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스님 9

청담 스님의 법어

청담스님의 법어​불교와 인생나는 불교를 모른다. 그럴 뿐만 아니라 왜 불교를 모르게 되었는가 그 이유조차 모른다. 그러면서'불교와 인생' 이라는 말을 한다는 모순과 망령을 꾸짖어마지 않는다. 그러니 불교를 모르는 이산승이 인생인들 알 도리가 있겠는가?​모르는 불교, 알지 못하는 인생이지만 말로써 표현해야 하는 고충이 있다. 말이란 어떤 것이든충분히 설명할 수 없는 까닭이다. 예를들면 우리가 세 끼 밥을 먹지마는 평생 밥을 구경도 못하고생식하는 사람들에게 우리가 먹어서 체험한 밥맛을 그대로 설명하기란 거의 불가능 할 것이다.​오늘 저녁을 잡숫고 나온 밥맛도 제대로 설명 못하겠거늘 우리의 학문, 우리의 지식이라고 하는것을 어떻게 제대로 설명 하겠는가? 학계의 인정된 이론이라 하더라도 절대적인 해답은 내리지 ..

선지식 2024.11.17

청담대종사의 호국사상

청담대종사의 호국사상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호국 사상의 배경 Ⅱ-1. 사상적 배경 Ⅱ-2 호국적 사실(史實) Ⅲ. 호국사상의 내용 Ⅲ-1. 국가관 Ⅲ-2. 자비무적 Ⅳ. 호국사상의 실천 Ⅳ-1. 호국참회원의 신축 Ⅳ-2. 참회기도 Ⅴ. 맺음말 Ⅰ. 들어가는 말 불교의 목적은 누구나 구족해 있는 불성(佛性)을 계발하여 고(苦, duḥkha)로부터 벗어나 열반(涅槃, nirvāṅa)을 얻어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생활을 하자는 것이다. 이타(利他)의 면에서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소아(小我)를 버리고 대아(大我)의 정신으로 사는 것을 호국(護國)이라 한다. 일찍이 청담대종사께서는 독립만세 사건을 목도 후 민족과 국가에 대한 생각은 남다른 것이 있었다. 스님은 불교적 가치관마저 항상 국가관에 바탕을 두고..

선지식 2021.08.15

청담대종사의 포교사상

청담대종사의 포교사상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청담대종사 포교사상의 형성배경 Ⅲ. 청담대종사 포교의 당위성 Ⅳ. 청담대종사 포교사상의 내용 Ⅴ. 맺음말 Ⅰ. 들어가는 말 청담 대종사(1902-1971)는 한국 근〮〮· 현대 불교사의 중심에서 대승보살도의 살아있는 실증을 보이신 인욕보살로 칭해지고 있다. 청담대종사는 일생을 온몸으로 불교의 정화운동과 중생교화의 보살도를 실천한 분이시다. 생존 시, 스님의 법문 주조(主潮)인 “육신은 멸해도 법신은 영원하다. 성불을 한 생 미루더라도 모든 중생을 다 건지리라”고 하신 말씀에 스님의 포교의 정신이 함축되어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청담 대종사는 1600여년 한국불교 법통의 법등(法燈)을 지켜 평생을 중생교화와 불교의 포교 현대화를 위해 보살행을 실천하셨다..

선지식 2021.07.18

청담대종사의 정화운동의 역사적 의의

「청담대종사의 정화운동의 역사적 의의」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교단정화운동의 동기 Ⅲ. 교단정화의 이념 Ⅳ. 교단정화의 실천 Ⅴ. 교단정화운동의 역사적 의의 Ⅵ. 맺음말 Ⅰ. 들어가는 말 청담(1902-1971)대종사는 한국 근‧현대 불교사의 중심에서 대승보살도의 살아있는 실증을 행동으로 보이신 정화보살로 칭해지고 있다. 청담대종사는 일생을 불교의 정화운동과 보살도를 실천한 선각자였다. 청담대종사는 20세기의 한국에 보살로서 화현하시어 신라의 통일불교, 고려의 호국불교, 조선의 구국불교로 일관된 것을 계승하여 정화불교로 꽃피운 인욕보살이었다. 우리 문화의 원류를 이루었던 불교는 조선조 500여년의 오랜 박해와 억불(抑佛)에서도 서릿발같은 청정승가(淸淨僧家)의 전통을 이어왔었다. 그러나 한일..

선지식 2021.06.20

청담조사의 계율관

청담조사의 계율관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대승불교의 계율 Ⅲ. 계율 수호로서 정화운동의 인식 Ⅳ. 깨달음(悟)의 수행을 위한 계율 Ⅴ. 중생의 이익과 안락을 위한 실천으로서의 계율 Ⅵ. 맺음말 Ⅰ. 들어가는 말 청담(1902-1971)조사는 禪師였다. 그는 평생을 참선수행을 한 한국 근‧현대 불교의 대표적인 선사로서 불교의 정화운동과 중생교화의 보살도 실천을 행동으로 보이신 善知識이었다. 그는 출가(1926)한 이후부터 열반(1971)에 들 때까지 한시도 화두를 놓지 않았다. 출가한 동기 또한 인생의 화두(마음)를 해결하기 위함이었다. 그는 출가하여 도를 닦는 자는 성품을 보는 것(見性)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였기에 참선수행에 몰두하였다. 그는 문자를 세우지 않았던 선사였지만 현실에 있어..

