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 수행의 근본원리 1. 수행을 생각하면서 불교에 관심을 둔 사람이면 누구나 수행에 대해서 한 번쯤은 생각을 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출가를 적극적으로 생각해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마침내 실제로 출가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과연 수행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흔한 주제이면서도 막상 자신이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9.08
보살계의 성립에 대한 재고 보살계의 성립에 대한 재고 신 성 현 /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목 차 1. 들어가는 말 2. 재가신자의 계율 3. 보살계의 성립과 사상적 의의 4. 맺는 말 투고일자 : 2009. 12. 31 심사기간 : 2010. 1. 20 ~ 2. 5 게제확정일 : 2010. 2. 8 국문 요약 본 논문은 대승불교의 보살계가 어떠한 과정과 단계를 거..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9.08
법화경 관세음보살 보문품에 나타난 고통과 구원의 구조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나타난 고통과 구원의 구조 이 효 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수료) 1. 머리말 불교를 종교로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관세음보살은 가장 중요하고 가장 대중적인 신앙대상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관음은 신앙의 대상으로서 동아시아 불교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어..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9.01
초기 대승불교 교단의 성립과 조직에 대한 一考 초기 대승불교 교단의 성립과 조직에 대한 一考 -諸異說을 중심으로- 淨土學硏究 제20집(2013.12) 홍순우(신해)/동국대학교 선학과 박사수료. • 목 차 • Ⅰ. 들어가는 글 Ⅱ. 대승의 정의 및 대승비불설의 제기 1. 대승의 정의 2. 대승비불설의 제기 Ⅲ. 대승불교 성립배경과 연대 1. 대승불교..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화두참구의 심리학적 접근 화두참구의 심리학적 접근 인경스님(동방대학원대 자연치유학과 교수. khim56@hanmail.net) Ⅰ 머리말. Ⅱ 화두의 조작적 정의. Ⅲ 화두참구의 역사적 원류. Ⅳ 화두참구의 심리학적 고찰. Ⅴ 결론. Ⅰ. 머리말 ‘화두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간화선의 의미와 참구방법을 묻는 중요한 질문이..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정토삼부경 - 무량수경의 이해 아미타불 1. 무량수경 <무량수경>은 <관무량수경>과 더불어 이른바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으로 불리는 정토교의 중요한 경전이다. 이 경은 줄여서 그냥 '대경(大經)' 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같은 정토삼부경 가운데 <아미타경>이 작은 분량의 경전인 까닭에 붙여진 '소경(..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유마경(維摩經)의 이해 오른쪽은 유마거사의 설법모습과 왼쪽은 병문안을 온 보살들의 모습을 그린 것 유마경(維摩經) <유마경>은 대체로 1-2세기에 성립된 대승경전으로 중국에서는 무려 7번이나 번역 되었다. 가장 오래된 것은 후한(後漢)시대에 엄불조(嚴佛調)가 번역한 것이다. 이어 오(吳)나라 때 지겸(..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의상대사의 행적과 수행 양상 의상의 행적과 수행 양상 김 복 순 (동국대 교수) 1. 머리말 신라 승 의상은 진평왕 47년인 625년에 태어나서 성덕왕 원년인 702년까지 격동의 세월 속에서 살았다. 진평왕, 선덕왕, 진덕왕,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의 7朝에 걸쳐 살면서, 백제와 고구려의 병합, 두 나라 부흥군의 정리,..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종밀의 원각경 해석에 보이는 제 사상의 수용 종밀의 『원각경』 해석에 보이는 제 사상의 수용* 조 윤 호** 【주제분류】불교철학, 동아시아불교 【주 요 어】원각경, 원각사상, 본래성불, 일심, 종밀, 화엄교학, 대승기신론 【요 약 문】 종밀은 󰡔원각경󰡕 해석의 과정에서 다양한 사상들을 수용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사..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선정의 문제에 관한 고찰 선정(jhāna)의 문제에 관한 고찰 ― Nikāya에 나타나는 사마타와 위빠싸나의 관계를 중심으로 ― 1)임 승 택* Ⅰ. 문제 제기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Nikāya 경전의 하나로서 Dhammapada(法句經)가 있다. 거기에 “혜가 없는 이에게 선정은 없고 선정을 행하지 않는 이에게 혜는 없나니, 선정과 혜..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