어날 때는 이식(耳識)이라고 불리고, 식이 코와 냄새에 의지해서 일어날 때는 설식(舌識)이라고 부르고, 식이 몸과 감촉에 의.. 알아차림 2018.01.28
[스크랩] 해답은 알아차림이다. 언제나 알아차려라. - 졸릴 땐 졸린 걸 알아차리고, 또 알아차린다. 알아차리고 뭐가 졸린지 끝까지 파고 들어가서 알아채라. - 통증이 있을 땐 쉽게 알아채니까, 그 통증을 끝까지 파고 들어가서 원인을 알아채라. - 알아차림이란 뚫어지게 보는 것이다. - 알아채고 또 알아채라. # 멍하니 .. 알아차림 2018.01.28
[스크랩] 한번 앉으면 절대 움직이지 않는다. 한번 앉으면 끝날 때까지 절대 움직이지 않는다. 자주 움직이고, 자세를 자주 바꾸면 삼매를 개발하기 어렵다. - 몸이 가려워도 긁지 않는다. 느낌은 "나"가 아니다. - 다리가 저려도 움직이지 않는다. 통증은 "나"가 아니다. - 허리가 아파도 움직이지 않는다. 몸은 "나"가 아니다. - 움직이.. 알아차림 2018.01.28
[스크랩] 좌선시 항상 잊지 말꺼 4가지 1. 알아차림 2. 바라보기 3. 분석하기 4. 결론도출 - 알아차림 : 느낌 - 바라보기 : 마음 - 분 석 : 무상, 고, 무아 - 결 론 : 모든 집착을 끊는다. 몸, 느낌, 마음, 현상은 무상하고, 고통이며, "나"가 아니며, "나의 것"도 아니다. 알아차려야 바라볼수 있고, 분석해야 결론에 도달한다. 알아차림 201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