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진여불성(공성空性)에 대한 완벽한 설명 자료, 다운받으세요. 이 자료는 달라이라마께서 쓰신 자료입니다. 대단한 자료 입니다. 정말 대단한 자료이니, 꼭 인쇄하셔서 보세요. 여지껏 본 자료 중에서 최고입니다. 불성, 즉 공성에 대한 아주 세밀한 설명입니다. 이런 법문은 달라이라마아니면 어느분께서 하실 수 있을까요? 이런 법문을 통해 정말 달..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돈오점수[頓悟漸修] : 돈오 하고나서 점수한다는 의미란 무엇인가? 돈오점수[頓悟漸修] ! 돈오점수니, 또는 돈오돈수니....이런 용어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돈오! 문득 깨닫는다는 의미입니다. 문득 뭘 깨달을까요? 무아를 깨닫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엇으로 무아를 깨달을까요? 空性으로 깨닫습니다. 공을 진여불성, 자성, 법성이라고도 표현합니다. 자..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진여불성을 깨닫지 못하면, 제대로된 수행을 할 수 없다. 수능엄경의 수행체계는 굉장히 타이트하게 짜여져 있다. 물론 부처님께서 설법하셨으니 당연하다. 수능엄경은 실제적인 수행을 설명한 경전이다. 수행경전이다. 수행방법을 설명하신 경전이다. 첫째 터득해야 할 것이 자신의 본질이다. 이걸 불성/진여/법성/자성/성품/空이라고 표현한..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진여/공성/불성/법성에 대한 쉬운 이해 대우주 공간.. 그 공간 안에는 모든 물질계가 들어 있습니다. 넓디 넓은 무한 공간안에 모든게 다 포함되어져 있지요. 대우주 공간이란 한계와 끝이 없겠지요. 그 공간 안에 태양계, 행성, 혜성, 태양, 달.. 모든게 다 포함되어져 있습니다. 불성/진여/공성이란 마치 이 대 우주공간 자체와 ..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빨덴다빠 스님 - 공[空] 체득해야 윤회 벗을 수 있다. 티베트 고승 빨덴다빠 스님 [하] 공[空] 체득해야 윤회 벗을 수 있다. 가족, 친척, 친구가 행복을 주는 것으로 착각하지만 깊이 생각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미친 사람들 속에서 혼자 제 정신을 갖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다고 가족, 친척, 친구들을 피하라는 얘기가 아닙니다. 그들에 대..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빨덴다빠 스님 - 복(福)이 있어야 공성(空性)을 깨닫는다. 티베트 고승 빨덴다빠 스님 [상] 어리석음 다스리는 게 참다운 空性의 지혜 ‘안녕하세요.’를 티베트어로 ‘따시뗄레’라고 말합니다. 이는 ‘행복’ 또는 ‘좋은 과보’를 의미합니다. 부처님의 모든 말씀을 요의법(了義法)으로 해석해 내는 까담파(티베트에 보리도차제법을 처음 전한..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진여불성을 깨닫는 것이 제1 급선무다. 진여불성을 깨닫는 것은 끝이 아니고, 겨우 수행의 시작입니다. 진여불성을 알기 전까지는 수행이 아니라는 뜻이지요. 알고 나서는 완전히 체득하는 과정이 남아 있는거지요. 아래 부처님의 법문이 바로 그 내용입니다. 그래서 수능엄경에서는 가장 먼저 불성을 깨달아야 하며, 그걸 깨..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연기법 & 空(진여불성) 空性이 곧 진여불성입니다. 연기법과 空性 연기법이란 이 세상이지요. 일체세간 즉, 유위법입니다. 공성은 진여불성이고 영원한거지요. 불생불멸/불구부정/부증불감 즉, 무위법입니다. 연기법이기 때문에 곧 空입니다. 연기법은 주체가 없다는 거지요. 텅 비어 있단 뜻 입니다. 연기법이..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진여불성과 마음과의 관계 4 - 부처님 말씀 [결론] 모든 중생들이 시작없는 과거(無始)로부터 모든 색(色)과 성(聲)을 따르면서 생각을 좇아 흘러 돌아서 일찍이 청정하고 묘하고 항상한 성품은 깨닫지 못하여 항상한 것은 따르지 않고, 모든 생멸하는 것만 좇아다니기 때문에 이로 말미암아 세세생생에 잡념으로 유전하게 되나니, 만약 생.. 제법실상 2017.12.24
[스크랩] 진여불성과 마음과의 관계 3 - 반야심경에서 발췌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사리불이여, 이 모든 법의 공한 모양은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않고 줄지도 않느니라. 위는 반야심경에 나온 진여불성과 마음에 관한 내.. 제법실상 201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