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망경(梵網經) - 구도자의 좌표 1. 범망경의 의미 범망경의 명칭 [범망경(梵網經)] 이란 경전의 이름은 범천의 '망라당(網羅幢)'을 비유해서 붙인 이름이다. 이 경의 하권(下卷)은 그 사연을 이렇게 쓰고 있다. "그때 범천왕은 여러 대범천왕의 망라당을 보고 그것에 개해서 이렇게 설명을 했다. '무량한 세계는 마치 그물..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계율은 왜 다시 논의돼야 하는가 / 조준호 계율은 왜 다시 논의돼야 하는가 / 조준호 불교평론[53호] 2013년 02월 21일 (목) 한국불교 전통의 특이한 경향 가운데 하나는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계율을 경시하는 풍조가 있다는 것이다. 계율은 처음 불교에 입문한 초보적인 사람, 또는 고지식하고 완고한 사람이나 지키는 것으로 여긴다...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계율 성립의 배경과 전개/이 자랑 계율 성립의 배경과 전개 특집 : 불교와 계율 불교평론[53호] 2013년 03월 21일 (목) 1. 서론 계율을 불도수행의 시작이자 근간이라 표현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사실 현대의 불교도들 인식 속에서 계율이 정말 이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가, 또한 이에 근거..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이제설의 설립 목적 이제설(二諦說)의 설립 목적 -세속제의 복권과 그릇된 공 이해의 교정- 강찬국(연세대 박사과정) 1. 들어가는 말 이제설은 중관학의 특성을 가장 잘 대변하는 이론으로 알려져 있으며, 필자도 그러한 통설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부류에 속한다. 그리고 이 글 역시 이제설에 대한 정확한 이해..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연기법에 의한 공사상과 중도론 緣起法에 의한 空思想과 中道論 硏究-阿含과 中論을 中心으로- 朴癸姬 目 次 緖 言 1. 硏究의 動機와 目的 2. 硏究의 범위Ⅰ. 阿含 緣起(無我)의 특질 1. 三科說에 나타난 無我 思想 ⑴ 五蘊說에 나타난 無我說 ⑵ 十二處說에 나타난 無我說 ⑶ 十八界說에 나타난 無我說 2. 四聖諦의 실천적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수행에 관한 용어와 개념의 검토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수행에 관한 용어와 개념의 검토(Ⅰ) -止․觀을 중심으로-*1) 조준호**2) 마음의 삼매가 없으면 諸法이 드러나지 않는다***3) Ⅰ. 들어가는 말 본 학회에 拙稿 「초기불교에 있어 止․觀의 문제」를 발표한 이래 止․觀의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진전된 논의가 있어왔..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초기불전에 나타난 붓다와 선정 初期佛傳에 나타난 붓다와 禪定 김 준 호 / 경북대 동서사상연구소 연구원 목 차 Ⅰ. 머리말 Ⅱ. 성도이전의 禪定修行 1. 출가이전의 선정 체험 2. 출가 이후의 禪定修行 (1) 알라라 칼라마와 無所有處 (2) 웃타카 라마풋타와 非想非非想處 Ⅲ. 成道와 禪定 Ⅳ. 涅槃과 禪定 Ⅴ. 맺음말 국문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28
초기불교의 주요가르침 인도철학사 강의안 9 - 초기불교의 주요 가르침 - 1. 붓다의 출신 배경 불교의 開祖를 붓다(Buddha, √budh의 pp.)라고 부르는 것은 인도사상 일반에서 인정되고 있다. 그리고 불교도를 바웃드하(Bauddha)라고 부르는 것도 다른 교도들간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용어는 자이나교에서도 유사한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14
반주삼매(般舟三昧)와 대승불교의 기원 반주삼매(般舟三昧)와 대승불교의 기원 한재희/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박사과정 1) Ⅰ 서론. Ⅱ 반주삼매의 원류. Ⅲ 반주삼매의 특징. Ⅳ 반주삼매와 대승불교. Ⅴ 결론. 요약문 반주삼매는 초기 대승불교의 특징적인 요소들이 잘 나타나 있는 불수념의 한 종류다. 반주삼매의 원류은『..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14
불교는 자비의 종교인가 해탈의 종교인가? 불교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다음과 같다. 공자님이나 마호멧트나 예수가 와서 물어도 이렇게 대답하면 틀림이 없다. Sabbapapassa akaranam 일체의 악한 행동을 저지르지 않고 kusalassa upasampada 착한 공덕(善)을 받들어 행하며 sacittapariyodapanam 자기의 마음을 닦는 것(청정하게 하는 .. 불교와 인문과학 1 2019.07.14