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의 승단 생활과 의식주 ::::: 목 차 ::::: 서론 수구(受具) 포살과 승단의 화합 안거와 자자 의식주 생활 결론 1. 서론 이 세상에 태어난 모든 사람은 누군가와 가족이나 친족의 연을 맺고, 세간에서 상식적으로 통용되는 가치관에 따라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간다. 개인마다 추구하는 행복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르지..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14
초기불교 승가의 가사에 대한 일고/신성현 초기불교 승가의 가사에 대한 일고 신 성현/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Ⅰ. 서론 Ⅱ. 袈裟의 제정과 규정 Ⅲ. 施衣의 허용과 제한 Ⅳ. 그 밖의 금지되는 조항 Ⅴ. 결 론 [요약문] 이 글은 초기불교 출가자가 입었던 가사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옷은 몸을 가리고 보호하며 더..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30
초기불교의 음식과 수행의 관계에 대한 고찰 초기불교의 음식과 수행의 관계에 대한 고찰 공만식(동국대 불교학과 강사) Ⅰ. 서 언 Ⅱ. 초기불교문헌에 나타난 음식 Ⅲ. 중도적 음식관 1. 고행주의적 음식관 2. 초기불교의 음식관 Ⅳ. 음식과 수행의 관계 Ⅴ. 음식과 관련된 수행 1. 음식과 관련된 두타행 2. 厭食想의 修習 3. 厭食想의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30
규봉종밀의 수행이론 普照思想14집 규봉종밀의 수행이론 - 돈점관을 중심으로 - 신규탁 / 연세대 철학과 교수 차 례 1. 머리말 2. 수행이론의 여러 양상 가)돈오점수 나)점수돈오 다)돈수점오 라)점수점오 마)돈오돈수 3. 맺음말 1. 머리말 규봉종밀(圭峯宗密; 780-841)이 ‘頓’ ‘漸’ ‘悟’ ‘修’의 네 개념을..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30
깨달음의 세계와 생활 세계 깨달음의 세계와 생활 세계 초청강연· 조성택 정리· 임동숙 깨달음의 세계와 생활 세계가 둘이 아니라고 한다면 수행하여 부처가 되는 일은 불필요한 일일 것이다. 반대로 깨달음의 세계와 생활 세계가 둘이라고 한다면 부처와 중생, 번뇌와 보리, 색(色)과 공(空)이 불이(不二)라고 한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30
원불교 재가자로서의 삶과 수행의 조화 원불교 재가자로서의 삶과 수행의 조화 최영돈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 1973년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졸업. 1975년 KAIST에서 기계공학 석사ㆍ박사 학위 취득. 현재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또 2001년부터 원불교 호법수위단원과 새삶회 회장,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30
티벳 밀교 꿈수행 티벳 밀교에 있어서 꿈(rmi lam)수행 -나로6법과 아티요가를 중심으로- 김 종 근 / 동방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교수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1. 꿈 수행을 다루는 티벳 불교의 문헌2. 나로6법(Naro chos dug)의 꿈수행3. 닝마파 아티(Ati)요가와 꿈수행 Ⅲ. 결론: 티벳 꿈수행의 특징과 의의 국문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16
불교교의의 천태해석과 원융사상의 구현 21세기, 불국정토 실현을 위한 천태종단의 역할 불교교의의 천태해석과 원융사상의 구현 지 창 규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1. 한국 불교와 천태종 한국 불교의 역사는 불교 전래 이래로 찬란하게 빛을 발했으나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으로 말미암아 불교는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말살되..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16
붓다는 왜 걸식을 했는가 1. 서론 탁발은 붓다 재세 시 인도에서 전통적인 바라문에 대응하여 생겨난 신흥 수행자 사문(Samana)들이 의지하던 생활양식으로서 불교가 생기기 이전부터 존재하였다. 붓다도 이 행의를 받아들여 일상생활을 탁발에 의지하면서, 불교 사상이 농축된 생활양식으로 정착시켰다. 우리나라..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16
아함에 나타난 부정관과 번뇌의 관계 아함에 나타난 부정관과 번뇌의 관계 강 명 희 /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강사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諸想과의 관계 1. 諸想에 대한 長阿含의 용례 2. 諸想에 대한 中阿含의 용례 3. 諸想에 대한 雜阿含의 용례 4. 諸想에 대한 增壹阿含의 용례 Ⅲ. 번뇌와의 관계 1. 漏와의 관계 2. 貪欲과 貪..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