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에 대한 몇 가지 오해, 그리고 진실 깨달음에 대한 몇 가지 오해, 그리고 진실 홍 사 성 *1) • 목 차 • Ⅰ. 깨달음의 이해, 무엇이 문제인가 Ⅱ.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Ⅲ. 깨달음은 어떻게 해야 얻을 수 있는가 Ⅳ. 깨달음의 경지는 누구나 도달할 수 없는 것인가 Ⅴ. 깨달은 성인과 못 깨달은 범부는 어떻게 다른가 Ⅵ. 깨달음..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초기불교에서 지관과 사선 初期佛敎에서의 止觀과 四禪 印鏡 / 동국대 선학과 차 례 Ⅰ. 머리말 Ⅱ. 念(sati)과 止觀 Ⅲ. 止觀과 四禪 1. 四禪의 주요내용 2. 止觀의 辨證法的 循環 Ⅳ. 맺는말 I. 머리말 최근에 불교의 수행론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그것은 시대의 반영이기도 하겠지만, 제삼 수행론에 대한 반동..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명상은 무엇을 치유하는가 들어가는 글 전현수 전현수신경정신과 원장 명상으로 무엇을 치료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생각할 때 다음의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하나는 명상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는 명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정신적인 문제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말하자면 명상으로 정신적인 문제를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25
왜 현대인은 명상에 열광하는가 1. 들어가면서 장현갑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21세기 벽두부터 명상이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2003년 8월 4일 자 〈타임〉의 커버스토리가 “명상의 과학”으로 주목을 끌은 후, 2005년 1월 3일 자 〈워싱턴 포스트〉는 “명상이 뇌에 변화를 준다.”를 헤드라인 기사로 실었다. 〈뉴스위크〉는..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11
관상법의 형성과정 觀想法의 형성 과정 차 상 엽1)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대승불전 이전의 念佛 1.『增壹阿含經』의 念佛(buddhānusmṛti) 2.『坐禪三昧經』의 念佛三昧 Ⅲ. 초기대승불전의 관상법 1.『팔천송반야경』의 一行三昧 2.『般舟三昧經』과 般舟三昧 3.『수습차제』의 관상법 Ⅳ. 나오는 말 Ⅰ..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11
무색정 개념도입에 관하여 무색정 개념 도입에 관하여 최 지 연1)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2.1 초기불교 수행과 4선 2.2 4선과 4무색정 2.3 무색정에서 드러나는 자이나적인 요소 Ⅲ. 결론 Ⅰ. 서론 지금의 다양한 불교 모두가 붓다의 직접적인 가르침으로 귀속된다고 믿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붓다의 교설이 전승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11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1) 김정호2)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최근에 마음챙김 명상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이 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마음챙김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8.11
한국불교의 계율전통 1. 머리말 삼학(三學)은 불교의 가르침을 배우려는 자가 반드시 닦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삼학에 정·혜와 아울러 계가 포함된 것은 불교의 가르침을 따르는 이라면 승속을 막론하고 반드시 지키고 실천해야 하는 것이 계율이며, 지계는 곧 수행이기 때문이다. 계율은 계와 율이 합쳐..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한국과 테라와다불교의 계율해석 1. 들어가는 말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명상 주제를 항상 잊지 않으며 수행하는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어떠한 갈등도 비판도 없이 하나의 목표를 바라보며 함께 나아간다. 그러나 세속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부처님께서 가르쳐주신 성스러운 진리와 수행 이외의 다른 것에 관심을 갖게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중국 간화선 및 그 사상의 특질 중국 宋代 看话禅 및 그 사상의 特質 赖 永 海 /中國 南京大学 교수 번역: 김진무(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차 례 Ⅰ. 들어가며 Ⅱ. ‘불립문자(不立文字)’에서부터 ‘불리문자(不離文字)’까지 Ⅲ. ‘불리문자(不離文字)’로부터 ‘단거화두(但擧話頭)’까지 Ⅳ. 달마의 ‘면벽(面壁)’으..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