선지식 2021.05.09

청담대종사의 수행관

청담대종사의 수행관 - 목 차 - Ⅰ.들어가는 말 Ⅱ.수행관의 형성배경 1)시대적 배경 2)사상적 배경 Ⅲ. 수행관의 내용 1)원력(願力)의 수행 2)참회(懺悔)의 수행 3)인욕(忍辱)의 수행 4)무상(無相)·무주(無住)의 수행 Ⅳ. 맺음말 I. 들어가는 말 청담(1902-1971) 대종사는 한국 근·현대 불교사의 중심에서 대승보살도의 살아있는 실증을 보이신 보살로 칭해지고 있다. 청담대종사는 “인간으로 태어나서 해야 할 일생일대사(一生一大事)인 부처님의 정법심인(正法心印)을 체득하여 일체중생을 제도하자”라는 서원으로 출가하여 선조(先祖)들의 수행관의 영향을 받아 마음철학을 정립하고 이를 전하시다가 일생을 마치셨다. 청담스님 수행관의 마음철학은 1700여년 한국불교 전통의 법등(法燈)을 창조적으로 계승하..

선지식 2021.04.25

청담대종사의 인욕사상

청담대종사의 인욕사상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인욕사상의 형성 배경 1. 시대적 배경 2. 사상적 배경 Ⅲ. 인욕사상으로서 무아의 인욕 1. 인욕선인(忍辱仙人)으로서의 원(願) 2. 자실인의(慈室忍衣)의 삶 Ⅳ. 맺음말 1. 들어가는 말 청담스님(1902∼1971)은 한국 근·현대 불교사의 중심에서 대승보살도의 살아있는 실증을 행동으로 보이신 인욕선인(忍辱仙人)이었다. 청담대종사께서는 “인간으로 태어나서 해야 할 인생일대사(人生一大事)를 부처님의 정법심인(正法心印)을 체득하여 일체중생을 제도하자”라는 서원으로 25세(1926년) 5월 17일에 경상도 옥천사(玉泉寺)로 출가하여 석전 박영호 스님을 은사로 득도 수계하셨다. 스님께서는 동년 10월 26일 서울 개운사의 대원불교 전문강원에 입학하여 대강백..

선지식 2021.03.28

靑潭스님의 한국불교사에서의 위치

靑潭스님의 한국불교사에서의 위치 Ⅰ. 들어가는 말 Ⅱ. 청담스님의 ‘마음철학’ 형 성 배경으로서의 원융사상 Ⅱ-1. 원융불교사상의 당위성 Ⅱ-1-1. 대립의 극복으로서의 원융사상 Ⅱ-1-2. 대립과 갈등의 불교사 Ⅱ-2. 원융사상의 한국적 전개 Ⅱ-2-1. 원효의 화쟁(和諍) Ⅱ-2-2. 지눌의 정혜쌍수(定慧雙修) Ⅱ-2-3. 서산의 선교겸수(禪敎兼修) Ⅲ. 원융사상 통섭으로서 청담스님의 마음철학 Ⅲ-1. 청담스님의 마음철학 형성 Ⅲ-2. 청담스님 마음철학의 내용 Ⅲ-2-1. 인간주체로서의 마음 Ⅲ-2-2. 진리로서의 마음 Ⅲ-3. 청담스님 마음철학의 실천 Ⅳ. 맺음말 Ⅰ. 들어가는 말 우리는 한국 문화의 기본성격을 조화지향성에서 찾는다. 우리 민족은 자연지리적으로는 대륙성과 해양성의 양면성(兩面性)을 ..

선지식 2021.02.28

실천과 현실개혁의 선풍(禪風) / 방남수

실천과 현실개혁의 선풍(禪風) 참회 강조한 인욕보살의 화신 청담스님의 선(禪) 수행 바탕은 보살행의 실천과 현실개혁의 선풍(禪風)이라 할 수 있다. 스님은 간화선(看話禪)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었지만 현실과 떨어져 산 속에서 화두(話頭)만 참구하는 것을 강조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불교의 현실 속에서 수행을 멀리하고 막행막식(莫行漠食)하며 자신의 이권을 쫒아가는 수행자의 모습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잘못된 폐해를 극복하고자 진력하였다. 청담스님은 마음을 찾는 일에 수행의 역점을 두었다. 간화선을 바탕으로 수행에 전념한 청담은 만공(滿空)선사에게 깨달음을 인가(印可)받고 보임(保任)에 나섰지만 그 기간은 오래지 않았다. 한국불교의 현실이 스님의 힘을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 결국 청담스님은 한국불교의 중심에 서..

선지식 202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