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빠사나 수행의 원리와 실제 위빠사나 수행의 원리와 실제 임 승 택 ** 목차 ** 1. 시작하는 말 2. 위빠사나의 의의 3. 위빠사나의 원리 4. 위빠사나의 실제 5. 마치는 말 1. 시작하는 말 부처님께서 최초로 가르침을 펴신 후, 2500년이라고 하는 장구한 세월이 흘렀다. 그간 불교는 인도라는 지역을 벗어나 아시아 각국으로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16
有餘涅槃에 대한 설일체유부의 아비달마적 해석 有餘涅槃에 대한 설일체유부의 아비달마적 해석 황 순일/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1. 서 언 2. 대비바사론에 나타난 upadhi의 의미 3. 다섯 감각기관(pañcindriya)과 수명(āyus) 4. 명근(jīvitendriya)과 중동분(nikāyasabhāga) 5. 결 어 1. 서언 초기 인도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열반(nirv..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16
초기불교의 아하라(āhāra)를 통한 수행 연구 초기불교의 아하라(āhāra)를 통한 수행 연구 신 병 삼 목차 1. 서론 2. 아하라의 특징 3. 네 가지 아하라 분석 4. 음식을 혐오하는 수행 5. 탁발음식과 관련된 두타행 6. 결론 I. 서 론 “모든 존재는 음식으로 생명을 유지한다.” 이는 붓다의 십대 명호 중 세간해(世間解; 세상을 잘 아시는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16
깨달음과 열반의 상관관계 깨달음과 열반의 상관관계 / 김나미 [제46호] 2011년 03월 01일 (화) 김나미 kimnami@hotmail.com 1. 깨달음 지상주의의 현주소 1,600년 역사의 한국불교에서 신라 말 고려 초, 선종의 유입으로 이 땅에서 구산선문이 세워진 지도 1,000여 년이 넘게 지났다. 활발발지(活潑潑地)한 선기(禪機)를 드날리던..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02
초기불교의 해탈(解脫)에 관한 연구 초기불교의 해탈(解脫)에 관한 연구 정준영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전임강사) 1. 들어가는 말 불교는 해탈을 위한 종교다. 하지만 불교수행의 목표인 해탈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정의 내려지지 않은 것 같다. 본고는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이해되는 해탈을 역사적으로 구분하기..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02
의상계 화엄학파의 사상과 신라불교에서의 위상 의상계 화엄학파의 사상과 신라불교에서의 위상 佐藤 厚 / 東洋大學 차 례 ※ 머리말 Ⅰ. 문제의 소재 Ⅱ. 義湘系華嚴學派의 개관과 문헌적 특징 1. 개관 2. 文獻的特徵―口傳性과 秘義性― Ⅲ. 義湘系華嚴學派의 思想的特徵 1. 「無住」의 强調와 「五尺成佛思想」 2. ꡔ大乘起信論ꡕ批..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02
화엄경의 성립과 구조적 특징 범한철학회 논문집 『범한철학』제24집 2001.가을 [화엄경]의 성립과 구조적 특징* 정 순 일** 1. 머리말 1세기를 전후하여 이타(利他)의 이념을 내걸고 전개된 새로운 불교운동으로서 대승불교는 다양한 경전의 등장을 촉진하였다. [화엄경]은 당시 출현한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한편 동아..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02
세친의 식전변설 임 병 환* 【주제분류】불교철학, 유식사상 【주 요 어】세친, 사현, 식전변, 아뢰야식, 삼성 【요 약 문】 유식교학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주제는 식론(識論)과 삼성설(三性說)이다. 일체가 식의 표상(表象)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식론은 유식사상의 기저를 이루는 주제로 세친은 그의 저서..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02
유식학의 중심사상 유식학의 중심사상 묘주 Ⅰ. 유식사상의 성립 1. 유식의 언어적 분석 2. 유식사상의 성립 배경과 시대 구분 3. 교의체계와 주요 경론 Ⅱ. 心識論 1. 팔식의 역동적 구조 Ⅲ. 三性·三無性의 중도설 1. 세 가지 자성 2. 삼성의 관계 3. 세 가지 無自性 4. 삼성·삼무성설의 의의 Ⅳ. 수행문-五位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02
원효의 지관수행론 원효의 지관수행론 (『대승기신론소』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practice of Ji- Kwan of Wonhyo 김도공 (Kim, Do-Gong) 3-398-0201-02 국문요약 원효는 심진여문에 止, 심생멸문에 觀을 대응시켜서 止觀을 실제 수행상의 큰 축으로 삼아왔다. 원효의 사상체계를 『대승기신론』에 바탕을 둔 一心二門의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